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찰음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찰음식의 대중화 필요성과 경쟁력
1.2. 한국 사찰음식 문화의 고유성과 가치
1.3. 사찰음식 산업화 및 세계화 추진
2. 본론
2.1. 사찰음식의 의미와 유래
2.1.1. 사찰음식의 개념과 의미
2.1.2. 사찰음식의 역사적 발전
2.2. 사찰음식의 특징과 종류
2.2.1. 사찰음식의 독특한 조리법과 재료
2.2.2. 사찰음식의 다양한 종류와 효능
2.3. 사찰음식의 대중화 현황과 과제
2.3.1. 사찰음식에 대한 현대인들의 관심 증가
2.3.2. 사찰음식 대중화의 필요성과 문제점
2.4. 사찰음식 대중화를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
2.4.1. 전통성과 대중화의 균형적 접근
2.4.2. 사찰음식의 체계화와 표준화
2.4.3. 사찰음식 브랜드화 전략
2.5. 사찰음식의 정신적 가치 실현
2.5.1. 수행의 상징으로서의 사찰음식
2.5.2. 사찰음식 본연의 모습 보존
3. 결론
3.1. 사찰음식의 문화적 가치와 경쟁력 제고
3.2. 사찰음식 산업화와 전통성 보존의 조화
3.3. 향후 사찰음식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찰음식의 대중화 필요성과 경쟁력
사찰음식의 대중화 필요성과 경쟁력은 다음과 같다.
근래 우리나라는 식품산업의 발달로 각종 인스턴트식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외식산업의 발달로 기호중심의 식생활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에 따라서는 영양의 과잉상태가 진행되고 있으며 육류 및 지방의 과잉섭취로 각종 성인병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사찰음식은 근래 우리현대인들의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으로서 많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는 물론 외국인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사찰음식 대중화 사업에 종단이 나서게 된 것은 사회적 기반이 조성된 까닭이 크다. 10여 년 전부터 잘 먹고 잘 살기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웰빙'이 성행하고 이에 따라 좋은 먹을거리에 대한 인식도 높아갔다. 불교계도 지난 2002년부터 템플스테이를 본격 시행하면서 먹을거리뿐 아니라 정신건강의 고양을 이끌어갔다. 그 결과 사찰음식이 또다른 좋은 먹을거리로 각광받으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사찰음식=건강식'이라는 대중적인 인식이 확산돼갔다.
또한 사회적인 기반과 정부의 이해관계, 불교계의 필요성이 맞아 떨어진 결과가 사찰음식 대중화 사업으로 표현된 것이다. 사찰음식이야말로 요즈음 요구하는 슬로우푸드이며 자연친화적 음식들이다. 이러한 사찰음식을 일반대중들이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찰음식 조리법의 표준화, 재료의 계량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찰음식에 관심을 갖고 있는 외국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사찰음식점과 같은 건강 음식점이 많이 생겨나야 한다. 따라서 사찰음식의 대중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1.2. 한국 사찰음식 문화의 고유성과 가치
한국 사찰음식 문화의 고유성과 가치는 다음과 같다.
불교가 한반도에 최초로 공인된 것은 고구려, 백제, 신라 순으로 372년, 384년, 527년이다. 이에 따라 불교음식인 사찰음식 문화도 함께 발전하게 되었다. 사찰음식은 불교의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간단하고 소박한 재료로 자연의 풍미가 살아 있는 독특한 맛의 경지를 이루었다. 특히 대승불교가 발전하면서 오신채(마늘, 파, 달래, 부추, 흥거)와 육류를 금기시하게 되었기 때문에 채식 위주의 사찰음식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사찰음식 문화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방 불교권에서만 발달하였으며, 남방 불교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한국 고유의 문화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사찰음식은 단순히 영양가 높은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를 넘어서, 불교의 수행 정신이 담겨 있다. 승려들은 음식을 만들고 먹는 과정에서 자신의 마음가짐을 수행의 일환으로 여긴다. 발우공양이라는 형식으로 식사를 하는데, 이는 모든 식재료와 조리 과정에 대한 감사와 공경의 마음을 담은 것이다. 또한 음식을 남기지 않고 모두 섭취하는 것은 절약과 낭비 없는 생활을 실천하려는 불교의 가르침을 보여준다. 이처럼 사찰음식에는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서 불교의 정신적 가치가 내재되어 있다.
