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하는 신생아에게 적합한 간호계획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설사하는 신생아에게 적합한 간호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문헌고찰

2. 본론
2.1. 자료수집
2.1.1. 간호력
2.1.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2.1.3. 의사지시
2.1.4. 약물
2.2. 간호과정
2.2.1. 간호사정
2.2.2. 간호진단
2.2.3. 간호목표
2.2.4. 간호중재
2.2.5. 간호평가

3. 결론
3.1. 소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심각한 저출산 시대이다. 저출산 시대가 지속된다면 국가의 성장 동력이 저하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2022년 출생아 수는 24만 9천 명으로 2021년 대비 1만 1천 5백 명(-4.4%) 감소하였다. 출산율이 낮은 만큼 사람들의 관심도 적은 편이다. 따라서 출산율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로즈마리병원 신생아실에는 고위험신생아, 미숙아가 아닌 정상 신생아들이 많다. 신생아들의 대부분은 정상 신생아이기 때문에 정상 신생아의 간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1.2. 문헌고찰

문헌고찰은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및 징후, 검사, 치료 및 간호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여 피부, 공막, 손톱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을 말한다. 신생아에게 흔히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잘 되나, 경우에 따라 신경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핵황달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1,2,3].

신생아의 경우 평균적으로 순환하는 적혈구의 농도가 높고 수명이 70~90일로 짧아 빌리루빈 생성이 성인보다 평균 2배정도 많다. 또한 간기능의 미성숙과 glucuronyl transferase의 활성 부족으로 인해 간접 빌리루빈이 상당량 축적되어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1,2,3].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원인으로는 글루쿠론산전이효소의 활성 저하 및 억제, 용혈 항진, 간세포성 및 간관성 장애 등이 있다.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황달은 Rh 혈액형 부적합성, ABO 혈액형 부적합성, 패혈증 등이 원인이며, 생후 2-3일에 나타나는 황달은 생리적 황달이 원인이다. 이 외에도 모유황달, 두혈종, 신생아 간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1,2,3].

신생아 황달의 증상으로는 순환하는 적혈구 농도와 빌리루빈 수치 증가로 인해 피부, 공막, 손톱 등이 노랗게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면 정상 신생아의 경우 12mg/dL 이상, 미숙아의 경우 15mg/dL 이상이 되면 나타난다"" [1,2,3].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를 통해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하며, AST/ALT,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등의 간기능 검사를 함께 실시한다. 빌리루빈 수치만 단독으로 증가되어 있고 다른 간기능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면 비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이나 선천적 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을 의심할 수 있다"" [1,2,3].

치료로는 광선요법과 교환 수혈이 있다. 광선요법은 빌리루빈의 광이성화 작용을 유도하여 물에 잘 녹는 형태로 변화시켜 소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교환 수혈은 지속적인 광선요법에도 반응이 없거나 핵황달 증상이 있을 때 실시하며, 감작된 태아 적혈구를 제거하여 빌리루빈을 감소시킨다"" [1,2,3].

간호 중재로는 규칙적인 활력징후 측정과 신체사정, 광선요법 실시, 눈가리개 착용, 체위변경, 빌리루빈 검사, 수유 및 배설 확인 등이 있다. 또한 보호자 교육을 통해 가정에서의 관리법을 숙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2,3].


2. 본론
2.1. 자료수집
2.1.1. 간호력

신생아 정보에 따르면 신생아 도**(F)는 2023년 2월 25일에 출생한 37+4주 재태주수의 자연분만 신생아로, 혈액형은 Rh+B형이다. 출생 당시 체중은 3130g, 두위는 33.5cm였다.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의 활력징후는 체온 36.4-36.5°C, 심첨맥박 131-135회/분, 호흡수 40-41회/분으로 정상 범위 내였다.

피부 상태는 전반적으로 통통하고 매끄러웠으며 밝은 붉은색을 띠었다. 황달, 청색증, 발진, 습진, 건조, 멍이 없는 등 피부에 특이 사항이 없었다. 손톱과 발톱은 분홍색을 나타내었고, 안검부종과 복수, 하지부종 등의 부종도 없었다.

머리에는 대천문이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4cm 크기였고, 소천문은 삼각형 모양 0.5-1cm 크기였으며 두부손상은 없었다. 눈은 사시가 있었지만 정상이었고, 눈물 과다분비나 불빛에 대한 눈깜박반사도 정상적이었다. 귀는 외형이 대칭적이었고 귓바퀴 위치가 정상이었으며 놀람반사도 나타났다. 코는 감기나 코막힘이 없었고 비강 ...


참고 자료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선천성대사이상검사,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7
통계청, 2022년 출생·사망통계(잠정),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20100&bid=204&act=view&list_no=423833&tag=&nPage=1&ref_bid=203,204,205,206,207&keyField=T&keyWord=
네이버 지식백과, 기저귀 발진,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9717&cid=48636&categoryId=4863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 청력선별검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83831&cid=42128&categoryId=42128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수문사, 이수연 외, p.208 ~ 253
성장발달과 건강 /교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아동간호학 수업용 프린터
약학정보원 공식 홈페이지
질병관리본부 공식 홈페이지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고빌리루빈혈증 [neonatal hyperbilirubinemia, 新生兒~血症]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고빌리루빈혈증 [Hyperbilirubinemia] (두산백과)
고빌리루빈혈증 [hyperbilirubinem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페노바비탈 [phenobarbital]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에스디1-4주(500mL) [SD Injection 1:4(500mL)]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신생아황달 [neonatal jaundic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기타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from other cause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서울대학교병원)

수문사 최신아동건강간호학 김희순 외 8명
논문
신생아에 있어 TcB[transcutaneous bilirubinometry]를 이용한 고빌리루빈혈증의 사정, 안영미 외 3명, J Korean acid Nurs Vol.33 No.1, 51-59, February, 2003
Fiberoptic Phototherapy를 사용한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치료효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김행미 외 3명. 대한주산회지 제 4권 제 3호 1993. Kore J perinatology Vol.4, no.3. SEP. 1993
https://www.allthingsneonatal.com/tag/phototherapy/
https://www.blog.naver.com/hic_91/22051144997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