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랍 사회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랍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1.1. 아랍 사회주의의 등장 배경
1.2. 아랍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관계
1.2.1. 아랍민족주의의 특징
1.2.2. 아랍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관계
1.3. 현재 아랍사회주의 동향
1.3.1. 시리아
1.3.2. 리비아
1.4. 아랍 사회주의의 의의
2. 리비아의 정치·사회 변화
2.1. 이탈리아 통치 시기
2.2. 이드리스왕정 시기
2.3. 카다피 통치 시기
2.3.1. 국내정책
2.3.2. 국외정책
2.4. 아랍 시민혁명
3. 이라크의 정치변동
3.1. 영국 위임통치 시기
3.2. 왕정 시기
3.3. 쿠데타 시기의 군부정치
3.3.1. 카심 장군의 군부 쿠데타
3.3.2. 바아스당 쿠데타와 아레프 정권
3.4. 후세인 통치 시기
3.4.1. 국내정치와 사회
3.4.2. 대외관계
3.4.2. A. 이란 - 이라크 전쟁이 미친 영향
3.4.2. B. 걸프전쟁이 이라크에 미친 영향
3.4.2. C. 이라크 전쟁이 이라크에 미친 영향
3.5. 미국 위임통치와 임시정부
3.6. 독립정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랍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1.1. 아랍 사회주의의 등장 배경
20세기 초반, 오스만제국의 쇠퇴와 세계1차대전을 겪으면서 아랍, 이슬람권은 큰 혼돈과 좌절을 겪었다. 그들에게 대두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문제는 서구 제국주의 식민통치와 그로부터 독립하려는 아랍 국가들의 투쟁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을 통해 승리한 서구 열강들은 자신들의 이익에 따라 아랍세계를 분할, 통치하였다.
프랑스는 아프리카 북부, 서부 레바논과 시리아를 포함한 레반트 지역을 지배하고 영국은 팔레스타인, 트랜스요르단, 이라크, 아라비아 만 그리고 인도반도를 지배하였다. 아랍인들은 서구 열강의 식민통치를 강력히 반대하며 자신들의 영토에서 침략자들을 몰아내고 아랍인에 의한 이슬람에 의한 자치정부 수립을 염원했다. 그들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목숨을 걸면서 믿고 따라온 이슬람에 대한 자부심과 이슬람으로 하여금 대제국을 만들 수 있었던 역사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다.
무슬림들은 중세시대 서구 침략자들이 십자군 원정을 통해 자신들의 영토를 침략했을 때 물리쳤던 것처럼 그들의 신앙심과 이슬람의 힘으로 서구열강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들의 이러한 염원으로 이슬람의 힘으로, 자신들의 힘으로 서구 열강을 몰아낼 힘의 원천을 찾게 되고 발달한 것이 아랍민족주의이다.
이러한 아랍민족주의는 아랍인들에게 이슬람은 민족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이상적 수단으로 간주되었던 반면, 비아랍인들에게 종교를 통한 민족적 정체성이 문제를 야기 시킨 이유는 이슬람에 강력한 아랍적 요소가 내재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아랍. 이슬람 역사 초기의 아랍민족주의는 터키 민족주의, 페르시아 민족주의, 아랍민족주의로 세분화되었다.
아랍민족주의는 초기 서로 다른 민족주의로 발전했지만 그들의 주된 목적은 민족 정체성확립과 민족의 통합, 민족해방이라는 구호를 외치며 서구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이스라엘을 주 공격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초기 아랍인들의 단합을 주장했던 사람들은 기독교 아랍인들이었다. 그들은 유럽에서 신식 교육을 받은 엘리트 집단이었고 무슬림 중심적인 이슬람 국가에서 이등국민이라는 서러움을 벗어나려고 했다. 사실 아랍민족주의 자들은 대부분 세속주의자들이었고 이슬람 움마를 인종집단으로 세분화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슬람 세계를 개별민족국가로 독립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1.2. 아랍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관계
1.2.1. 아랍민족주의의 특징
아랍민족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랍 민족주의에 대한 접근은 제한적인 문화접변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중동에서의 사회적 변화는 19세기 초 오토만제국의 아랍지방에서 문학적, 정치적 문예부흥이 일어났다는 점에서 문화접변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랍 민족주의와 운동이 유럽의 영향 하에서 발전했다는 사실이 이를 바르게 이해하도록 이끄는 것은 아니다. 아랍 민족주의의 등장은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공에서 시작되었다. 나폴레옹의 원정과 프랑스 혁명 및 자유사상이 북아프리카에서 레반트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다.
