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올리버트위스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성장소설의 영어 교육적 효과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영문학 교육 연구
2.1.1. 문학 교육의 중요성
2.1.2. 문학 활용 교육 시 유의점
2.2. 성장소설연구
2.2.1. 성장소설의 개념
2.2.2. 성장소설의 특성
2.2.3. 성장소설의 교육적 요소와 가치
3. 연구의 실제
3.1. 영문학 교육의 현실
3.1.1. 우리나라 영어교과서 분석
3.2. 성장소설에 대한 설문조사
3.2.1. 연구대상
3.2.2. 연구절차
3.2.3. 설문 내용 및 분석 방법
3.3. 성장소설을 활용한 다양한 수업방법
3.3.1. 읽기 전 활동
3.3.2. 읽기 중 활동
3.3.3. 읽기 후 활동
4. 성장소설을 활용한 수업활동의 실례
4.1. 작품 선정 기준 - 올리버 트위스트(Oliver Twist)
4.2. 성장소설을 활용한 실제 수업
4.2.1. 수업계획
4.2.2. 수업지도안
4.2.3. 수업방법
4.3. 학습자 반응조사 결과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성장소설의 영어 교육적 효과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회가 진보함에 따라 교육 현장에도 새로운 교수법, 혹은 다양한 매체나 도구들을 통한 교육이 점점 도입되고 있다. 영어교육 또한 예외는 아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웹(WEB)에 기반한 영어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고 그 밖에도 음성, 영상,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영어수업은 상당히 교과서 의존적이다. 교실 현장에서는 특히 교과서를 통한 읽기 위주의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의 영어교과서에 대한 흥미나 관심도가 영어에 대한 그것과 비례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학생의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을 만한 교과서가 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 중, 고등학교 영어교과서는 그들의 관심을 끌만한 여러 요소들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일회성의 시사적 내용들은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풍부한 감성을 키워주기에는 미흡하다. 좀 더 감동적이면서 학생들의 사고영역을 높여줄 수 있는 내용이 필요한데, 이런 면에서, 영문학 작품은 학생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줄 수 있고 일회성 자료가 아니라는 점에서 적합하다. 하지만, 현재 교과서에는 영문학 작품이 단 한 작품도 실려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문학이 한 인간으로 성숙되어가는 과정에 꼭 필요한 구성요소인 만큼 이 문제는 재고해 볼 여지가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자가 시도하려고 하는 성장소설의 영어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영어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자가 시도하려고 하는 성장소설의 영어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영어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배경 부분에서 문학교육의 교육적 효과와 그 필요성, 그리고 특히 성장문학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실제 부분에서 우리나라 영문학 교육의 현실을 조명해 보면서, 정규 영어교과서 내용에 관한 분석과 문학작품이 실려 있다면 어떤 장르가 어떤 비율로 실려 있는지에 관해 조사해 볼 것이다.
그리고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성장소설을 이용하여 어떠한 수업을 할 수 있을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다양한 교수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성장소설 중, 학생들이 많이 접해보았을 만한 올리버 트위스트 (Oliver Twist) 라는 작품을 선정하여 수업 계획표를 작성한 뒤 2회에 걸쳐 고등학생들에게 실 수업으로 가르쳐보고, 다시 수업 후 설문을 통해 성장소설의 영어 교육적 효과를 연구해 볼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영문학 교육 연구
2.1.1. 문학 교육의 중요성
문학 교육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문학은 인간의 지적, 감정적 성숙을 위해서 필요한 분야이다. 문학 작품을 통해 학생들은 타인과 구별할 수 있는 개인의 독특함 또는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획일적인 영어교과서를 통한 교육으로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주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점에서 문학 교육은 학생들에게 창의성과 자기 개발을 위한 감성을 길러줄 수 있다""
문학은 언어와 문화가 복합된 매체이기 때문에 언어 습득에도 도움이 된다. 문학 작품에는 특정 시대의 사회상, 가치관, 생활방식 등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문학 작품을 공부하는 것이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문학 작품은 그 자체로 '재미'의 요소를 가지고 있어 학생들의 내재적 동기 유발에 적합하다.
