
총 5개
-
국악2024.10.081. 국악체험 공연 관람기 1.1. 첫 번째 공연 - 대취타 첫 번째 공연에서 연주된 대취타는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개선 등 행진에 쓰인 음악으로, 고려시대부터 전해오고 있다. 대취타는 지휘자 역할을 하는 집사가 지휘봉인 등채를 양손에 들고 "명금일하 대취타"라고 명령하면 연주가 시작된다. 대취타는 주로 부는 악기(취악기)와 두드리는 악기(타악기)로 구성되며, 취악기에는 나발, 나각, 태평소가 쓰이고 타악기에는 용고, 자바라, 징 등이 사용된다. 대취타는 임금님이 위엄 있게 웅장하게 행차하실 때 어울리는 음악으로, 멜로디가 딱 정...2024.10.08
-
가시리 신아리랑2024.09.111. 고려 속요(古麗俗謠) 1.1. 고려 속요란 무엇인가 고려 속요는 고려시대에 불렸던 우리말 노래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고려시가는 크게 경기체가와 속요로 구분되는데, 속요는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노래를 의미한다. 고려 속요는 신라시대의 향가로부터 이어진 서정적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고려 속요라는 용어는 그 뜻이 모호하고 범주가 넓기 때문에 연구 초기부터 지금까지 개념 규정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넓은 의미로는 고려시가 전체를 지칭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경기체가와 속요...2024.09.11
-
농악과 사물놀이의 차이2024.10.031. 서론 본 내용은 아래 물음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기존의 것을 계승하여 활용한 것을 찾아보고 그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해당하는 한국 민속에 대해 생각하던 중, 최근에 나의 과거 사진들을 보면서 추억 팔이를 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 중 초등학교 6학년 학예회 때 사물놀이 무대에 섰던 사진이 있는데, 이 사진을 보면서 뿌듯했다. 왜냐하면 성인으로 자란 지금이라도 다시 활동하고 싶을 정도로 즐거웠고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과 더불어 예전에 내가 뉴스에서 '사물놀이의 세계화'에 대한 보도를 본 것이 ...2024.10.03
-
악학궤범서문2025.04.071. 서론 1.1. 문학사적 개관 한국 문학은 그 역사적 맥락에 따라 크게 원시·고대의 문학, 고려 시대의 문학,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후기의 문학으로 구분된다. 원시·고대의 문학은 선사시대부터 국문학이 태동하기 시작한 고려 시대 이전까지를 아우르며, 우리 민족이 이 땅에 터전을 잡고 제천의식을 행하면서 점차 국가 사회를 형성하며 발전하던 시기로, 생활 습관, 정치, 사회제도, 사상, 예술, 과학 등이 형성되면서 고유문화가 정착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문학의 특징은 원시 종합 예술이 제천의식을 통해 나타났으며, 집단성...2025.04.07
-
악학궤범2025.04.071. 악학궤범의 개요 1.1. 악학궤범의 편찬 배경 악학궤범은 1493년(성종 24년) 왕명에 따라 예조판서 성현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이 편찬한 음악 관련 종합서이다. 당시 장악원에 소장된 의궤와 악보가 파손되고 소략되었으며, 세종 이후의 성악유법이 결폐되는 상황에서 이 책을 지어 임금께 바친 것이다. 편찬자 중 성현은 장악원 제조를 맡았던 인물로 음악에 정통하여 이 책 편찬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악학궤범은 음악의 이론과 제도, 법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헌으로, 고려악사를 아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자 근대과학의 방법론에 비추...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