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암수술후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개인력
2.1.2. 병력
2.1.3. 건강관련정보
2.1.4. 신체검진
2.1.5. 검사
2.1.6. 약물
2.2. 간호과정
2.2.1. 우선순위 결정
2.2.2. 간호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우리나라 위암 발병률은 세계 1위로 인구 10만명을 기준, 한 해 발생하는 위암 환자수가 미국의 10배에 달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일 암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암은 40세 이전에는 드물며 50~70세 사이의 대상자에게서 가장 흔히 발생된다. 위암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위암의 전세계적 발생형태는 환경적, 유전적, 문화적 요인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번 간호과정을 위암으로 선정하여 우리나라에서 많이 발병하는 위암 대상자들을 위한 간호중재를 생각해보고 이를 적용해보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위암은 위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하층, 장막층으로 침윤한다. 위암은 발병 원인이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위 점막 손상, 발암물질의 반복적 자극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위암은 조기 위암과 진행 위암으로 구분된다. 조기 위암은 암 세포가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이며, 예후가 좋다. 진행 위암은 암이 근육층 이상을 침윤한 경우로, 위 주변 림프절로 전이되거나 간, 폐, 뼈 등으로 원격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위암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Helicobacter pylori 감염, 짜고 매운 음식 섭취, 위 수술, 흡연, 음주, 가족력,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등이 있다. Helicobacter pylori는 위점막을 만성적으로 염증시켜 암을 유발하고, 짜고 매운 음식 섭취 또한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위 수술 후 위 점막에 변화가 생겨 암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흡연과 음주는 직접적으로 위암 발생률을 증가시킨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위암 발생 위험이 2배 가량 증가한다. 그 밖에도 만성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은 전암 병변으로 간주되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개인력
성 명 : ㅇㅇㅇ
나 이 : 만 69세
성 별 : 남성
결혼상태: 기혼
병 실 : 00병원 내원중
혈액형: RHo+
직 업 : 무직
정보제공자 : 본인
주증상 : dyspepsia
내원경로: 외래 (도보)
입원일: 2022.11.13. (16시09분)
면담일: 2022.11.13.
이 대상자는 69세 남성으로, 기혼 상태이며 무직이다. 내원 경로는 외래로 도보였고, 주증상은 dyspepsia이다. 입원일은 2022년 11월 13일 16시 09분이며, 면담일 또한 같은 날이다. 이 대상자는 본인이 직접 정보를 제공하였다.
2.1.2. 병력
현병력은 지난 6개월 동안 소화불량과 3개월 간의 체중 감소 증상이 있었으며, 최근 악화되어 위암 진단 후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력에서는 2년 전 gastritis 진단 이력이 있었다. 가족력으로는 아버지가 위암으로 58세에 사망했고, 어머니가 뇌졸중으로 65세에 사망했다고 한다.
대상자는 이번 입원 전 local 병원에서 소화제를 투여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
참고 자료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 위암 발병률은 세계 1위로 인구 10만명을 기준, 한 해 발생하는 위암 환자수가 미국의 10배에 달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일 암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암은 40세 이전에는 드물며 50~70세 사이의 대상자에게서 가장 흔히 발생된다. 위암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위암의 전세계적 발생형태는 환경적, 유전적, 문화적 요인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번 간호과정을 위암으로 선정하여 우리나라에서 많이 발병하는 위암 대상자들을 위한 간호중재를 생각해보고 이를 적용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① 위암 정의
위암이란 원칙적으로 위에 생기는 모든 암을 일컫는 말이지만, 주로 위점막의 선세포에서 발생한 위선암을 말한다. 위암은 선암이 90% 정도 차지하며, 나머지 10% 정도는 림프종이다.
② 병태생리 (원인)
위의 기능 : 위로는 식도, 아래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장기로 위는 입으로 섭취한 음식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소장으로 전달하는 저장고의 역할과, 위의 운동과 위액 분비를 통해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분해하여 소장에서 영양분이 흡수되기 쉽도록 만드는 소화기능을 한다.
위암 : 위암은 위의 점막에서 발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하층, 장막층으로 침윤한다. 점막 또는 점막하층을 따라 위 내에 넓게 퍼지기도 하고, 점막층에서 장막층을 향해 깊이 퍼지기도 한다. 위 주변의 임파선을 따라서, 혹은 혈류의 파급에 의해 간, 폐, 뼈 등의 여러 부위로 퍼질 수 있다. 위암은 발병원인으로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위 점막 손상, 발암물질의 반복적인 자극 등에 의해 발생하고 한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보다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21, p.220-230, 255-279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1, p.305-348, 518-535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9판 개정)」, 수문사, 2021, p.442-448
이동숙 외 공저,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021, p.263-373
Kim SE. Clinicopathologic Implication of New AJCC 8th Staging Classification in the Stomach Cancer. JDCR 2019;7:13-17.
대한위암학회 가이드라인위원회, 「한국 위암 치료 가이드라인 2018: 근거 중심 다학제 접근법」, 위암학회(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KGCA), 2019, 제19권 1호 1–48
손태성, 「위절제술 후 영양요법」, 대한의학협회지, 2010
이혁준 외, 「위절제술 후 영양 상태의 변화와 덤핑 증후군 발생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및 암연구소 영양집중지원팀, 2014
보건복지부, 암 등록 통계, KOSIS “ 24개 암종/성/연령(5세)별 암발생자수, 발생률”
대한진단검사의학회, “MCV, RDW 해석”
https://www.kslm.org/sub01/sub03_8.html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위암”,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healthSub02View.do?content_id=1233&cPage=1&DP_CODE=CIC&MENU_ID=004027017&ds_code=D0001709&main_content_id=742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NAK 200 inj”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T-K20NS100&searchKeyword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위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휴온스 제품소개 “selenase T pro inj”
https://huons.com/web/home.php?mid=11&go=item.view&num=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