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글로벌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글로벌기업의 마케팅전략
1.1. 확장
1.2. 현지적응
1.3. 창조
2. 글로벌 마케팅전략의 표준화와 차별화
2.1. 표준화전략
2.2. 차별화전략
3. 다국적기업과 글로벌마케팅 전략
3.1. 글로벌 마케팅의 이점
3.1.1. 비용 삭감
3.1.2. 제품과 프로그램 유효성의 개선
3.1.3. 고객 선호의 향상
3.1.4. 경쟁우위의 증대
3.2. 글로벌 마케팅의 한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글로벌기업의 마케팅전략
1.1. 확장
어떤 제품들은 변화를 줄 필요가 없는 제품들이 있다. 예를 들어 BIC볼펜, 면도칼, 일회용 라이터는 세계적으로 다 똑같다. 이 기업들은 각 고객들의 기초적인 수요를 가지고 판단한다. BIC볼펜의 경우 유일한 차이는 포장이며, 이는 각 현지에 있는 재료 판매상과 다량구매를 선호하는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포장에 차별을 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IC볼펜은 현지시장에서 성공이 현지의 유능한 마케팅 관리자의 영향에 달려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있다. 현지 마케팅 전문가는 현지 시장가격의 여건에 적합한 가격, 촉진, 유통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1.2. 현지적응
벤츠회사는 북미지역 그리고 EU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는 최고급차로 포지셔닝한다. 그러나 독일이나 인접국가에서는 벤츠는 국민차이다. 벤츠의 수출모델은 이렇게 국민차에 옵션을 장착한 것이다. 바로 이것이 유리한 포지셔닝을 통해서 기회를 활용하는 마케팅전략의 사례이다. 즉, 현지적응 전략을 통해 각 국가와 지역의 고객 선호도와 시장 특성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기업이 단순히 기존의 제품을 전 세계에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닌, 현지 시장 환경에 맞춰 제품을 변형하여 공급함으로써 성공적인 글로벌 마케팅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3. 창조
소비제품의 마케팅을 추구하는 글로벌기업의 경우 시장은 글로벌하며, 글로벌 브랜드를 추구한다. 가장 좋은 사례가 소니의 워크맨이다. 워크맨은 휴대용 라디오이다. 최근에 이 제품을 창안한 사람은 당시 소니 회장인 모리타의 골프 친구가 제안한 것이었다. 모리타는 휴대용 라디오의 시장이 글로벌시장이라 믿고 이 제품을 각 지역별로 차별화하여 공급하는 대신 글로벌시장용 제품으로 출시하기로 결정했다. 글로벌 브랜드를 새롭게 만드는 방법은 연장을 통해서이다. 좋은 예는 카멜 담배 브랜드이다. 이 회사가 그 제품을 글로벌 브랜드로 개발하려고 했을 당시, 많은 국가에서 이 제품은 현지 브랜드였다. 가장 강력한 제품의 위치는 독일이었고, 이 회사는 독일의 카멜 브랜드를 다른 EU국과 그리고 글로벌로 연장해 나갔다.
2. 글로벌 마케팅전략의 표준화와 차별화
2.1. 표준화전략
글로벌 마케팅전략의 표준화는 다수국 시장에 공통적인 제품, 가격, 촉진, 유통경로 등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통신기술과 교통수단...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