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게임이론의 개요
1.1. 게임이론의 정의와 역사
게임이론은 사회과학, 생물학, 정치학, 컴퓨터공학, 철학에서 활용되는 응용수학의 한 분야이다. 이 이론은 한 개인의 의사결정에서의 성공이 다른 사람의 선택에 의존적인 전략적 상황에서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처음에는 제로섬 게임(한 개인이 다른 사람의 이익을 빼앗는 상황)에서의 경쟁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지금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분류되는 광범위한 상호작용을 다룰 수 있도록 확장되었다. 과거에도 게임이론에 관한 몇 가지 연구가 있었지만, 게임이론은 1944년, 존 폰 노이만과 Oskar Morgenstern이 저술한 "게임의 이론과 경제적 행위"라는 책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그 후 이 이론은 1950년대 많은 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자연선택에 의한 종의 진화를 포함한 동물의 행동에 적용되었다. 이제 게임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도구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1.2. 게임이론의 활용 분야
게임이론의 활용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게임이론은 사회과학, 생물학, 정치학, 컴퓨터공학, 철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조직론에서는 게임이론을 활용하여 기업의 생산량 및 가격 결정, 광고, 투자 결정, 담합과 신호 등을 분석한다. 기업 간 상호작용을 게임으로 모형화하여 최적의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정부규제론에서는 내부거래, 공정거래 등의 문제를 게임이론으로 해석한다. 기업과 정부 사이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규제 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한다.
셋째, 노동경제학에서는 노사 간 임금협상과 정리해고의 타결 문제를 게임이론으로 접근한다. 노사 간 상호작용을 모형화하여 합리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다.
넷째, 국제무역론에서는 관세정책, 다국적 기업전략 등에 게임이론을 적용한다. 국가 간 전략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최적의 무역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한다.
다섯째, 국제금융론에서는 외채협상, 환율게임 등의 문제를 게임이론으로 다룬다. 국가 간 금융 거래에서의 전략적 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
여섯째, 정치경제학에서는 공공선택이론의 기반이 되는 게임이론을 활용한다. 정부와 시민 간 상호작용을 모형화하여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일곱째, 재무론에서는 주식발행, 재원조달, 매수합병 등의 의사결정 문제에 게임이론을 적용한다. 기업 간 전략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재무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여덟째, 생물학에서는 진화론에 게임이론을 활용한다. 생물 개체들의 상호작용을 게임으로 모형화하여 종의 진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게임이론은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각 분야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2. 게임이론의 구성 요소
2.1. 참여자
참여자는 게임에서 적절한 의사결정을 통해 행동을 하고, 자신의 행동과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의해 결정되는 대가를 받는 자이다. 선수(player)라고도 부르는데, 전략적 상황에 훌륭하게 대처한다는 의미에서의 선수이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선택하고 행동하며, 타인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협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기적인 경제 주체일지라도 협조하는 것이 자신의 이해관계에 도움이 되는 경우라면 협조하기도 한다. 따라서 비협조게임에서도 협조적인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2.2. 비협조게임
게임에 참여하는 선수들은 모두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선택하고 행동한다는 점에서 '비협조게임'이라 볼 수 있다. 타인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의 '비협조'이기 때문에 비협조게임으로 협조적인 상황을 분석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기적인 경제 주체일지라도 협조하는 것이 자신의 이해관계에 도움이 된다면 협조하기 때문이다. 게임이론의 분석 대상인 게임은 참여자 간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상황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각자가 자신의 입장만 생각해서는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각자는 자신의 행동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행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의사결정을 할 때 상대방의 입장도 항상 염두에 두고 행동해야 한다. 게임이론은 이러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를 분석하는 이론이다. 또한 역으로 게임이론은 어떤 바람직한 결과가 나타나도록 게임상황을 디자인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2.3. 전략
전략은 선수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을 총칭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과점기업은 생산량이나 가격 등을 결정하는 것이 전략이 된다. 전략은 단순히 대안을 늘어놓은 것만은 아니며 주어진 게임에서 어떤 것이 전략을 구성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게임이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기업이 경쟁 관계에 있는 경우, 각 기업은 생산량, 가격, 광고 투자 등 다양한 변수를 조절하며 상대방의 행동에 대응하는 전략을 수립한다. 이때 각 기업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전략은 게임이론에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4. 보수
보수는 선수들이 선택한 전략에 따라 행동이 실행되고 게임이 진행되면 그 결과로서 각자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보수가 지불되면 게임이 끝나게 된다. 홀짝놀이에서 지는 경우 돈을 내는 경우처럼 음(-)의 보수도 가능하다. 즉, 보수는 게임 참여자들이 내린 결정에 따라 얻게 되는 결과물이며, 이것이 곧 게임의 종료 기준이 된다는 의미이다.""
2.5. 규칙
규칙은 게임에 참여하는 선수들이 어떤 행동을 하고 또 어떤 정보를 갖고 있는지를 정의하는 것이다. 게임에는 반드시 규칙이 있어야 하며, 선수들은 그 규칙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규칙에는 누가 언제 행동을 취하고,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장기나 바둑과 같은 게임에서는 어떤 순서로 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