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셜리 잭슨의 작품 세계와 '제비뽑기'
1.1. 셜리 잭슨의 작품 경향
셜리 잭슨의 작품 경향은 일상 속에서 인간의 어두운 심리와 의식을 다루는 것이다. 그녀는 누구에게나 내재되어 있는 악을 불온하고 당혹스럽게, 그리고 일관되게 다룬 작가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잔혹한 진실을 평온하고 일상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이 장기이다.
그녀는 호러 소설가이자 단편 작가로, 뉴욕에서 태어나 뉴잉글랜드 지역에서 생활했다. 그녀는 우울증으로 인해 대학을 자퇴했다가 다시 등록하여 학위를 받았으며, 문학 비평가인 스탠리 에드거 하이만과 결혼하였다. 그녀는 주로 집안일과 4명의 아이를 키우면서도 위트 있는 글을 써서 돈을 벌기도 하였다. 그녀의 대표작인 "제비뽑기(The Lottery)"는 1948년에 출간되었는데, 이 작품을 통해 그녀는 인간의 무의미한 폭력성과 비인간성을 생생하게 묘사하고자 하였다.
1.2. '제비뽑기' 소개
'제비뽑기'는 셜리 잭슨의 대표작으로, 평화로운 작은 마을에서 매년 행해지는 의식을 다룬다. 이 의식은 과거부터 전해 내려온 풍습으로, 마을 주민들이 검은 상자에서 종이 쪽지를 뽑아 그 주인공이 죽임을 당하는 잔혹한 의식이다. 작가는 이를 통해 현대 사회의 폭력성과 비인간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작품 속에서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모습의 마을 주민들이 축제처럼 모여 제비뽑기 의식을 치르지만, 그 이면에는 비인간적이고 잔인한 관행이 존재한다. 평화로운 날씨와 밝은 분위기 속에서도 언젠가는 누군가의 죽음이 일어나리라는 긴장감이 감돈다. 또한 서로 알고 지내는 이웃들이 모두 한 마음이 되어 돌을 던지는 모습은 주민들 간의 폭력성과 잔인함을 보여준다.
작가는 이러한 제비뽑기 의식을 통해 인간의 잠재된 폭력성과 비인간성을 고발하고자 했다. 이는 단순한 허구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상적인 폭력과 비인간성을 반영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즉,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우리 사회 속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1.3. 작품 배경과 당시 반응
작품의 배경과 당시 반응은 다음과 같다.
작품의 배경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혼란한 전후 상황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 나치정부의 유대인 대학살에 영향을 받은 작가 셜리 잭슨은 전체주의나 개인의 자유를 허락하지 않는 독재정부에 대한 저항의 뜻을 담고자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인들은 스스로를 이 세계를 외국의 악에서부터 보호하는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작가는 "the banality of evil"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평범한 사람들 속에도 악한 일을 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다고 지적하고자 했다. 작품은 아우슈비츠의 해방으로부터 3년 후인 1948년에 쓰였다.
당시 독자들의 반응은 매우 충격적이었다. 내용의 폭력성과 불공정함으로 인해 그해 여름 내내 작가에게 수많은 항의편지가 도착했다. 한 달 동안 300통이 넘는 항의편지가 작가에게 보내졌고, 이 중 13통만 친구들로부터 온 것이었다. 뉴욕에서는 이 작품에 대한 전화 항의가 이어졌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이 작품이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 작품은 미국 전통 단편소설로 간주되어 여러 매체에서 재생산되고 다양한 해석과 비평이 이루어졌다. 특히 지난 10년 동안 학교에서 자주 가르쳐져 왔다. 심지어 부모들조차도 작가에게 "왜 이런 음침한 이야기만 쓰냐, 사람들을 기쁘게 해줄 만한 이야기를 쓰지"라며 비웃었다.
1.4. 작품 분석
1.4.1. 제비뽑기의 이중성
제비뽑기의 이중성은 작품 속에 잘 드러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비뽑기에 당첨되는 것은 운이 좋아 좋은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지만, 이 작품 속의 제비뽑기에서는 당첨되면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는 점에서 이중성이 나타난다""
마을 사람들은 화창한 여름날에 친절하고 활기차게 행사에 참여하고 있지만, 이러한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와는 달리 마지막에는 테시 허친슨이 돌에 맞아 죽게 된다는 점에서도 제비뽑기의 이중성이 드러난다""
또한 마을 사람들이 서로 가깝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제비뽑기가 진행되면서 돌연 변하여 마지막에는 테시를 향해 돌을 던지는 등 잔인하고 비인간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도 제비뽑기의 이중성을 엿볼 수 있다""
1.4.2. 상징성
'1.4.2. 상징성'
이 작품에서 사용된 다양한 상징은 작가의 복잡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제비뽑기라는 의식 자체의 상징성, 주요 등장인물의 이름이 지닌 상징성, 검은색의 상징 등이 대표적이다.
먼저 제비뽑기 의식 자체가 지닌 상징성이다. 일반적으로 제비뽑기는 행운을 상징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죽음을 상징한다. 당첨자로 뽑힌 사람은 죽음을 맞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작가는 관례와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폭력과 비극을 드러내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주요 등장인물의 이름이 지닌 상징성이다. Mr. Martin은 유인원이나 원숭이를 뜻하는 중세 영어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간의 원시성을 상징한다. Dickie Delacroix(of-the-Cross)의 이름은 기독교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표현되는 인간의 이중성과 잔인한 본성을 보여준다. Adams는 최초의 인류를 상징하며, Mrs. Graves는 영원한 안식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Tessie Hutchinson은 청교도 사상에 저항했던 역사적 인물 Anne Hutchinson과 유사한 이름을 가지고 있어, 전통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인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품 속에 등장하는 검은색의 상징성이다. 당첨자를 나타내는 검은 점과 제비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