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디어영상론2024년기말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아 디지털 교육
1.1. AR, VR, XR 기술의 이해
1.1.1. AR(증강현실)의 개념 및 특징
1.1.2. VR(가상현실)의 개념 및 특징
1.1.3. XR(확장현실)의 개념 및 특징
1.2. 유아 디지털 교육을 위한 교수매체
1.2.1. 태블릿 PC 활용
1.2.2. AR 그림책 활용
1.2.3. AI 스피커 활용
2.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2.1. 인공지능의 개념 및 원리
2.1.1. 인공지능의 개념
2.1.2.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
2.2. 인공지능의 일상생활 활용 사례
2.2.1. 자율주행차
2.2.2. 구글 어시스턴트
2.2.3. 넷플릭스 콘텐츠 추천
2.3. 인공지능의 교육 분야 활용 사례
2.3.1. ChatGPT를 활용한 역사 인물 면담
2.3.2. ChatGPT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2.3.3. AI 플러스 전화영어
3. 미래 유아교사의 역량
3.1. 미래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
3.1.1. 협업 역량
3.1.2. 자기관리 및 개발 역량
3.1.3. 감성지능 역량
3.2. 미래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디지털 역량
3.2.1. 디지털 기기 및 자료 활용
3.2.2.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3.2.3. 디지털 기반 유아 이해 및 지원
3.3. 디지털 역량 강화 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아 디지털 교육
1.1. AR, VR, XR 기술의 이해
1.1.1. AR(증강현실)의 개념 및 특징
AR(증강현실)은 Augmented Reality의 약자로, 현실 환경에 가상의 정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이다. AR은 현실세계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실감과 몰입감을 제공한다. 즉, 현실 세계에 그래픽을 구현하여 필요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보여주며 현실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특징을 지닌다.
AR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AR은 현실 세계에 가상 정보를 겹쳐서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와 정보가 분리되지 않고 현실과 연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 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둘째, AR은 현실 정보에 가상 정보를 더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몰입감이 높다. 셋째, AR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넷째, AR은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정보의 즉시성을 제공한다.
이처럼 AR은 현실 세계에 가상 정보를 겹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실감과 상호작용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AR은 교육, 게임,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1.1.2. VR(가상현실)의 개념 및 특징
VR(가상현실)의 개념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VR은 Virtual Reality의 약자로 가상현실이라고 하며 이는 현실 세계를 차단하고 디지털 환경만 구축하는 기술이다.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차단해 새로운 세계에 들어간 것처럼 몰입감을 주는 것이 핵심이다. 사용자가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기기를 착용하여 현실 세계와 차단되어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된 입체감 있는 가상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VR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과 완전히 차단된 가상의 공간에서 사용자가 몰입감 있게 경험할 수 있다. 둘째, 컴퓨터 그래픽으로 입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에 반영할 수 있어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넷째, 시각과 청각, 촉각 등 오감을 자극하여 실제와 같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VR 기술은 초기에는 복잡하고 무거운 HMD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했으나,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가벼우면서도 고화질의 HMD가 등장하면서 게임,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몰입감 있는 가상환경을 구축할 수 있어 교육, 훈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1.1.3. XR(확장현실)의 개념 및 특징
XR(확장현실)의 개념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XR은 cross Reality 또는 eXtended Reality(확장 현실)의 약자로 VR, AR 및 MR(혼합현실)을 통칭해서 부르는 표현이다. XR은 컴퓨터 기술로 인한 현실-가상 세계의 결합과 인간-기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즉, XR은 가상·증강현실(VR·AR) 기술의 개별 활용 또는 혼합 활용을 자유롭게 선택하며, 확장된 현실을 창조하는 것이다.
XR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의 융합을 통해 보다 생동감 있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사용자와 컴퓨터 간 상호작용이 자연스러우며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다양한 감각기관(시각, 청각, 촉각 등)을 동원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경험을 선사한다. 넷째,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경험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홀로렌즈나 퀄컴의 'Snapdragon XR1 플랫폼'과 같이, XR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디바이스와 플랫폼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고퀄리티의 확장현실을 경험할 수 있으며, 관련 제조사들도 XR 기기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갤러리XR'과 같이 미술계에서 XR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XR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으로, 향후 교육, 의료,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2. 유아 디지털 교육을 위한 교수매체
1.2.1. 태블릿 PC 활용
태블릿 PC 활용은 유아 디지털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요한 교수매체 중 하나이다. 태블릿 PC는 최근 유아들에게 익숙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수매체이다.