문학은 타인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자아, 타자, 사회, 문화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돕는다. 이러한 문학의 기능은 독자가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어떻게 적응하고 관련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이해를 탐구하고 발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문학 교육은 학생들의 인성 발달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언어 습득과 문화 이해, 그리고 내재적 동기 부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2.1.2. 문학 활용 교육 시 유의점
문학 작품을 이용한 교육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수업에 적합한 문학 텍스트 선정이 중요하다. 문학 작품은 너무 길거나 문체가 어려워서는 안 된다. 또한 내용이 일련의 연속적인 사건들을 통해 극적인 절정으로 이끌어지는, 명확하고 이해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문학 텍스트를 비평적으로 읽도록 지도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는 힘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문학 텍스트에 대한 가치평가를 할 수 있게 되고, 궁극적으로 자아성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셋째, 문학 작품을 통한 교육은 학생들의 정서적, 심리적 발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 작품은 학생들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삶의 모습과 가치관을 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 및 성격 발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언어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정서적, 심리적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교사는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적절한 작품을 선정하고, 비판적 사고력 및 자아성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2.2. 성장소설연구
2.2.1. 성장소설의 개념
성장소설의 개념은 "유년기에서 소년기를 거쳐 성인의 세계로 입문하는 한 인물이 겪는 내면적 갈등과 정신적 성장,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각성의 과정을 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성장소설은 일반적으로 '교양소설(Bildungsroman)', '형성소설(Novel of Formation)', '입문소설(Initiation novel)', '보존소설(Preservation novel)' 등으로 불린다. 이 용어들은 문학적 특성과 문화적 전통에 따라 나라마다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블랑켄부르크는 성장소설을 이상적 유형으로 여겼고, 주인공의 내면이야기를 강조했다. 또한 독자 역시 교양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르겐슈테른은 성장소설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제시했고, 딜타이는 성장소설의 개념을 문예학적 논쟁에 성공적으로 도입했다.""
2.2.2. 성장소설의 특성
성장소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소설은 청소년이 어른의 세계로 진입하는 과정을 그려내며 그들의 정서와 욕구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 장르 중에서도 사춘기 학생들이 읽기에 가장 적합하다. 성장기에 있는 중·고등학생들은 사회적·심리적 변화를 겪게 되는데, 성장소설은 주인공의 성장과정을 통해 이들의 고민과 갈등을 보여줌으로써 독자 자신의 내면을 탐구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성장소설은 주인공이 새롭게 '거듭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주인공은 인생의 중대한 발견, 체험, 충격으로 인한 시련과 갈등을 통해 자아를 깨달아가고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거듭남의 과정을 통해 주인공은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 및 사회와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하게 된다. 이를 따라 독자 또한 ...
참고 자료
고성혜. (2000). 문학교육으로서의 성장소설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남재영. (2006). 성장소설을 활용한 영어읽기 능력 활성화 기법. 석사학위논 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박인기. (1996).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선주원. (2008). 청소년 문학 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역락.
이보영. (1999).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서울: 청예원.
이용훈. (1998). 문학을 이용한 영어지도, 영미문학교육 제 2호 , 16.
유희윤. (2008). 고등학교 영어수업의 영미단편소설 활용도 연구. 석사학위논 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윤화영. (2008). 문학작품을 영어수업에 활용하기.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임창택. (2005). 고등학교에서의 영문학 수업의 실제 적용. 석사학위논문. 연 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장신재. (2000). 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신아사.
정길정 외. (2000). 영어독해교육. 서울: 경진문화사.
한상택. (2001). 영어교육에서의 문학텍스트 활용 방안. 미 출간 박사학위논 문. 한국교원대학교, 서울.
한용환. (1992). 소설학 사전. 고려원. 48.
Adeyanju, T. K. (1978). Teaching and human values in ESL: objectives and selection. EST Journal 32.2.
Charles Dickens. (1999). Oliver Twist. Essex: Pearson Education Limited.
Collie, Joanne. 조일제 역. (1997). 영어교사를 위한 영문학 작품 지도법. 서 울: 한국문화사.
Brown, J., & Stephens, E. (1995). Teaching Young Adult Literature. Wordsworth Publishing Company, requotation.
Brown, H. Douglass. (200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th ed). New York: Longman.
Brumfit, C.J, & Carter, R.A (Eds). (1981).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New York: Oxford Intellectual Property Research Centre.
Carter, R., & Long, M. (1991). Teaching Literature. Harlow, United Kingdom: Longman Group Limited.
Harmer, Jeremy. (2002). How to Teach English. London: Longman.
Lazar, G. (1993).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A Guide for Teachers and Trainer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McKay, S. (1982). Literature in the ESL Classroom. TESOL Quarterly, 16(4): 529-536.
Rodrigues, R., & Badaczewski, D. (1978). A Guide Book for Teaching Literature. Boston: Allyn & Bacon Inc.
Smith, M. Sharwood. (1980) Some thoughts on the place of literature from a psycholinguistic perspective. Language Learning, 30.1 : 328-346.
http://bestsellers.about.com/od/readingrecommendations/tp/SummerReading.htm. visited on Dec.15.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