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격근 피로 회복 기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피로의 종류와 원인
2.1. 운동과 피로
2.2. 중추 피로의 원인
2.3. 말초피로의 원인
2.4. 젖산의 생성과 제거
2.5. 과로
2.6. 산업피로
2.7. Ammonia
2.8. Phosphorus
3. 피로의 회복과 방법
3.1. 스포츠 마사지
3.2. 흑마늘
3.3. Aromatherapy
3.4. 옥타코사놀
3.5. 수면
3.6. 목욕
3.7. 스탠퍼드식 최고의 피로회복법 4가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선 피곤하다는 말을 가볍게 할 정도로 피로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학생은 학교에서 공부와 학원을 다니며 높은 성적을 목표로 피로를 얻게 되고 성인은 과업과 사회생활을 하면서 피로를 얻게 되는데 결국엔 사람과 사람 때문에 피로를 얻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여태 피로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하였고 어떻게 얻었냐만 생각했지 어떻게 해소하냐에 대해서는 간과했던 것이 사실이다. 사실 피로는 얻는 것보다 해소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며 종류와 그 방법들이 TV나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피로 회복이란 피로의 원인들을 제거해 주는 것이다. 즉 대사작용에 의한 축적된 부산물의 제거, 소모된 에너지원의 보충, 향상성의 회복, 중추신경피로의 회복 등이다. 사람마다 푸는 방법은 차이가 있으며 비슷한 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해소하는 일도 많은데 그것이 동아리 활동, 스포츠 클럽 등 활동으로 푸는 방법이 있는가. 반면 집에서 낮잠을 자거나 게임을 하는 등 최대한 활동을 하지 않고 에너지 소모를 아끼는 방법으로 피로를 푸는 사람도 있다.
2. 피로의 종류와 원인
2.1. 운동과 피로
운동과 피로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운동성 피로는 운동에 의해 발생된 피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체력이 부족한 상태 또는 고갈된 상태에서 근육 기능의 현저한 저하상태를 말한다. 운동 시 피로의 원인은 젖산과 암모니아 등 부산물의 축적, 글리코겐의 고갈, 근육 내의 생화학적 구성요소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근피로는 근수축에 참여하는 근 신경적인 기전의 차이와 근 신경 연접에서의 실패, 젖산의 축적, ATP(adenosine triphosphate)와 CP(creatine phosphate) 저장의 부족, 근 글리코겐 저장의 부족, 산소의 결핍과 부적절한 혈류 등에 기인한다. 또한 중추신경계의 피로는 수축 피로의 신호가 뇌에서 운동계에 억제 신호로 보내지는 것에 의한 국부적인 방해의 결과로 발생된다.
피로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젖산은 무산소성 해당 과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물질이다. 젖산의 축적은 운동에 의한 신체의 주된 대사적 변인으로서 젖산의 축적으로 인한 인체의 산성화가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운동 강도가 강하고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부하에서 젖산의 생성이 제거율에 비하여 높게 이루어지므로 젖산이 축적되는 것이다.
또한 운동으로 인한 피로는 PC의 고갈과 함께 젖산의 축적이 주된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pH가 감소되어 해당과정의 주효소인 PFK(phosphofructokinase)의 활성도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해당작용에 의한 ATP의 생성능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체내에 젖산이 축적되면 근피로와 함께 근육 내 pH의 저하를 초래하여 근수축 작용의 저하가 유발되며, 세포의 산성도를 증가시키는 등 인체의 생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주게 된다.
운동 시 피로를 유발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고강도의 운동 방법 중 하나로 윙게이트 테스트는 피실험자의 최대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30초 동안 최대속도로 페달링을 실시함으로써 회전수, 일량, 파워, 피로 지수 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윙게이트 테스트는 측정 절차가 간단하여 무산소성 운동능력을 평가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연구에서는 젖산이 오히려 피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어 젖산과 피로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다.
