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병리학
1.1. 임상병리학의 정의
임상병리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 화학, 유전학 및 미생물적으로 검사하는 학문이다. 이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병리학은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를 임상병리학자라고 하며, 이와 같은 검사업무를 실시하는 전문인을 임상병리사라고 한다.
1.2. 임상병리사
임상병리사는 3년 전문대학 이상 임상병리학을 전공하고 한국 보건의료인국가 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임상병리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가 근무하는 전문인이다. 임상병리사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 화학, 유전학 및 미생물적으로 검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임상병리사는 진단혈액검사부, 요검사부, 임상화학검사부, 미생물검사부, 면역혈청검사부, 혈액은행검사부, 임상생리검사부, 조직·세포검사부, 핵의학검사부, 진단분자유전학검사부 등 다양한 검사 분야에서 근무하며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또한 임상병리사는 암, 심장질환, 당뇨병 등 많은 질환을 규명하고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임상병리사는 인간의 건강증진을 목표로 하며 현대 의학과 생명과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전문의료인이라고 할 수 있다.
1.3. 임상병리실 도구
1.3.1. 채혈 도구
채혈 도구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들이다. 주요 채혈 도구로는 진공 채혈관, 바늘, 진공 채혈 홀더 등이 있다. 진공 채혈관은 내부가 음압 상태로 되어 있어 채혈 시 혈액이 자동으로 흡입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바늘은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어 혈액 채취를 수행하며, 혈관 접근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규격과 길이로 제작된다. 진공 채혈 홀더는 진공 채혈관과 바늘을 연결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채혈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채혈 도구는 정확한 검사 결과 도출을 위해 필수적인 임상병리실의 핵심 장비이다.
1.3.2. 검사 기기
1.3.2.1. HbA1c
HbA1c는 장기간 혈중 '포도당' 농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혈색소의 한 형태이다. 적혈구는 120일 정도의 수명을 가지지만 당화가 일어난 적혈구는 수명이 조금 짧아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최근 3개월간 혈중 혈당 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정상 수치는 4%~5.9%이며, HbA1c 수치와 평균 혈당 농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HbA1c 4%는 평균 혈당 65mg/dL, HbA1c 5%는 평균 혈당 100mg/dL, HbA1c 6%는 평균 혈당 135mg/dL, HbA1c 7%는 평균 혈당 170mg/dL, HbA1c 8%는 평균 혈당 205mg/dL, HbA1c 9%는 평균 혈당 240mg/dL, HbA1c 10%는 평균 혈당 275mg/dL, HbA1c 11%는 평균 혈당 310mg/dL, HbA1c 12%는 평균 혈당 345mg/dL이다. 즉, HbA1c 검사를 통해 최근 3개월간의 평균 혈당 수준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3.2.2. LDX
LDX는 지질대사와 당대사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사 기기이다. LDX는 TRIGLYCERIDE(TG), TOTAL CHOLESTEROL(TC), HDL-CHOLESTEROL(HDL-C), LDL-CHOLESTEROL(LDL-C), GLUCOSE(GLU), non HDL-CHOLESTEROL, TC/HDL RATIO 등의 다양한 항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와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LDX 검사 시 정상 수치는 TG 150mg/dL 이하, TC 200mg/dL 이하, HDL-C 40mg/dL 이상, LDL-C 130mg/dL 이하, GLU 100mg/dL 이하, non HDL-C 160mg/dL 이하, TC/HDL ratio 4.5 이하이다. 이러한 검사 항목들은 질병 진단과 관리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임상병리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3.2.3. 혈당 검사
혈당 검사는 혈액 내 포도당의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혈당 검사는 당뇨병 환자의 진단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한 검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