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통증과 관련된 간호사정 및 계획
1.1. 급성통증의 정의와 특징
급성통증이란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강도로 지속하거나 예측되는 통증이 6개월 미만 동안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 급성통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성통증은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조직손상은 외상, 수술,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직손상으로 인해 말초 및 중추신경계에 전달되는 통증 자극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통증 경험으로 이어진다.
둘째, 급성통증은 갑자기 또는 서서히 발생할 수 있으며, 경증에서 중증강도로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의 강도는 개인마다 다르게 경험될 수 있는데, 이는 통증에 대한 개인의 반응 역치, 문화적 배경, 심리적 요인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셋째, 급성통증은 6개월 미만 동안 지속된다. 급성통증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고 지속되면 만성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급성통증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급성통증은 조직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강도와 지속기간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급성통증에 대한 간호사정
1.2.1. 주관적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수집은 대상자가 직접 경험하고 있는 통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해 통증의 위치, 양상, 지속기간, 악화 및 완화 요인 등에 대한 주관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야야" 또는 "이렇게 아플 줄 몰랐어요"와 같은 대상자의 표현은 통증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주관적 자료가 된다. 또한 대상자가 통증으로 인해 취하는 자세나 행동, 표정 등도 주관적 자료에 포함된다. 이러한 주관적 자료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가 경험하는 통증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1.2.2. 객관적 자료 수집
급성통증에 대한 간호사정의 객관적 자료 수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자의 생체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관찰한다. 통증으로 인해 심혈관계, 호흡기계, 신경계 등 생리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등의 활력징후를 정기적으로 사정하여 통증 수준과의 관련성을 확인한다.
또한 대상자의 신체 상태와 행동을 관찰한다. 얼굴 표정, 체위, 동작, 근긴장도 등을 통해 통증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을 찡그리거나 몸을 움츠리는 등의 행동은 통증을 나타내는 징후일 수 있다.
통증 부위와 특성도 객관적으로 사정한다. 통증 부위를 직접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