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병리학과 소개
1.1. 임상병리학과의 정의 및 주요 업무
임상병리학과는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로,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불린다. 진단검사의학은 인체로부터 채취된 각종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선별,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사는 검사를 처방하는 의사들의 자문에 응하여 유효한 임상적 성과를 얻게 하는 전문 진료과목의 역할을 수행한다.
임상병리사의 주요 업무는 혈액검사, 체액검사, 세포검사, 조직검사, 뇌파검사 등 각종 의학적 검사를 담당하는 것이다. 검체 또는 생체를 대상으로 병리학적, 생리학적 상태를 검사하여 질병의 예방, 진단, 예후 관찰 및 치료에 기여한다. 검사용 시약을 조제하고, 혈액을 채혈하거나 제조, 조작하고 보존한 뒤 검사와 실험 과정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의사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첨단의료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1.2. 임상병리사의 역할
임상병리사의 역할은 매우 다양하다. 먼저 임상병리사는 혈액검사나 체액검사, 세포검사, 조직검사, 뇌파검사 등의 각종 의학적 검사를 담당하는 의료기사로서, 검체 또는 생체를 대상으로 병리, 생리적 상태를 검사하여 질병의 예방, 진단, 예후 관찰 및 치료에 기여한다. 검사용 시약을 조제하고, 혈액을 채혈하거나 제조, 조작하고 보존한 뒤, 그 검사와 실험 과정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의사에게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임상병리사는 다양한 첨단의료장비를 사용해야 하므로 여러 기계를 다양하고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병원 내에서 CT, 투석실, 물리치료과 등의 부서에서 근무하며 해당 장비를 다루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를 통해 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일조한다.
한편 병원 외에도 임상병리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다. 의료관련 제품 생산업체의 정도 관리 분야에 참여하거나 생명공학 관련 연구소에 취직해서 유전자진단법 개발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원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임상병리사는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제약회사, 바이오업체, 정부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요약하면, 임상병리사는 검체 검사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