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지에 왜 팥죽을 먹었는지 근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세시풍속의 이해
2.1. 세시풍속의 정의 및 특징
2.2. 세시풍속의 분류와 의의
3. 봄 - 정월대보름
3.1. 정월대보름의 풍습
3.2. 정월대보름 음식 문화
4. 여름 - 단오
4.1. 단오의 유래와 의미
4.2. 단오 놀이와 음식
5. 가을 - 추석
5.1. 추석의 의의
5.2. 추석 풍습과 놀이
5.3. 추석 음식 문화
6. 겨울 - 동지
6.1. 동지의 의미와 특징
6.2. 동지 풍습
6.3. 동지 음식
7. 한국 세시풍속의 현대적 의의
7.1. 전통문화 보존과 계승
7.2. 지역축제와 민속신앙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세시풍속이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어 전해오는 주기적인 의례를 말한다. 세시풍속은 대체로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명절, 24절후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른 의례와 놀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농경을 주 생업으로 하던 전통사회에서는 놀이도 오락성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풍농을 예측하거나 기원하는 의례였다. 그래서 세시풍속을 세시의례라고도 하는데 오늘날에는 세속화되고 탈제의화하여 의례로 행해지는 것이 구별되기도 한다. 세시풍속은 명절 또는 그에 버금가는 날 행해진다. 전통사회에서 명절은 신성한 날, 곧 의례를 행하는 날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에서는 세시풍속을 연중행사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연중행사와는 구별해야 한다. 우리의 경우 연중행사라 하면 연중에 행해지는 모든 행사를 망라한다. 세시풍속이 춘하추동 계절에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으므로 계절제라고도 한다.
2. 세시풍속의 이해
2.1. 세시풍속의 정의 및 특징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어 전해오는 주기전승의례를 의미한다. 세시풍속은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하며, 명절, 24절후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른 의례와 놀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통사회에서 놀이도 오락성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풍농을 예측하거나 기원하는 의례였다. 따라서 세시풍속을 세시의례라고도 하며, 오늘날에는 세속화되고 탈제의화하여 의례로 행해지는 것이 구별되기도 한다. 세시풍속은 명절 또는 그에 버금가는 날 행해지며, 전통사회에서 명절은 신성한 날, 곧 의례를 행하는 날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에서는 세시풍속을 연중행사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연중행사라 하면 연중에 행해지는 모든 행사를 망라한다는 점에서 구별해야 한다. 우리의 경우 세시풍속이 춘하추동 계절에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으므로 계절제라고도 한다.
2.2. 세시풍속의 분류와 의의
세시풍속의 분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세시풍속은 크게 연중행사와 월중행사로 나눌 수 있다. 연중행사는 일 년 내내 반복되는 풍속을 말하며, 월중행사는 매 달 거행되는 풍속을 말한다. 또한 세시풍속은 농경의례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농경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사회에서 행해졌기 때문이다.
농사의 시기에 맞춰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세시풍속은 음력을 기준으로 하며, 정월대보름, 단오, 추석, 동지 등의 명절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세시풍속은 농경사회의 민간신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풍요로운 수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편, 세시풍속은 이러한 실용적 기능 외에도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 명절에 가족들이 모여 세시풍속을 행하며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나아가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세시풍속은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세시풍속은 농경 생활과 민간신앙을 반영하며, 사회적 결속과 전통문화 계승에 기여하는 다양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3. 봄 - 정월대보름
3.1. 정월대보름의 풍습
정월대보름의 풍습은 다음과 같다. 정월 아침에 호두, 잣, 은행과 같은 것들을 씹는 것을 "꽃"이라고 부른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해가 뜨기 전에 더위를 판다. 이웃집에 가서 이름을 부르면 "내 더위 좀 사줘"라고 말한다. 이렇게 말하면 더위를 이겨내시고 1년 동안 더위를 못 느낀다는 믿음이 있다. 정월대보름에는 찹쌀에 기장, 찹쌀, 옥수수, 검은콩, 팥을 섞어 만든 오곡밥을 먹는다. 또한 정월 보름에 농악대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땅을 밟는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축복하고 보살펴 줄 것이라는 믿음에서이다. 또한 아침에 귀밝이 술이라는 차가운 술을 마신다. 그러면 남의 말을 잘 들을 수 있고, 1년 더 좋은 소식을 듣게 될 거라고 믿는다. 정월 대보름에 논가에 있는 죽은 잔디에 불을 지르는 풍습이 있다.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쥐를 잡는 것과 풀에 붙어 있는 해충 알들을 태우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남은 재는 다음 농업에 좋은 비료가 될 것이고, 불을 지르면 악령을 물리치고 악령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는다.
3.2. 정월대보름 음식 ...
...
참고 자료
한국문화자원의 이해2, 고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네이버 지식백과] 세시풍속 [Annual Cyclical Rituals, Calendaric Rituals, 歲時風俗]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시풍속 연구 50년」(김명자, 『전통문화 연구 50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혜안, 2007)
「도시생활과 세시풍속」(김명자, 『한국민속학』41호, 한국민속학회, 2005)
「세시풍속의순환체계」(김명자·김태곤 외, 『한국문화와 원본사고』, 민속원, 1997)
「세시풍속을 통해본 윤달의 의미」(김명자, 『고문화』49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6)
「세시풍속의 기능과 그 변화」(김명자, 『민속연구』2호, 안동대부설 민속학연구소, 1992)
「근대화에 따른 세시풍속의 변동과정」(김명자, 『문화재』22호, 문화재관리국, 1989)
「신열양세시기- 7월조, 당음따라 다가서는 신량」(윤오영, 『월간 중앙』7, 중앙일보사, 1975)
「풍속에 얽힌 서정-세시풍속-」(권오돈, 『신생활 100년』한국현대사 7, 신구문화사, 1971)
국립문화재연구소. (총괄편) 세시풍속.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http://www.riss.kr/link?id=M11194794)
서해숙. 세시풍속의 역사와 변화. 서울: 민속원, 2010. (http://www.riss.kr/link?id=M12377933)
이광렬. 우리의 세시풍속과 전래놀이. 서울: 청연, 2017. (http://www.riss.kr/link?id=M14518155)
한호철. 세시풍속 이야기. 서울: 지식과교양, 2016. (http://www.riss.kr/link?id=M14147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