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췌장
1.1. 췌장의 정의와 해부학
췌장은 길이가 약 13~16cm, 폭이 약 5cm, 무게가 약 70g 정도의 복막후장기로 위의 뒤쪽에 위치하며 두부와 체부, 미부로 나눌 수 있다. 두부와 체부는 십이지장 쪽에, 미부는 비장 쪽에 있다. 췌장은 내분비기능과 외분비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소화기관이다. 췌관은 총담관과 함께 바터팽대부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연결되어 있어 췌장에서 생성한 소화액을 십이지장으로 분비한다. 따라서 췌장은 소화기관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장기라고 할 수 있다"
1.2. 췌장의 내분비 기능
췌장의 내분비 기능은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에서 담당하는데, 이 섬에는 α세포와 β세포라는 두 종류의 세포가 있다. α세포에서는 글루카곤(glucagon)을 분비하고, β세포에서는 인슐린(insulin)을 분비하여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루카곤은 간에서 glycogen을 glucose로 전환시켜 혈당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고, 인슐린은 말초 조직에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여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 두 호르몬은 상호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혈당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α세포와 β세포 이외에도 췌장 랑게르한스섬에는 δ세포와 PP세포가 존재한다. δ세포에서는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을, PP세포에서는 췌장폴리펩티드(pancreatic polypeptide)를 각각 분비한다. 소마토스타틴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억제하고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췌장폴리펩티드는 췌장의 외분비 분비를 조절하고 위장관 운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췌장의 내분비 기능은 혈당 조절, 영양소 대사, 위장관 생리 조절 등 다양한 작용을 수행하며, 이는 췌장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1.3. 췌장의 외분비 기능
췌장의 외분비 기능은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다양한 소화효소와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다. 췌장은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펩티다아제 등의 중요한 소화효소를 생성하여 분비한다. 이러한 췌장의 외분비 기능은 주로 십이지장 내에서 이루어진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중탄산이온은 위에서 내려온 산성 위액을 중화시켜 십이지장 내의 pH를 적절히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췌장의 소화효소들이 최적의 환경에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된 소화효소들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소화를 돕는다.
부교감 신경은 췌장의 외분비 기능을 증가시키는 반면, 교감 신경은 이를 억제한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자율신경계가 이러한 췌장의 외분비 기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처럼 췌장의 외분비 기능은 소화 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췌장염
2.1. 급성 췌장염
2.1.1. 급성 췌장염의 병태생리
급성 췌장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급성 췌장염은 급성 간질성과 급성 출혈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급성 간질성 췌장염인 경우 췌장샘이 전체적으로 붓고 염증이 있으나 해부학적 형태는 변하지 않고 출혈이나 괴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급성 출혈성 췌장염인 경우 출혈과 괴사가 일어나며 심한 경우 췌장의 광범위한 지방괴사 뿐만 아니라 복강이나 흉강 그리고 피하조직도 괴사가 일어난다.
급성 췌장염에서는 4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