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양소 검출 실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양소의 검출과 효소의 활성
1.1. 영양소의 구성과 역할
1.1.1. 탄수화물
1.1.2. 단백질
1.1.3. 지질
1.2. 영양소 검출 시약의 원리
1.2.1.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용액
1.2.2. 베네딕트 용액
1.2.3. 뷰렛 반응
1.2.4. 수단 III 용액
1.3. 소화효소 아밀라아제의 특성
1.3.1. 온도에 따른 효소 활성
1.3.2. pH에 따른 효소 활성
1.4. 실험 방법과 결과
1.4.1. 탄수화물 검출 실험
1.4.2. 효소 활성 실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양소의 검출과 효소의 활성
1.1. 영양소의 구성과 역할
1.1.1.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생물체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주로 광합성을 통해 식물에서 생성된다. 탄수화물은 체내에서 에너지 공급원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형태 및 세포막 구성 성분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식품 가공 과정에서 감미료나 첨가제로도 이용된다.
탄수화물은 분자 내에 알데히드기나 케톤기를 가지고 있는데, 알데히드기를 가지고 있는 탄수화물을 환원성이 있는 환원당이라고 한다.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구분되며, 단당류는 탄소 수에 따라 3탄당, 4탄당 등으로 나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포도당, 과당 등은 6탄당에 해당한다.
이당류에는 설탕, 젖당 등이 있고, 다당류에는 녹말, 셀룰로스, 글리코겐 등이 있다. 녹말은 아밀로펙틴과 아밀로스로 구성된 복합 다당류로,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용액과 반응하면 청색, 자색, 적색으로 발색되는데, 이를 통해 녹말의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식물성 녹말과 동물성 글리코겐은 구조적 차이로 인해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용액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1.1.2. 단백질
단백질은 동식물의 조직에 있는 모든 세포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크고 복잡한 유기화합물이다. 22종의 아미노산 중에서 8∼18종이 모여 1개의 단백질을 이루고 있으며, 단백질 분자의 크기와 복잡성에 따라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와 함량이 각기 다르다.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에는 약 20 종류가 있는데, 이 아미노산들이 화학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폴리펩티드(polypeptide)를 만든다. 이때 아미노산들의 결합을 펩티드결합이라 하며, 이러한 펩티드결합이 여러(poly-)개 존재한다는 뜻에서 폴리펩티드라 부른다. 넓은 의미에서 단백질도 폴리펩티드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분자량이 비교적 작으면 폴리펩티드라 하고, 분자량이 매우 크면 단백질이라고 한다.
단백질의 알칼리성 수용액에 저농도 황산구리용액을 몇 방울 떨어뜨리면 청자~적자색을 띠는 단백질 발색반응이 일어난다. 발색은 구리(II)이온과 착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트리펩티드 이상의 펩티드도 같은 반응을 보이고, 발색률은 펩티드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다. 뷰렛(NH2CONHCONH2)에서도 같은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사용한다.
따라서 단백질은 동식물의 세포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약 20종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복잡한 화합물이다. 이러한 단백질은 알칼리성 수용액과 구리이온의 반응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1.1.3. 지질
지질은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생체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 중 하나이다. 지질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탄수화물과는 배열과 조성이 다르다. 지질은 물에 잘 녹지 않지만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다는 특징이 ...
참고 자료
이론배경 지질 (접속일자: 5.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457&cid=40942&categoryId=32315
이론배경 단백질 (접속일자: 5.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9608&cid=40942&categoryId=32271
이론배경 뷰렛반응 (접속일자: 5.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06065&cid=561&categoryId=561
이론배경 요오드 녹말 검출반응 (접속일자: 5.25)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4055&bbsid=619&popissue=
이론배경 수단3용액 반응 (접속일자: 5.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52291&cid=40942&categoryId=32251
일반생물학 실험교재 편찬위원회, 『일반생물학실험』, 여명사, 2010, pp.12-16.
한국식품영양 교수협의회, 『기초영양학』, 효일, 2006, pp.21, 49, 83-84.
연홍, 「탄수화물 검출 실험 2」,
http://blog.naver.com/clqdk?Redirect=Log&logNo=130029762033, 2008년 3월 30일, 베네딕트 반응 및 요오드 반응 부분 참조.
이장님, 「뷰렛반응」,
http://cafe.naver.com/50thinkfun.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13, 2008년 11월 23일, 뷰렛 반응의 원리 부분 참조.
민철기 외, 『생물학실험서』, 라이프사이언스, 2006, p.41.
wizaraniss, 「영양소검출 반응」,
http://blog.naver.com/wizardniss?Redirect=Log&logNo=130029913117, 2008년 4월 3일, 수단 III의 화학식 부분 참조.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화학대사전, 세화 편집부, 2001. 5. 20.
식품과학기술대사전, 한국식품과학회, 2008. 4. 10., 광일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