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문학 산문 양식 수업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필 교육의 이론과 실제
1.1. 수필 문학의 특성
1.2. 수필 문학의 교육적 가치
1.3. 현행 수필교육의 문제점
1.4. 수필 지도의 개선 방안
1.4.1. 수필 지도의 조직적 측면
1.4.2. 수필 지도의 방법적 측면
1.5. 수필 창작의 지도
2. 고전문학 교육의 방향
2.1. 춘향전의 교과서 수록 현황
2.2. 춘향전의 문학 교육적 의의
2.3. 춘향전 교육의 학습 목표
2.4. 춘향전의 지도 방안
2.4.1. 춘향전 교수 학습 지도의 실제
2.4.2. 매체를 통한 학습 지도 방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필 교육의 이론과 실제
1.1. 수필 문학의 특성
수필 문학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필은 형식의 구속이 적다. 시나 소설, 희곡이 일정한 법칙을 요하는 데 반해, 수필은 그러한 형식들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수필은 대우성(antithetic)으로 규정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수필의 형식적 자유로움과 관련이 있다. ""
둘째, 수필은 산문(散文)의 문학이다. 산문은 인상을 기억의 축적에서 단순히 분산시키는 정신활동에 의해서 쓰여지는 것이다. 이는 시의 응축적인 특성과 대립되는 것이다.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거나 은유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형성하는 것이 시라면, 산문은 이른바 토의적인 성격을 지닌다. ""
셋째, 수필은 자기 목소리의 문학이다. 수필의 화자는 허구화(虛構化)되지 않은 일인칭으로 표현된다. 나나 우리의 경험과 사고를 표현하는 것이 수필이다. 수필에 남의 일이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나의 경험이나 사고의 내용으로 환치된 것이다. 수필의 개성의 문학이라고 하는 것도 이러한 점, 즉 작가 자신의 경험이 허구화되지 않고 드러난다는 점의 지적에 지나지 않는다. ""
넷째, 수필은 철학적인 가치와 관조(觀照)의 문학이다. 수필이 철학을 다른 갈래와 달리 보다 심도 깊게 추구할 수 있는 이유는 수필이 문학과 비문학(非文學)의 두 영역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시나 극처럼 형상화에 역점을 두는 경우는 철학성보다는 창조적인 특성, 즉 상(Bild)이 두드러지지만, 산문 정신인 수필은 철학을 보다 심도 깊게 추구할 수 있다. ""
1.2. 수필 문학의 교육적 가치
수필 문학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필 문학의 진실성은 교육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다. 수필은 허구가 아닌 작가의 진솔한 삶에서 우러나온다. 작가의 성숙된 사상과 감정에서 흘러나오는 인격적 향기가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것이다. 수필의 문장은 진솔성이 있어야 하며, 진실을 바탕으로 한 철학이 없이 아름답게만 꾸미려 해서는 좋은 수필이 될 수 없다. 이러한 진실성은 올바른 인격 형성에 도움을 준다.""
둘째, 수필 문학의 상상력은 교육적으로 유익하다. 수필은 형식과 내용의 무정형성에 기초하여 상상력의 날개를 펼칠 수 있는 문학 갈래이다. 이러한 상상력의 활발한 운용과 균형 잡힌 절제는 좋은 수필을 생산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적으로 이러한 상상력과 절제미를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수필 문학의 현실참여 의미는 교육적으로 유의미하다. 수필이 정치·사회적 현실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고 비판받지만, 오히려 개인의 체험을 바탕으로 더 큰 범주의 사회문제까지 다룰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의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어 바람직한 시민의식을 기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필 문학은 진실성, 상상력, 현실참여의 측면에서 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수필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인격 형성, 창의성 함양, 시민의식 고양 등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3. 현행 수필교육의 문제점
현행 수필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수필 문학은 독립 영역으로 설정된 문학의 한 갈래이면서도 그 독자성을 지니지 못하여 갈래로서 체계 있는 지식을 조직, 선정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필 문학 지도도 문학교육의 내용인 감상 지도, 이론 지도, 창작 지도에 이르기까지 체계화되어야 함이 선결 문제이다. 수필 문학이 다른 갈래만큼 주의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예술 형식으로의 수필이 순수한 정보나 설명적, 설득적인 수필(試論, 小論)과 결합되어 문학에서 제 위치를 정립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수필 교육의 지도에 관한 연구는 시, 소설, 희곡에 비해 많지 않다. 다만 문학 교육을 하는 사람들의 참고서라고 할 수 있는 문학 교육 원론 서적들에는 지면의 일정 부분을 수필 교육의 지도에 관하여 할애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수필교육의 목표가 뚜렷하지 못하고 일정한 기준 없이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목표가 서로 중복되거나 모호하여 수필 지도의 방향성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내면화를 가장 뒤에 두어야 하는가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절차상의 문제가 있다. 지도 단계에서 내면화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고 또 그것이 바람직하다면 내면화 단계는 오히려 앞서 배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지도단계에서 개괄 접근-분석접근-종합 재구성이라는 절차를 꼭 밟아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 각 절차 내용이 서로 연계되지 않고 흩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신 관련 경험의 재생과 교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나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절차 모형이 실제 수업에서 기간 배분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제시된 모형을 그대로 적용하려면 최소 4시간이 필요하지만 중등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대부분 2-3시간 밖에 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이처럼 수필 교육의 목표와 절차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수필 교육이 문학교육의 한 부분으로 간과되어 왔기 때문이며, 앞으로 수필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1.4. 수필 지도의 개선 방안
1.4.1. 수필 지도의 조직적 측면
수필 지도의 조직적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현실 생활과 수준에 맞는 읽을 거리의 제공이 중요하다"" 그리고 수필 문학의 이론을 작품 감상을 통하여 내면화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실적 체험을 의미화하고 형상화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수필 문학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면서 더 많은 작품을 읽고 싶고, 작품을 써 보겠다는 의욕이 일어나도록 조직해야 한다"" 그리고 수필 문학은 그 특징으로 자유성을 바탕으로 하기에 모든 문학 장르의 특성을 공유하면서 그것을 초월하는 문학 양식으로 문학교육의 기초로 조직되어야 한다""
1.4.2. 수필 지도의 방법적 측면
수필 지도의 방법적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수필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우선 곽동훈은 "맛보기(학습자가 맛본 수필다운 맛을 살리는 것)와 짓기(수필 맛보기를 자주 짓게 하는 것)를 기본 원리로 하여 한덩이 지도법"을 제시하였다. 한덩이 지도법은 맛보기와 짓기를 아우르는...