둘째, 아랍민족주의는 오토만 제국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었다. 오토만 제국 하에서 이집트와 시리아의 사회구조는 달랐는데, 이집트는 보다 중앙집권화된 통치가 이루어진 반면 시리아는 일부 지방왕조에 의해 느슨하게 통치되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시리아에서 봉건제도의 극복이 더 어려웠고 오토만 제국 내에서 가장 오랫동안 봉건제도가 존재했다. 이에 따라 시리아에서 먼저 아랍민족주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셋째, 초기 아랍민족주의자들은 오토만 제국에서의 이슬람 지배에 반대하여 아랍인에 의한 이슬람에 의한 자치정부 수립을 염원했다. 그들은 이슬람에 대한 자부심과 이슬람으로 대제국을 만들 수 있었던 역사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다. 무슬림들은 십자군 원정을 물리친 것처럼 신앙심과 이슬람의 힘으로 서구열강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넷째, 초기 아랍인들의 단합을 주장했던 사람들은 기독교 아랍인들이었다. 그들은 유럽에서 신식 교육을 받은 엘리트 집단이었고 무슬림 중심적인 이슬람 국가에서 이등국민이 되는 것을 벗어나고자 했다. 반면 초기 세속적 아랍민족주의자들은 대부분 아랍인들의 이슬람적 요소를 도외시했다.
다섯째, 아랍민족주의는 아랍의 생활이자 신에 대한 경배인 이슬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랍세계를 새롭게 탄생시킨 것은 이슬람이며, 아랍의 모든 요소를 창출했다. 이슬람은 아랍인들의 혈연관계를 중요시하며 계급 없는 인간조직 사회를 구현하고자 했다. 그러나 초기 아랍민족주의운동은 서구 문명에 대한 충격으로 이슬람의 가치관이 문제를 야기했기 때문에 아랍, 이슬람 역사 초기에는 아랍민족주의가 터키 민족주의, 페르시아 민족주의, 아랍민족주의로 세분화되었다.
1.2.2. 아랍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관계
아랍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관계는 아랍 사회주의의 등장 배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서구의 민족 개념을 아랍인과 무슬림들에게 적용하면서 '움마'라는 용어를 현대적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초기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서구의 정치, 경제적 지배에 반대하면서도 이슬람을 민족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이상적 수단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서구의 식민통치에 대항하여 일어난 아랍 민족주의 운동은 중산층과 지식인 계층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들은 반제국주의와 아랍 통합을 내세우면서도 당시 부패한 정권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서구 형태의 사회주의 이념을 도입하게 된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서 냉전이 심화되면서 소련의 지원을 받은 공산주의가 확산되자,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사회주의 이념을 아랍 민족주의와 결합시키기 시작했다. 이들은 계급 갈등을 해결하고 제국주의에 맞서기 위해 사회주의적 해결책을 모색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아랍 사회주의'이다. 아랍 사회주의는 서구의 사회주의 이념과는 다른 형태로, 아랍 민족주의와 이슬람을 결합한 독자적인 사회주의를 추구했다. 이들은 이슬람의 가르침인 코란에서 사회주의적 요소를 찾아내어 이를 아랍 사회주의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아랍 사회주의는 기존의 세속적 아랍 민족주의를 보완하고자 했다. 세속적 아랍 민족주의자들이 주도한 정권들이 경제 파탄과 민중 소외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아랍 사회주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회 정의와 평등을 강조하면서 이슬람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결국 아랍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관계는 아랍 사회주의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랍 민족주의는 서구의 지배에 반대하면서도 이슬람을 민족 정체성의 원천으로 삼았고, 이러한 가운데 사회주의 이념이 결합되어 아랍 사회주의라는 독특한 형태의 사회주의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1.3. 현재 아랍사회주의 동향
1.3.1. 시리아
시리아는 해안선 193 Km, 영해 35해리, 인구 1,801만 6,874명(2004년 기준)의 국가이다. 수도는 다마스쿠스이며, 공용어는 아랍어, 쿠르드어, 아르메니아어이다. 문맹률은 23%이며, 종족구성은 아랍인 90.3%, 쿠르드인 등 기타 9.7%이다. 종교는 이슬람교(수니파 74%, 알라위파 16%), 기독교 10%이다. 시리아는 1946년 4월 17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고, 1973년 3월 제정된 헌법에 따라 사회주의 공화제 정체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 형태는 대통령 중심제이며, 현 대통령은 바샤르(Bashar Al-Assad)이다.
