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시설관리직 직무수행계획서
1.1. 시설관리직 직무수행계획서 서론
시설관리직 직무를 제대로 계획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멀티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건물의 방수나 창호보수 같은 건축분야에서부터 전기, 토목, 안전시설, 그리고 화장실 배관 같은 설비분야까지 눈에 보이는 시설은 물론이고 땅속에 숨어있는 시설까지 관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외부용역 불러서 작업을 관리감독해야 하기 때문에 손닿는 관리시설 너머의 기술까지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자기계발을 이어가야 한다. 아울러 시설물을 이용하는 직원과 민원인들이 단지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넘어서 차별화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창의적 아이디어도 발휘할 줄 알아야 한다.
작성자는 그동안의 시설관리직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직무에 빈틈이 없도록 계획하고 노력할 것이다. 아울러 조직의 가치와 월간 및 년간 직무방향을 항상 확인하고 체크해나가면서 단순한 일꾼이 아니라 조직과 함께 호흡하는 인재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을 것이다. 본 직무수행계획서는 이러한 계획과 각오를 바탕으로 하여 작성하였다.
1.2. 시설관리 직무수행목표
시설관리 직무수행목표는 시설물과 시설물의 운용방식, 안전 등에 관한 관리역량을 확립하고 각 시설파트 운용인력 및 직원, 그리고 외부 이용자들과의 소통역량을 강화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청사를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아울러 자기계발을 통해 시설물관리에 대한 기술역량도 높여나가는 것이다."
1.3. 시설관리직무 수행방안 및 계획
시설관리직무 수행방안 및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물 관리역량을 확립한다. 시설분야별 핵심 관리방안을 점검하고 목록화하여 시설관리의 기본 체계를 확립한다. 건물관리, 전기관리, 환경관리, 시설안전관리, 설비관리 등 각 시설분야별 핵심 관리방안을 세부적으로 수립한다. 건물관리의 경우 결로방지, 누수예방, 옥상관리 등의 조치를 취하고, 전기관리에서는 기상악화 시 대비책 마련과 고장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환경관리를 통해 청사의 청결성과 품위를 유지하고, 시설안전관리로 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설비관리에서는 에어컨, 배관 등의 관리를 통해 설비의 고장을 예방한다. 이와 같이 시설분야별 핵심 관리방안을 수립하여 통합적인 시설관리 체계를 확립할 것이다."
둘째, 소통역량을 강화한다. 시설직과 관련이 많은 직원들과 업무적·사적 교류를 원활히 하여 시설 및 인적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직원들의 시설이용 불편사항을 즉시 처리하고, 주요 시설물 이용에 관한 안내문을 게시한다. 외부 방문객들의 시설에 대한 의견도 청취하여 시설관리에 반영한다. 이와 더불어 타 기관의 시설관리 사례를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문제점을 개선해나간다."
셋째, 기술역량을 강화한다.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외에도 위험물, 산업안전, 에너지 등 다양한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여 기술적 전문성을 높인다. 선배 시설관리직 공무원의 업무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여 필요한 기술 습득 방향을 도출하고, 시설관리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기술을 학습한다. 또한 행정업무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활용능력도 향상시켜 나간다."
이와 같은 시설물 관리역량, 소통역량, 기술역량 강화 방안을 통해 시설관리직 직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1.4. 시설관리 직무수행계획 기대효과 및 제언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