태블릿 PC의 가장 큰 장점은 스마트폰보다 화면이 크기 때문에 한 명이 아닌 여러 명이 함께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함께 상호작용하며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PC는 모바일 기기의 특징인 접근성과 이동성이 뛰어나 유아들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아들은 태블릿 PC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
태블릿 PC에는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어 유아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PC는 동영상, 사진, 웹사이트 등 멀티미디어 자료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유아들의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학습 몰입도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태블릿 PC의 단점도 존재한다. 첫째,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된다. 유아들이 태블릿 PC를 과다 사용하게 되면 산만해지고 수업 집중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신체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기기의 고장이나 배터리 방전 등으로 인한 수업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일부 유아들이 수업 시간에 게임을 하는 등의 부적절한 행동을 보일 수 있다. 넷째, 스마트 기기 사용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사이버 폭력 등의 역기능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 디지털 교육에서 태블릿 PC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기 사용 시간 및 방법에 대한 적절한 지침과 규칙을 마련하고, 교사의 적극적인 관리와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태블릿 PC 사용에 따른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1.2.2. AR 그림책 활용
AR 그림책 활용은 증강현실(AR) 기술을 그림책에 적용한 최신 형태의 디지털 교육매체이다. 증강현실 그림책은 현실공간에 가상의 3D 입체영상을 겹쳐 보여줌으로써 유아들에게 보다 현실감 있고 몰입도 높은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AR 그림책 활용의 장점으로는 첫째, 현실감이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D 평면적인 그림책에 3D 입체영상이 더해짐으로써 공간감과 깊이감이 생성되어 유아들이 보다 생동감 있게 그림책 속의 장면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양방향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유아들이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움직임을 통해 그림책의 내용을 조작하고 변화시킬 수 있어 일방향적인 읽기 활동을 넘어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셋째, 오감을 자극하는 종합 예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단순 시각적 경험을 넘어 움직임, 소리, 촉감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여 유아의 공감각적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유아들의 흥미와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AR 그림책 활동이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R 그림책의 단점으로는 첫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AR 그림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기기와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해야 하므로 일반 종이 그림책에 비해 큰 비용이 드는 편이다. 둘째, 기술적 한계로 인한 제한적인 상호작용성이다. ...
참고 자료
[TECH웨이브] AR·VR 넘어 XR로…대세가 된 가상 공간, 2021.08.05. 테크월드뉴스
이상엽, “XR(Cross Reality)의 기술 개요와 동향”, 2018
류한석, “가상현실(VR) 시장의 전망과 시사점”, 2015
진창범 외 3인, “AR 기술을 이용한 오프라인 상점의 지속적인 성장에 관한 연구”, 2017
최세경,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사례분석과 비즈니스 전망”, 2011
김성하 외 5인, “패션산업에 나타나는 디지털 응용 기술의 접목 사례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 현실 기술을 통한 소비경험의 확장을 중심으로”, 2016
박수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다중실감 구현 기술동향 분석”, 2009
VR/AR 시스템의 최근 동향 및 현업 적용 사례 그리고 전망, 2018.09, science on
김정숙, 유구종, 문가영,「미래사회와유아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깜찍이 헐크, 자동차 자율주행, https://blog.naver.com/01196292191/222305165952, 2024.04.20.
김정숙,유구종,문가영(2023). 미래사회와 유아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교육부(2022).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걍화 연수 자료. 교육부.
김주성,민수진(2019). 인공지능(AI) 기반자율주행차의 발전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도현 외(2019). 자연어처리와 머신러닝을 이용한 디지털 아티팩트 분석방안에 대한 연구. 201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6권 제2호.
안정은,전영국(2017). 인공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 방안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진하은,신지혜,김건동(2021). 대화형 챗봇 캐릭터 기반 AI 초등 글쓰기 학습 앱 서비스 제안.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권 4호.
한규정(2014). 스마트 기기 활용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역기능. 한국정보교육학회,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권 4호.
황요한(2021). 영어교육을 위한 인공지능(AI) 스피커의 활용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영어영문학연구 제47권 제1호.
고운정(2013). 그림책을 이용한 증강현실(AR) 모바일 앱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승연(2018). 동화 확장 활동에서 스마트패드와 지면 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석예지(2019). AI스피커의 미래 디자인 방향성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경(2018). 증강현실 그림책 독서활동이 만4세반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왕재(2021). 인공지능 기술의 구조 및 동향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구글 어시스턴트 홈페이지.
넷플릭스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