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GI Bleeding 시나리오 및 시뮬레이션
1.1. GI Bleeding 시나리오
67세 여자 대상자는 금일 오전 10am 심한 복통을 호소하며, 외래를 방문하였으나, 예약이 되지 않은 상태로, 가족과 함께 응급실 방문하였다. 집에서 오늘 오전 8am 경에 3회 구토를 하였으며, 환자의 아내는 구토액을 '짙은 갈색으로 마치 커피 가루 같은 색'이라고 표현하였다. 대상자는 지난 2년간 관절 통증과 손발 부종을 호소하였으며, 관절염과 심장질환으로 지난달부터 아스피린을 1일 4시간 간격으로 3정씩 복용해왔다.
이를 통해 볼 때, 이 환자는 위장관 출혈의 증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위장관 출혈은 상부 위장관 출혈과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환자의 경우 구토 및 혈변 증상을 보이므로 상부 위장관 출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으로는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질환, 식도정맥류, 종양 등이 있다.
이 환자의 경우, 지난 2년간 관절염과 심장질환을 앓아왔으며, 최근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해왔다는 점에서 소화성 궤양으로 인한 출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아스피린은 위장관 점막을 약화시켜 궤양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관절염 및 심장질환으로 인한 만성질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소화성 궤양 발생 위험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이 환자에 대해서는 신속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출혈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응급 상황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장기적인 관리 계획도 함께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1.2. GI Bleeding 시뮬레이션
1.2.1. 상황 1 - 입원 간호 사정
간호사2는 환자인 김세경님의 입원을 위한 간호 사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간호사2는 손을 씻고 혈압계, 체온계, 청진기 등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성명을 개방형 질문으로 확인하였으며, 입원 팔찌와 환자 명단을 대조하여 환자 정보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간호사2는 활력징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 혈압 100/60 mmHg, 체온 38.8℃, 맥박 115회/분, 호흡 24회/분, 산소포화도 92%로 나타났다. 이를 기록하였다.
이후 간호사2는 환자의 과거력을 사정하였다. 보호자에 따르면 환자는 당뇨와 관절염, 동맥경화증을 진단받은 상태였으며, 지난달부터 아스피린을 하루 3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