나아가 사찰음식은 지역과 계절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며 발전해왔다. 같은 이름의 음식이라도 각 사찰마다 다른 맛과 조리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자연환경과 지리적 환경에 맞춰 고유한 방식으로 계승되어 온 것이다. 예를 들어 경기·충청 지역의 백김치, 전라도의 고들빼기김치, 경상도의 콩잎김치 등은 각 지역의 특색이 담긴 독특한 사찰 김치 문화를 보여준다. 이처럼 사찰음식은 한국 고유의 식문화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찰음식은 단순한 음식 문화를 넘어 불교 정신과 한국 전통 문화가 복합적으로 반영된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1.3. 사찰음식 산업화 및 세계화 추진
사찰음식 산업화 및 세계화 추진"은 최근 사찰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그 대중화와 세계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불교가 발달하면서 사찰음식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타 종교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음식문화로 자리잡아왔다. 그러나 최근 식품산업과 외식산업의 발달로 인해 사찰음식이 점차 그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찰음식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통해 전통음식으로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건강 지향적인 식문화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웰빙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연식, 채식 등이 확산되는 추세에 따라 사찰음식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한식 세계화 정책과 맞물려 사찰음식이 한국 고유의 문화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사찰음식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서는 전통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메뉴 개발과 상품화가 필요하다. 또한 사찰음식의 체계화와 표준화를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고, 브랜드화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사찰음식이 한국 음식문화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2.1. 사찰음식의 의미와 유래
2.1.1. 사찰음식의 개념과 의미
사찰음식이란 불교 사원에서 승려들과 사찰을 방문하는 신도들에게 제공되는 독특한 음식문화이다. 사찰음식은 불교의 기본정신인 간소, 겸허함을 바탕으로 하여 고기와 오신채(마늘, 파, 달래, 부추, 흥거)를 사용하지 않으며, 인공조미료 대신 다시마, 버섯, 들깨, 날콩가루 등의 천연조미료를 사용하여 시원하고 담백하며 깔끔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철의 재료를 이용하고 조리법이 간단하여 재료 본연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불가에서의 수행정신이 담긴 사찰음식은 단순히 먹는 음식이 아니라 수행의 한 방법으로 여겨지며, 불교 문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종교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2.1.2. 사찰음식의 역사적 발전
사찰음식의 역사적 발전은 불교가 전래되고 발전하는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고구려에 불교가 처음 공인된 것은 372년이었으며, 백제와 신라에서도 각각 384년과 527년에 불교가 공인되었다. 이로써 한반도에 불교가 자리잡으면서 불교 사원인 사찰에서 먹는 음식, 즉 사찰음식이 유래되기 시작했다.
불교가 전래되던 초창기 승려들은 특별한 거처 없이...
참고 자료
네이버사전
위키백과
구글검색
한국 사찰음식. 김연식. 우리출판사
선재스님의 사찰음식. 선재스님. 디자인하우스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282756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00898031
http://blog.naver.com/dramo23?Redirect=Log&logNo=91197950
http://www.templefood.co.kr/
http://blog.daum.net/balhyosyory/8444981
http://ko.wikipedia.org/wiki/%EB%B0%9C%EC%9A%B0%EA%B3%B5%EC%96%91
http://blog.naver.com/pat2bach/60088267321
김연식, 2010, 동산불교대 사찰요리문화학과장, 사찰음식 대중화가 달갑지 않은 까닭은
이은정, 2010, 현대불교뉴스, 사찰음식 대중화·세계화에 주력할 것
이효지, 1998, 한국음식과 문화, 문지사.
정세채, 2000, 산사에 가면 특별한 식단이 있다, 도서출판 모색.
조민오, 2002, 한국 전통 사찰음식의 대중화 방안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복진, 2002, 한국음식대관6궁중의 식생활과 사찰의 식생활, 북센.
최연순, 2010, 오마이뉴스, 사찰음식 대중화 찬ㆍ반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