최근 시리아와 관련한 주요 이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2005년 2월 14일 레바논의 전 총리 라피크 하리리의 암살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레바논 내에서 시리아가 배후로 지목되었고, 이에 따라 시리아군이 29년만에 레바논에서 철수하게 되었다. 또한 2011년 3월 시작된 시리아 내전과 관련하여,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97.62%의 지지를 얻어 재선되었다. 하지만 이 선거는 매우 비민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미국은 이란과 시리아가 이라크 내 무장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는데, 실제로 이라크 내 해외 무장세력의 70%가 시리아를 통해 입국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리아 정부는 이에 대해 국경 통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시리아는 레바논 내전, 이라크 문제, 자국 내전 등 중동 지역 안보와 관련된 핵심 이슈들에 깊이 개입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1.3.2. 리비아
리비아는 1969년 9월 1일 군사혁명을 통해 무아마르 카다피가 집권하여 42년간 독재체제를 유지했던 국가이다. 카다피는 이탈리아의 식민통치, 이드리스왕정 시기를 거쳐 집권한 이후 자신의 제3세계이론 및 아랍민족주의, 이슬람 등을 내세워 국내외 정책을 펼쳤다.
리비아 국내에서는 부족 간 갈등을 억압하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혈족과 특정 부족을 등용하는 부족주의 정책을 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언론과 반대세력에 대한 강경한 탄압과 함께 사회주의 경제정책을 도입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부패와 경제 파탄을 초래하였다.
한편 국외정책에서는 범아랍주의와 이슬람을 앞세워 아프리카 및 중동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시도했다. 특히 수단과 차드에 군사개입을 감행하여 이슬람화를 추진하고자 하였으며, 이스라엘과의 대결 양상에서도 아랍 민족주의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리비아의 끊임없는 테러지원 행위와 대량살상무기 개발 시도로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었고, 이에 따라 2000년대 들어 서방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카다피 독재 하의 리비아는 2011년 아랍 민주화 운동의 영향을 받아 내전이 발발하였고, 결국 카다피가 살해당하면서 정권이 붕괴되었다. 그러나 내전 이후에도 지역 간 갈등과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개입으로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1.4. 아랍 사회주의의 의의
아랍 사회주의는 서구 사회주의 사상에 이슬람과 아랍민족주의를 절충시킨 아랍적인 사회주의라 할 수 있다. 아랍 사회주의는 세속적 민족주의자들이 대중의 요구를 등한시하고 제국주의 세력과 밀...
