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고전사회학의 이해
1.1. 막스 베버
1.1.1. 마르크스와 뒤르켐과 달리 사회학 이론의 파급력에 대한 기대감 부족
베버는 마르크스와 뒤르켐과는 달리 사회학이 사회의 지속적 진보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그리고 사회학이 사회적 현실에 대한 궁극적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훨씬 덜 낙관적이었다. 베버는 사회학이 하나의 완전한 과학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확신하면서도, 마르크스와 뒤르켐에 비해 달성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그리고 그것이 모든 인류의 해방을 성취하는 것은 물론 인간생활의 근본적 갈등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지도 않았다. 그 이유는 베버는 마르크스와 뒤르켐에 비해 사회학이 사회의 지속적 진보에 기여할 수 있는 최고의 지식을 제공할 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1.1.2. 학문적 저작의 두 부분: 실제적 연구와 방법론적 글
베버의 학문적 저작은 크게 '실제적인 것'과 '방법론적인 것'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전자가 역사적·사회학적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다면, 후자는 철학적인 에세이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비판가들은 베버의 저작들이 서로 명확한 연관성을 갖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하지만 베버 연구자들은 설명의 목적에서 그 저작들을 비교적 통일된 것으로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
베버의 주된 관심사는 서구의 지배적인 조직형태로서의 자본주의적 기업의 등장과, 인간 행위에 있어서 관념과 이해관계 간의 관계였다.""
이러한 베버의 접근 방식은 마르크스와 뒤르켐과 달리 '이해(Verstehen)'의 방법을 통한 사회학적 연구였다.""'이해'의 방법은 주로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학적 설명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1.1.3. 주요 관심사: 자본주의 기업 출현과 인간 행위에서 관념과 이해관계의 관계
베버는 서구의 지배적 조직형태로서의 자본주의적 기업의 출현과 인간 행위에서 관념과 이해관계의 관계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베버는 마르크스와 달리 사회학이 사회의 지속적 진보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사회적 현실에 대한 궁극적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훨씬 더 회의적이었다.
베버에 따르면, 자본주의의 발전을 역사에 대한 포괄적 설명과 연관 짓지 않았으며, 역사상 존재했던 모든 사회에서 나타나는 노동에 대한 태도를 고려해 볼 때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것은 힘든 노동이 보상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도덕적 훈련이었다. 베버가 '자본주의 정신'이라 칭했던 것은 바로 가치 있는 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