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핵약 부작용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문헌고찰
2. 폐결핵의 정의와 특성
2.1. 폐결핵의 정의
2.2. 폐결핵의 병태생리
2.3. 폐결핵의 증상
3. 폐결핵의 진단 및 치료
3.1. 폐결핵의 진단
3.2. 항결핵제의 종류와 용량 및 부작용
3.3. 폐결핵의 치료법
4. 폐결핵의 간호중재
4.1. 기도개방유지 간호중재
4.2. 피부통합성 장애 예방 간호중재
4.3. 낙상 예방 간호중재
4.4. 정서적 지지 간호중재
5. 폐결핵 환자 교육
5.1. 약물 복용의 중요성 교육
5.2. 감염 예방 교육
5.3. 건강관리 교육
6. 폐결핵의 예방
6.1. 결핵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6.2. 결핵 예방을 위한 방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결핵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전염병으로 우리나라의 결핵 유병률은 2019년 기준 3만여 명이며 결핵의 발생률과 사망률에 있어서 OECD 참여 국가 중에서 가장 높다. 우리나라의 결핵환자는 20대와 30대의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60대 전후 발병률이 급증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젊은 층 결핵환자들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적은 노인층 결핵환자에 비해 결핵이 완치되었다 하더라도 나이가 들어 면역력이 약해지면 결핵이 다시 재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우리나라의 결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바로 이들 20~30대 젊은 층의 결핵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결핵은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장기간 치료로 인하여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계 많은 국가에서 결핵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장기간 치료로 인하여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각 국가는 정부 차원에서 결핵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각 국가의 실정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결핵 진료 지침을 개발하고 있다. 항 결핵제 개발 이전에는 인구의 절반이 결핵으로 인해 사망했으며,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고 있다. 폐결핵 환자가 항결핵제를 복용하면 전염성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결핵균의 전염은 대부분 결핵 환자가 기침, 객담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시기부터 치료가 시작되는 시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한다. 결핵의 진단과 치료가 지연될 경우 결핵 병변이 진행될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 결핵균을 전파할 기회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결핵퇴치를 위해서는 전염성 결핵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격리하고 치료함으로써 결핵균의 전파를 차단해야 한다.
1.2. 연구의 목적
최근 보고되는 사례 중 폐결핵의 경우 증상이 완화된 후 대상자가 자가 간호를 실시할 때 대상자는 자신이 완치 됐다고 생각해 처방된 약물을 잘 챙겨먹지 않거나 퇴원 후 상태를 보기위한 추가 진료에 오지 않아 치료 되고 있던 폐결핵이 다시금 악화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현재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다른 어떤 감염성 질환보다 많다. 따라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결핵'을 좀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입원 중, 퇴원 교육을 통해 재발률을 감소시키고 또한 입원 시 대상자의 정서적 안위를 도모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1.3. 문헌고찰
결핵이란 활동성 결핵환자의 결핵균이 포함된 기침 혹은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어, 이를 주위 사람들이 들이마심으로써 감염되는 질병이다. 결핵의 약 85%는 폐에서 발병하는 폐결핵이지만, 우리 몸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 위치에 따라 병명이 달라진다. 폐에 들어온 결핵균이 바로 병을 일으키는 것을 일차성 결핵이라 하고, 신체에 들어온 결핵균이 병을 일으키지 않고 신체 안에 숨어 있다가 결핵을 일으키는 경우가 이차성 결핵이다.
폐결핵 환자 중 70~80%에서 호흡기 관련 증상을 보이지만, 감기 등 기타 질환과 구분이 어려워 초기 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성인 폐결핵환자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증상에는 기침, 객담(또는 혈담), 발열(미열과 오한), 무력감(또는 피곤함), 체중감소 등이 있다. 특히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고 열이 나며 기침 증상이 밤에 더 심해질 경우, 결핵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결핵 진단에는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 흉부 엑스선(X-Ray) 검사, 객담 검사 등이 있다.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는 결핵균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방법이며, 흉부 엑스선 검사는 결핵 진단에 유용하지만 단독으로 결핵을 진단하지는 않는다. 결핵을 진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객담 도말검사 및 객담 배양검사를 통해 결핵균을 확인하는 것이다.
결핵 치료의 핵심은 일정한 시간에 정확한 용량의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다. 결핵은 올바른 약복용을 통해 완치될 수 있는 질병이지만, 무엇보다도 '전문가에 의한 적절한 약제 처방', '규칙적이고 정확한 복용', '치료를 완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환자관리'가 중요하다. 결핵 환자에게는 위장관 장애나 간 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결핵 관리를 위해서는 전염력 감소, 복약 중단 금지, 경과 관찰이 중요하다. 전염력은 결핵 치료 시작 후 2주 내 대개 사라지지만, 전염성 결핵 환자는 일정 기간 격리가 필요하다. 또한 결핵균은 증식 속도가 느려 중도에 약 복용을 중단하면 재발할 가능성이 크므로, 반드시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치료 경과 및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결핵 예방을 위해서는 결핵균의 전파 차단,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BCG 예방접종 등이 중요하다. 결핵 환자의 기침이나 재채기 시 마스크 착용, 환기 등을 통해 결핵균 전파를 방지해야 하며,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금연, 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소아의 경우 BCG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결핵 예방에 도움이 된다.
2. 폐결핵의 정의와 특성
2.1. 폐결핵의 정의
폐결핵이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침입으로 인해 폐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결핵균은 막대모양의 호기성 균으로, 세포벽이 지방 성분이 많아 건조한 상태...
참고 자료
전시자 외. (2010).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간호사를 위한 임상양리학. 2009. Sally S.Roach, Susan M. Ford 저. 김수경 외 28명 역. EPUBLIC
http://tbfree.cdc.go.kr/tbfree/mtbfree/contents/contents.do?conts=01/02_01.jsp&mId=1210
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zcV8&fldid=ODEl&datanum=20&openArticle=true&docid=zcV8ODEl2020110413215547
http://tbfree.cdc.go.kr/tbfree/contents.do?conts=summary/summary03_1.jsp&id=1310
손장원(2011), 폐결핵과 급성호흡부전, 대한내과학회
민선영(2010), 폐결핵 환자의 완치 및 사망 관련요인, 인제대학교
https://www.google.co.kr/#newwindow=1&q=%ED%8F%90%EA%B2%B0%ED%95%B5+%EA%B4%80%EB%A6%AC+%EB%8F%99%EC%98%81%EC%83%81
https://www.youtube.com/watch?v=TZXmlDSx1wA
진주시 보건소 http://health.jinju.go.kr/sub/06_04_07.jsp
성인간호학,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2014, 이노우에 도모코 외, 메디캠퍼스
대한결핵협회, https://www.knta.or.kr/
질병관리청 결핵 ZERO, http://tbzero.cdc.go.kr/tbzero/main.do?pageEvent=N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서울아산병원, ‘폐결핵’,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7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Ⅰ 8판, 정담미디어, 2017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Ⅱ 8판, 정담미디어, 2017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2018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18
국제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5-2017,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