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 교수에서 상향식과 하향식 접근 방식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 교수 접근법의 이해
1.1. 상향식 접근방식과 하향식 접근방식의 개념
1.2. 듣기 지도에서의 상향식 및 하향식 접근방식의 장단점
1.3. 읽기 지도에서의 상향식 및 하향식 접근방식의 장단점
2. 언어 어휘 구조의 이해
2.1. 합성과 파생의 개념
2.2. 합성어의 양상
2.3. 파생어의 양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 교수 접근법의 이해
1.1. 상향식 접근방식과 하향식 접근방식의 개념
상향식 접근방식이란 문법의 하위 지식인 음운론, 어휘, 통사론의 지식에서 출발하여 점차 의미를 이해해 나가는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즉, 음소, 단어, 구, 문장 등의 순서로 해독의 범위를 넓혀가며 말을 분석하는 귀납적인 과정이다. 상향식 접근에서는 입력된 자료의 언어학적 하위 지식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므로 목표어에 대한 언어지식이 부족한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이다.
반면 하향식 접근방식은 화용, 문화, 담화 수준의 상위지식에서 출발하여 단계적으로 하위의 어휘나 음절 등의 언어지식으로 내려가는 연역적 과정이다. 하향식 접근에서는 학습자의 경험과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의미를 추론하고 예측하는 과정을 중시한다"이다.
1.2. 듣기 지도에서의 상향식 및 하향식 접근방식의 장단점
듣기 지도에서의 상향식 접근방식은 청자가 언어음과 단어 등의 하위 요소부터 출발하여 점점 큰 단위인 문장과 담화 수준으로 오르는 처리 과정이다. 이 방식의 장점은 낱말 인지와 해독에 유용하지만, 글의 흐름이나 의미 파악에는 어려움이 있어 학습자들의 흥미를 쉽게 잃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하향식 접근방식은 듣기 내용의 전반적인 맥락과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의미를 먼저 파악하고, 점차 하위 요소인 단어와 문법 형태소 등의 언어 지식으로 내려오는 처리 과정이다. 이 방식의 장점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내용을 구성해 나가며 의미 이해에 집중할 수 있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어와 문법 해석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듣기 지도에서는 하향식 접근방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청자는 단순히 언어음과 단어를 인식하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배경지식을 바탕...
참고 자료
황윤혜. "메타인지 순환 교수법과 상향식 듣기 활동의 결합이 중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8. 서울
민현식.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연구 22.- (2008): 261-334.
고영근·구본관(201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김창섭(2001), 「합성어」, 『새국어생활』, 11(1), 국립국어연구원.
송철의(2001), 「파생어」, 『새국어생활』 11(2), 국립국어연구원.
왕정·박덕유(2012), 「한국어와 중국어의 조어법 대조 연구」, 『새국어교육』 91, 한국국어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