참고 자료
이슬람 문화사 - 김정위(심구당, 1989)
아랍민족주의 - 비쌈터비 지음/ 이근호 옮김(인간과 자연, 1991)
아랍 사회주의 연구 - 이종택(한국 중동 학회 12권)
아랍민족주의와 아랍통합운동- 황병화(중동연구 제 16권 2호)
세속적 민족주의와 이슬람 부흥운동 - 김정위 (중동연구 제 16권 2호 <특집> 제3세계 민족주의)
나세르“아랍민족주의와 아랍통합의 영웅” - 정상률(중동연구 제 17권 2호)
근대 이슬람 개혁운동 - 하병주(중동연구 제 17권)
나세르 정권의 통치 양식에 관한 연구 - 박종평(중동연구 제 15권 2호)
아랍민족주의 기원과 특성 - 하병주(동아시아 국제정치학회 5권 1호)
국정원 홈페이지(http://www.nis.go.kr/)
globalwindow.org 경제일반 - KOTRA 2005년
Gerald Butt Middle East analyst - bbc.com middle east column
리비아 국가원수 카다피의 아랍 통치정책 연구(강명신 저, 1992)
리비아공화국(최광진 저, 1981)
리비아 경제변화의 과제와 전망 - 한덕규(중동연구 제24권 1호)
21세기 중동이슬람문명권 연구사업단 / 중동정치의 이해1.
21세기 중동이슬람문명권 연구사업단 / 중동정치의 이해3.
국방대학교 /『군사』 2003년 12월호.
권삼윤 / 슬픈 바그다드. 꿈엔들.
공일주, 전완경 / 북아프리카사. 대한교과서.
공일주 / 이라크의 역사. 살림.
김동문 / 사담 후세인, 위대한 영웅인가? 극악한 테러리스트인가?. 시공사.
김정위 / 이란-이라크 전쟁의 역사적 배경. [韓國 中東 學會 論叢]Vol.3.
김태효 / 이라크 전쟁의 현황과 전망.『국제문제』제34권 5호 통권393호.
박상현 / 후세인의 전쟁 선택요인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1차 걸프전과 사담 후세인의 선택을 중심으로. 『韓國中東學會論叢』v.25-2.
박종평 / 레반트-이라크 지역 정치와 종교 = The Political Development and Religion in Levant-Iraq. 한국이슬람학회논총.
박종평 / 북아프리카정치발전에 관한 연구 =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Arab countries in North Africa.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박종평 / 쿠르드족 문제와 갈등. 「중동연구」제20편
송경근 / 중동지역연구. 조선대학교 출판부.
앨버트 후라니 / 아랍인의 역사. 심산.
와르소 칼데론 / 가다피, 출발점. 한겨레.
이상환 / 미국의 대 이라크 군사개입에 관한 고찰.『사회과학논집』제 22권 2호.
이종택 / 아랍 사회주의 연구. 한국중동학회연구논총.
이태호 / “마침내 끝난 이라크전, 미군은 무엇을 남겼나”.『한겨례21』2010.08.25. 제825호.
장건 / 전후 이라크의 경제 재건.『국제지역정보』 v.8 no.7.
장병옥 / 이란-이라크 분쟁. 『중동연구』 제20권.
장병옥 / 쿠르드족 배반과 좌절의 역사 500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정상률 / 이라크 군부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제 29-3.
정상률 / 이라크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연구. 한국중동학회.
최진욱 / 평화조약의 역사적 변천과 사례: 한반도 평화체제에 주는 시사점. 통일연구원.
한용섭 / 이라크 전쟁과 미국의 군사 전략의 변화. 『국방연구』 제46권 제2호.
김정은 / 이라크, 주권이양 이후. 『사회운동』 2004년 7-8월호.
Lapidus, Ira M / 이슬람의 세계사. 이산.
Milan Rai, Noam Chomsky / 전쟁에 반대한다. 산해.
“사우디 살만 국왕체제 등장과 향후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문제분석 시리즈, 2015. 2. 24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단교를 둘러싼 종파분쟁의 격화.” 국립외교원 IFANS Focus 2016. 1. 4
“이란 핵협상 타결의 함의와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문제분석 시리즈, 2015. 7. 24.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동 정책과 중동 주요국의 대응 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3. 11
Anderson, Ewan W., Liam and D. Anderson, An Atlas of Middle Eastern Affairs, London: Routledge, 2010.
Bill, James A., and Robert Springborg, Politics in the Midle East 5th edition, New York: Longman, New York, 2000.
Fawcett, Louis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Middle East. 3rd ed,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Hinnenbusch R, and Anoush Ehteshami, The Foreign Policies of Middle East States, London: Lynne Rienner,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