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들어가며
한국사회의 법률에서 보면 가족을 혼인·혈연·입양에 따른 사회의 기본단위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사회에서 정상가족이란 결혼제도 안에서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벗어난 다양한 가족 형태를 모두 비정상가족이라고 간주한다. '가족'하면 자동적으로 연상되는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은 더 이상 우리나라의 가장 보편적인 가족유형이 아니다. 다양한 가족의 등장에 따른 가족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을 정상가족만을 가족으로 인정하는 것은 실제적인 친밀성 속에서 일상을 나누고 서로 의지하며 살고 있는 사람들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김희경의 저서 『이상한 정상가족』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2. 정상가족의 정의와 문제
2.1. 정상가족의 개념
한국사회에서 정상가족은 결혼제도 안에서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사회적으로 인정되고 가치 있게 여겨지는 가족의 형태로서, 이에 벗어난 다양한 가족 형태들은 "비정상적"으로 간주되어 왔다.
정상가족 개념은 혼인, 혈연, 입양으로 이루어진 가족을 사회의 기본단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가족을 매우 협소하게 정의하는 것으로, 실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족 형태들을 배제하고 있다. 미혼모,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등은 이런 정상가족의 기준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정상가족 개념은 전통적인 가부장제 가족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부계 혈통과 부권 중심의 가족관을 바탕으로 하며, 여성을 가부장에 종속된 존재로 간주한다. 또한 자녀를 부모의 소유물로 여기는 인식이 깔려있다. 이런 관점에서 정상가족은 특정한 가족 형태만을 정상으로 인정하고 그 외의 가족들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배제하게 된다.
이처럼 정상가족 개념은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적이고 편향적인 정상가족 개념에서 벗어나, 실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족 형태들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2.2.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의 문제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는 다양한 가족 형태를 배제하고 단일한 가족 모델만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국 사회에서 정상가족은 결혼제도 안에서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핵가족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다양한 가족 형태가 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여전히 "비정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미혼모 가족,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등은 사회적으로 차별받고 배제되는 실정이다. 이는 가족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는 가족 내 권력관계와 젠더 위계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는 가부장적 가족 구조를 지지하며, 이를 통해 가족 내 여성과 아동에 대한 지배와 통제를 정당화한다. 특히 미혼모와 같은 여성 가장들은 사회적 낙인과 차별에 시달리며, 아동에 대한 친권에서도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여성과 아동에 대한 가부장적 지배를 강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는 국가가 가족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하고 가족 책임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국의 경우 가족을 사적 영역으로 간주하여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가족에 대한 책임을 개인과 가족에게 전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족 내 약자인 여성과 아동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으며,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지원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는 국가의 가족에 대한 책임을 약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