참고 자료
중학 국어7~9. 교육 인적 자원부. 2004.
중학교 국어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중학교 교육과정 및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秀프로젝트+ 중학국어ㆍ생활국어1-1. 2-1. 3-1. 두산 동아. 2004.
깜지 중학국어ㆍ생활국어1-2. 2-2. 3-2. 대한교과서. 2004.
김현. 소설은 왜 읽는가. 문학과 지성사. 1988.
구인환 외 공저. 문학 교육론. 삼지원. 1994.
신상철. 수필 문학의 이론. 삼영사. 1992.
이희수, “수필교육의 효과적인 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 대학원. 1994.
최시한, “문학 교육은 왜 하는가”. 모국어 교육 6. 모국어 교육 학회. 1988.
박혜옥, “수필지도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이성수, “수필지도에 적합한 수업모형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 대학원. 1999.
곽동훈, “짓기 지도의 원리와 방법”. 모국어교육 제12호. 1994.
조재수,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수필 작품 분석”. 부산 대학교 교육 대학원. 1986.
곽동훈, 「수필지도의 원리와 방법」, 《배달말교육》제22호, 배달말교육학회, 2001.
곽동훈, 「중등학교 문학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배달말교육》제25호, 배달말교육학회, 2004.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1999.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2001.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31』, 교학사, 2005.
구인환·구창환, 『문학개론』, 삼지원, 1988.
구인환 외 2인, 『문학 교수 학습 방법론』, 삼지원, 1999.
구인환 외 3인,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4.
김대행, 『문학교육 틀짜기』, 역락, 2000.
김대행 외 7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김상욱, 『문학교육의 길 찾기』, 나라말, 2003.
김수업, 『국어교육의 길』, 나라말, 2000.
김수업, 『배달말꽃』, 지식산업사, 2002.
김종회, 「수필문학의 상상력, 또는 정체성과 전문성」, 《비평문학》제17호, 한국비평문학회 , 2003.
김한호, 「수필은 진실을 바탕으로 한 철학이 있어야 한다 」, 《문학춘추》2000년 가을호, 문학춘추사, 2000.
려증동, 『한국어문교육』, 형설출판사, 1985.
민경신, 「수필 문학 교육 방법론 고찰」,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이길호, 「수필과 현실 참여」, 《문학춘추》1992년 창간호, 문학춘추사, 1992.
이성수, 「수필지도에 적합한 수업모형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이현복, 「수필 문학 교육의 지향점」, 『제5회 국어교육 연구발표대회』, 《국어교육》제85호, 한국어교육학회, 1994.
임규혁, 『학교 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8.
조장현, 「중학교 수필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최운식 외, <문학교육론>, 집문당, 1988, p.16.
「춘향전」 교육 방안 연구 = Research for ChoonHyangJeon education program. 김우찬. 학위논문(석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2005. 8
춘향전의 문학 교육적 가치와 지도방안 = Chunhyangjon(春香傳) : On Its Literary Educational Value and
the Teaching Methods. 김금룡.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 전공 1999
김흥규(1992). 고전 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 <현대비평과 이론>, 3호. p.46
춘향전 교육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Chunhyangjeon. 정상우.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2002. 8
도서관활용수업을 통한 <춘향전> 교수-학습 방안 연구. 고은지.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고전문학 2012. 8
국민음악 연구회.「음악세계」, 성운인쇄사, 1980
<춘향전> 수업방안 고찰 : 모둠별 토의학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 "Chunhyangjeon". 김영아.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학(국어교육) 2008. 8
영상매체를 활용한 <춘향전>의 교육방법 연구 = A study of teaching method for by using visual media. 임선해. 학위논문(석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국어교육 2013. 2
교육부, 고등학교교육과정 해설(국어),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0, 108∼1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