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2세 2학기 발달특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유아 발달 특성 및 놀이 활동
1.1. 영아기 발달 특성
1.1.1. 신체 및 운동 발달
1.1.2. 인지 및 언어 발달
1.1.3. 사회정서 발달
1.2. 유아기 발달 특성
1.2.1. 신체 및 운동 발달
1.2.2. 인지 및 언어 발달
1.2.3. 사회정서 발달
1.3. 영유아기 발달 특성 비교
1.4. 영아기와 유아기의 놀이 특징 비교
2. 영아 놀이 활동 운영 방안
2.1. 시각 발달을 위한 놀이
2.2. 신경반사 발달을 위한 놀이
2.3. 정서 및 감각 발달을 위한 놀이
2.4. 대근육 발달을 위한 놀이
2.5. 언어 및 청각 발달을 위한 놀이
3. 시사점 및 의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유아 발달 특성 및 놀이 활동
1.1. 영아기 발달 특성
1.1.1. 신체 및 운동 발달
영아기 신체 및 운동 발달은 다음과 같다.
만 0세부터 만 2세의 영아는 신체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한다. 먼저 생후 12개월 미만의 영아는 걸음마를 떼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처음에는 누워만 있던 아기가 힘을 주어 몸을 뒤집고, 기어 다니며, 마침내 혼자서 걷게 되는 것이다. 이런 신체 발달과 함께 영아는 주 양육자와 애착 관계를 형성하고, 주변 자극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보이게 된다.
만 1세 영아는 걷기 시작하면서 활동 반경이 넓어진다. 이 시기 영아는 한두 단어로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어휘력이 급격하게 늘어나게 된다. 또한 공을 던지거나 컵에 물을 따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근육이 발달한다.
만 2세 영아는 대근육의 발달이 이루어지면서 달리고, 뛰는 등의 활동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독립적인 활동이 증가하면서 탐색 범위도 늘어나게 된다.
이처럼 영아기는 신체 발달과 운동 능력의 비약적인 향상이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1.2. 인지 및 언어 발달
만 0세부터 만 2세의 영아기 아이들은 인지 및 언어 발달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보인다.
생후 12개월 미만의 영아는 대상영속성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물체나 사람이 자신의 시야에서 사라져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시기 영아들은 주 양육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몸짓, 쿠잉, 옹알이 등을 시도하게 된다.
만 1세 영아는 한 문장을 사용하고 어휘력이 급증하기 시작한다. 주 양육자와의 안정적 애착 형성이 중요한 시기이며, 이를 위해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이 시기 영아들은 따라하기와 상징하기 행동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만 2세 영아는 언어의 모든 면에서 비약적인 발달을 보인다. 음운, 의미, 형태, 구문 등이 발달하여 약 1000개 이상의 어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시작하게 된다.
즉, 영아기는 대상영속성, 의사소통, 어휘력 증가, 상징 능력 등 인지 및 언어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양육자와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충분한 언어적 자극이 이 시기 영아의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1.3. 사회정서 발달
영아기 사회정서 발달은 출생 후 주 양육자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 형성이 핵심이다. 신생아는 울음, 몸짓 등을 통해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며, 주 양육자의 반응적이고 민감한 돌봄을 통해 신뢰감을 형성하게 된다. 만 1세경에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보이며, 단순한 모방 행동이나 병행놀이를 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안정적인 애착이 형성되면 이후 또래 관계 형성과 사회성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 2세에는 자기 인식이 발달하면서 자기주장이 강해지고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이게 되며,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도 점차 발달한다. 영아기는 긍정적인 정서 발달과 사회성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2. 유아기 발달 특성
1.2.1. 신체 및 운동 발달
유아기 만 3세부터 만 5세 유아의 신체 및 운동 발달은 다음과 같다.
만 3세 유아는 신체적인 측면에서 계단을 오르고 세발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슬 꿰...
참고 자료
조성연, 「보육교사론」, 파워북, 2023
오연주 외, 「유아중심 놀이지도」, 창지사, 2020
박찬옥 외, 「2019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영유아 놀이지원」 양성원, 2020
이경하, 임영심, 한남주. 만1세 영아의 그림책읽기에 나타난 행동특성. 2012; 13(2), 99-117.
하승희, 설아영, 소정민, 배소영. 자발화 분석을 통한 만 2세 한국아동의 말-언어발달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016. vol.21, no.1, pp. 47-59 (13 pages) p.
백주희, 장유진.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특성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2023; 50 : 299-326.
김효진, 허혜경. 만2세반 영아중심ㆍ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과정에서 교사의 놀이 경험 의미 탐색. 2021; 21(10), 573-591.
0~3세 두뇌 발달, 부모가 놓치면 안 되는 것은?. (2018).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862.
금쪽같은 내 새끼 167회(채널A, 2023.10.20. 방영)
이민주육아상담소. 신생아기~생후2개월차 발달을 돕는 놀이 10가지.(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