2.2. 중추 피로의 원인
뇌로부터 근육 내에서 액틴-마이오신 십자 형교가 형성되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과정으로 구성되는 수의적 근 수축 활동을 일으키는 명령체계 중 어느 한 과정에서라도 정상이 아닐 때 피로가 발생한다"" 이다. Mosso(1915)와 Waller(1981) 등은 신경작용의 기능부전에 의해 중추로부터 피로가 발생한다고 하였다.
중추 피로는 중추 신경세포의 기능부전 또는 의지의 저하(수의적 노력의 억제)에 의해 발생된다. 이것은 망상체에 대한 감각 경로의 작용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로해진 사지의 피로는 쉬고 있던 반대편 사지의 운동을 하면 훨씬 빨리 회복되는데 이것은 피로하지 않은 사지로부터 구심성 임펄스에 의해 피로해진 운동중추가 재충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Weber(1914)는 쓸모없는 대사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혈류량의 증가에 의해 피로회복이 촉진된다는 순환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Rojtbak과 Dedabrishvili(1959)는 EEG 측정을 통해 중추 피로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EEG의 α리듬은 각성수준이 낮거나 피로한 상태에서 나타나고 기분전환 활동 기간에는 거의 사라진다. 또한 α리듬은 눈을 감고 있으며 명백히 나타나지만 눈을 뜨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눈을 감으면 중추억제가 이루어지고 눈을 뜨면 중추억제가 감소되면서 촉진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나 Asmussen(1979)은 중추 피로는 피로한 근육의 화학 수용기에 보내지는 신경임펄스가 운동역역을 억제하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즉 말초적 요인에 의해 중추 발생된다는 의견이다.
이러한 신경성 요인뿐만 아니라 대사적 요인도 피로의 발생 원인으로 추정되는데 운동계의 기능은 뇌세포 자체의 기능 뿐만 아니라 뇌세포의 대사 작용에 필요한 에너지원의 축적량, 그리고 에너지 전환에 따른 대사 부산물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물질 중에서 포도당 생산과정에서 생성되는 젖산은 무산소해당작용으로 ATP를 근육운동을 위해 공급할 때 다량으로 생성 되어 근육과 혈액에 그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젖산이 축적되면 일시적인 근피로 현상과 함께 pH의 감소를 동반하며 근 수축작용의 저하를 가져오고, 세포의 산성도를 증가시켜 효소의 활동이 억제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운동 중 골격근에 의해 암모니아 생성량이 증가되는데, 암모니아는 골격근 이외에 중추 신경계, 특히 뇌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암모니아는 호흡중추를 직접적으로 자극함에 따라, 혹은 호흡중추로 전달되는 그 밖의 화학적인 신호를 방해함으로써 과호홉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과호홉증은 무산소성 역치 이상의 운동 강도에서 일어난다. 암모니아는 그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피로를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추피로는 신경각성, 동기의 수준, 중추신경세포의 기능부전, 수의적 의지 등과 같은 중추적 및 심리적 요인에 의해 유발된다는 견해와 근육근이 수용기에서 보내지는 신경 임펄스에 의한 운동영역의 억제, 대사산물의 축적, ...
참고 자료
야마다 도모오.(스탠퍼드식 최고의 피로회복법). 조해선. 비타북스 2019.01.15.
전수경,2003,<유산소성 운동 중 Arromatherapy가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신승림,2006,<옥타코사놀의 섭취가 지구력향상과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영희,2010,<운동 후 Bely Dance와 SportsMassage가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곽재준,2013,<생맥산 섭취가 남자대학 테니스 선수의 혈중 피로물질, 체력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노판수,2002,<스포츠마사지가 장거리 달리기의 경기력과 부상예방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석민희,2009,<운동피로회복에 흑마늘이 미치는 영향>,동의대학교,박사학위 논문
네이버,“만성피로”, 2019,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796734&memberNo=11219042&vType=VER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