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요즘 뉴스나 주변 사람들에게서 영수증을 받으면 되도록 손으로 만지지 말고 몸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그 이유를 찾아보니 영수증에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비스페놀A'라는 물질이 들어있는데 이 물질이 성조숙증, 행동장애 등 다양하고 심각한 질병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 이야기를 듣고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정말 심각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호르몬이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의문점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호기심을 해결하고자 환경호르몬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1.2. 연구 시기 및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6월 25일부터 2022년 8월 25일까지 2달에 걸쳐 10차례씩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6월 중 실험 계획, 7월 중 실험 진행, 8월 중 소논문 작성을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식물의 생장 관찰 실험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조사에서는 환경호르몬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결과를 선행 연구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식물의 생장 관찰 실험에서는 블루베리와 배추를 이용하여 환경호르몬인 에스트로젠, 프탈레이트, 톨루엔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분에 물과 환경호르몬 혼합 용액을 20일간 공급하여 식물의 잎의 생장을 측정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호르몬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관련 이론 탐색
환경호르몬이란 인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되는 호르몬이 아닌, 산업 활동 과정에서 생성되어 인체 내에 유입되어 내분비계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이다""
환경호르몬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다이옥신, 유기주석(TBT), 살충제 DDT, 인공호르몬 DES, TPT, 비스페놀A, PCB, 프탈레이트, 스티렌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대부분 자연계에 오랫동안 잔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염소(Cl)나 중금속류를 포함하고 있다""
환경호르몬은 생물체에 흡수되면 호르몬 분비 기능을 교란시켜 여성의 유방암, 자궁내막증, 남성의 정자 수 감소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쳐 어린이의 신경내분비 기능을 변화시켜 영구적인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면역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처럼 환경호르몬은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유해 물질이므로, 이를 제한하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선행 연구의 분석 및 시사점
선행 연구의 분석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경환(2016)은 중·고등학생의 내분비 계 장애 물질에 대한 노출, 교육 욕구를 줄이기 위한 인식, 정보 습득 행동, 지식, 행동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