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연분만
1.1. 정의
자연분만이란 수술하지 않고 질을 통해 태아가 만출 되는 것을 말한다. 인공적인 도움 없이 자연적인 분만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출산이다. 자연분만에서는 양막 파열이나 혈성 이슬 등이 분만 진통 중 혹은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도 나타날 수 있다.
1.2. 분만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만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산도는 분만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적절한 산도의 크기와 형태는 원활한 분만을 위해 중요하다. 대각결합선은 11.5cm 이상, 진결합선은 10cm 이상, 골반횡경 또는 좌골결절사이 거리, 골반형태(여성형 골반, 유인원형 골반) 등이 고려된다.""
만출물질은 분만과정에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관절이 굴곡되어있는 상태, 두개골의 골반진입(종위) 태아의 소사경선(9.5cm), 대횡경선(9.25cm)이 고려된다.""
만출력은 경관소실, 경부개대, 복강내 압력(수의적 근육수축) 등이 포함된다. 이는 분만 과정에서 태아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심리적 반응도 분만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산부의 경험, 정보, 자기관리 등이 고려된다. 심리적 안정은 분만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해 중요하다.""
산부자세 또한 분만과정에 영향을 준다. 상체를 세운자세, 측위 등은 분만Ⅰ,Ⅱ기 단축, 편안함 증가, 통증조절능력 향상, 태아하강 촉진, 분만보조기구사용감소, 회음열상감소, 비정상 태아심음 양상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1.3. 분만단계
분만 1기는 진통이 시작되어 자궁경관이 완전히 개대될 때까지의 단계이다. 이 단계는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대개 양막이 파열된다. 자궁경관의 개대와 관련된 자궁수축에 의한 내장통증이 주된 특징이다. 초산부의 경우 9시간, 경산부의 경우 5-6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의 3단계로 나뉘는데, 잠재기에는 경관개대가 5-10% 수준이고, 활동기에는 4-7cm, 이행기에는 8-10cm로 완전히 개대된다. 자궁수축의 간격, 지속시간, 강도가 점차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분만 2기는 자궁경관의 완전개대와 소실 단계부터 태아의 만출까지의 기간이다. 이 단계에서는 덜 불안하고 통제가 우수하며, 자연적인 힘주기를 하게 된다. 또한 지시된 힘주기를 통해 분만 2기의 소요시간과 발생 위험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골반기와 회음기로 나뉘는데, 골반기에는 태아의 머리가 골반에 맞추어 회전하고 하강하며, 회음기에는 태아의 머리가 더욱 내려와 회음부를 팽창시키게 된다.
분만 3기는 태아의 만출부터 태반의 박리와 만출까지의 단계이다. 태반박리 징후로는 자궁이 위로 상승, 제대의 길어짐, 질에서의 소량 출혈 등이 있으며, 태반만출기에는 정상적으로 500ml 정도의 출혈이 일어난다. 태반이 자연적으로 만출되지 않을 때는 용수박리로 제거한다.
분만 4기는 태반만출 이후 산모의 생리적 적응기로, 대략 분만 후 1-4시간 동안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산후출혈, 방광팽만, 혈전증 등을 예방하기 위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자궁의 위치 변화, 질 분비물 관찰, 자궁 마사지 등이 이루어진다.
1.4. 분만기전
태아는 분만 과정 중 몇 가지의 기전을 거치면서 자궁과 골반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를 "분만기전"이라고 한다. 분만기전은 ① 진입, ② 하강, ③ 굴곡, ④ 내회전, ⑤ 신전, ⑥ 복구 및 외회전, ⑦ 만출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로, "진입"은 태아 두정골 간격이 골반입구를 통과하는 것이다. 이때 태아 두정골의 크기와 골반의 크기 및 모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번째로, "하강"은 자궁수축과 더불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데, 양수의 압력, 복근의 수축, 태아 신체의 신전, 자궁저부의 태아 압박 등의 요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세 번째로, "굴곡"은 태아 머리가 하강하면서 경관, 골반벽, 골반저부에 저항을 받을 때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태아의 턱이 가슴 쪽으로 굴곡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