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인 학습자의 경험담 및 에피소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발견된 오류 분석
1.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1.1.1. 중국어권 학습자가 발음 오류를 범하는 이유
1.1.2.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관련 오류 사례
1.1.3.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관련 오류에 대한 교육 방안
1.2.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경어법 오류
1.2.1. 한국어의 경어법
1.2.2. 미디어에 나타난 한국어 경어법 오류
1.2.3. 경어법 오류의 원인 분석
1.3.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및 문법 오류
1.3.1. 오류 사례 분석 기준
1.3.2. 오류 유형화
1.3.3. 오류의 원인 분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발견된 오류 분석
1.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1.1.1. 중국어권 학습자가 발음 오류를 범하는 이유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발음 오류를 범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는 모음의 혼돈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모음은 조음 시각도로 보았을 때 모음과 모음 사이 간격이 다소 낮은 편에 속한다. 모음은 자음처럼 여러 가지 기관을 합동하여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입술과 혀만을 움직이면서 발현되는 소리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음은 자음만큼 확고한 특징을 가지지 않아 상호 간에 혼란을 일으켜 오류를 범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한국어의 모음의 은밀성 때문이다. 기본적인 한국어의 음절은 '초성 - 중성 - 종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성에만 모음이 들어간다. 즉, 중간 위치에 숨긴 형태로 존재하는 모음은 더욱 더 짧고 흐리게 발음되어 어렵게 느끼게 된다.
이처럼 한국어 모음은 혼돈성과 은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모음 발음에서 오류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 것이다.
1.1.2.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관련 오류 사례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관련 오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쟈오리징(중국 아빠)씨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로, 방송에서 다음과 같은 발음상의 오류를 보였다"".
첫째, 중국[중국] 발음 대신 [중구그], [중구]와 같이 발음하였다"".
둘째, 가족[가족] 발음 대신 [가종], [가조], [가구], [가좀]과 같이 발음하였다"".
셋째, 먼저[먼저] 발음 대신 [모종]으로 발음하였다"".
넷째, 옷[옷] 발음 대신 [오], [우], [오드], [옥]으로 발음하였다"".
다섯째, 돈[돈] 발음 대신 [도], [돋]으로 발음하였다"".
여섯째, 물[물] 발음 대신 [뭉], [무료]로 발음하였다"".
일곱째, 서점[서점] 발음 대신 [서정], [서종ㅁ]으로 발음하였다"".
여덟째, 꽃[꽃] 발음 대신 [꼰]으로 발음하였다"".
이와 같은 오류 사례를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에서 다양한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1.3.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관련 오류에 대한 교육 방안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관련 오류에 대한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받침 교육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어 음절에는 종성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불파음 받침에 속하는 운미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은 종성 발음을 무척 어렵게 느낄 수밖에 없다. 초급 학습자들은 더욱이 종성에 관한 인식이 전혀 없다. 그래서 받침을 익히는 것에 대해 큰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 받침을 지도하기 이전에 받침이 무엇인가를 확실하게 인식하게 만드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받침을 발음할 때에 조음위치는 초성자음과 같으며 발음 방법은 초성자음과 정반대로 하면 된다는 내용을 학습자에게 설명해야 한다. 해당 받침의 초성 자음 발음을 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받침 조음점과 조음체를 파악케 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둘째, 조음점과 조음체를 파악한 이...
참고 자료
서영,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2011.
유상, 한국어 종성 자음군 현실 발음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설빙,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오류에 대한 연구 :j 계 이중모음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오상운(201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경어법 사용의 오류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응웬옥빈항(2015),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법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미경(2013),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친족 내 한국어 경어법 오류 양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튜브, “버릇없게 이게 뭐 하는 짓이야!” 절대 존댓말을 하지 않은 며느리에 화가 난 시어머니와 존댓말 잘 모른다는 베트남 며느리, 다문화 고부전
(https://www.youtube.com/watch?v=zbtHrLjGU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