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폐의 시간가치 의미를 쓰고, 동일한 금액인 경우 미래 현금흐름보다는 현재의 현금흐름을 선호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화폐의 시간 가치
1.1. 화폐의 시간가치 개념
1.2. 화폐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1.3. 미래 현금흐름과 현재 현금흐름의 선호 이유
1.3.1. 인플레이션
1.3.2. 시간 선호
1.3.3. 유동성 선호
1.3.4. 자본의 생산성
2. 화폐 가치의 실제 계산
2.1. 미래가치 계산
2.2. 현재가치 계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화폐의 시간 가치
1.1. 화폐의 시간가치 개념
화폐의 시간가치 개념이란 동일한 금액의 화폐라도 발생하는 시점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말한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화폐와 미래에 보유하게 될 화폐는 동일한 양이라고 해도 그 가치는 다르다.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화폐를 가능한 빨리 소유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화폐의 가치는 시간에 따라 다르며 현재와 미래의 가치 사이의 관계는 이자율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현재의 가치나 미래의 가치가 주어졌을 때 이자율을 이용하여 화폐에 대한 미래 또는 현재의 가치를 각각 구할 수 있다. 화폐의 현재와 미래 가치에 대한 관계식은 이자를 어떠한 형태의 복리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가에 따라 달라진다.
이처럼 화폐의 가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기업의 재무의사결정에서 화폐의 시간가치 개념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1.2. 화폐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화폐의 현재가치란 미래에 발생하게 될 현금흐름을 현재시점의 가치로 평가한 금액이다. 미래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자본비용, 할인율을 이용하여 현재시점의 가치로 환산하는데, 이때 현재가치는 미래의 금액을 할인하여 계산하고 미래의 금액에 대하여 현재까지의 이자에 해당하는 할인료를 차감한 금액을 의미한다. 현재로부터 n기간 후에 발생하는 1원의 현재가치를 PVn이라 할 때, 현재가치 PVn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Vn = 1 / (1+r)n
여기서 r은 할인율 또는 자본비용을 나타낸다. 이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현재시점의 가치로 환산하는 공식이다.
반면 화폐의 미래가치란 현재시점의 일정금액을 미래 일정시점의 화폐가치로 평가한 것이다. 즉, 현재시점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을 이자율, 기회비용 등을 이용하여 미래시점...
참고 자료
박종연, 2009,「금리는 경제의 미래를 알고 있다」, 원앤원북스,
https://jeongchii.tistory.com/entry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31XXXXX18005
매경 시사용어사전
두산백과 두피디아
온라인 중앙일보 ‘화폐의 시간가치란’
네이버 지식백과 ‘화폐의 가치’
네이버 블로그 ‘티니’ -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폐의 가치가 달라진다
해커스평생교육원 재무관리 교안
위키백과,“유동성선호”,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8F%99%EC%84%B1_%EC%84%A0%ED%98%B8(2021.05.11)
한국은행(2018), 경제이야기
Stephen A. Ross, Ross의 기업재무관리, 한국맥그로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