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생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독립운동의 시기적 이념과 방법론
1.1. 서론
1.2. 한말 국권회복운동
1.3. 시기별 독립운동의 이념
1.3.1. 1910년대 이념
1.3.2. 1920년대 이념
1.3.3. 1930년대 이후 이념
1.4. 독립운동의 방법론
1.4.1. 1910년대 방법론
1.4.2. 1920년대 방법론
1.4.3. 1930년대 이후 방법론
1.5. 독립운동상의 통합적 운용
1.5.1. 3·1운동과 임시정부의 수립
1.5.2. 국민대표회의
1.5.3. 국내외 민족유일당운동
1.5.4. 한국대일전선통일연맹
1.5.5. 7당·5당 통일회의
1.6. 맺음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독립운동의 시기적 이념과 방법론
1.1. 서론
독립운동은 제국주의 침략을 받아 빼앗긴 국토를 되찾고 이 땅에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한 민족운동이다. 개항 이래 일제와 서구 열강의 계속되는 침략에 1904년경부터 사실상 반식민지상태에 놓였던 대한제국은 1910년 끝내 멸망하고 말았다. 그러나 한민족은 일제의 침략과 지배를 받는 기간 내내 일제를 부정하고 국내는 물론 세계 각지에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하였다. 나라를 되찾는 그 날까지 그치거나 끊어지지 않고 이어진 한국 독립운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다양한 이념과 방법론이다. 독립운동의 이념이란 독립운동이 성공하면 어떤 나라를 건설할 것인가 하는 목표를 말한다. 즉 독립할 나라는 어떤 사회원리와 정치원리로 운영할 것인가 하는 목표이다. 이러한 독립운동의 이념은 독립운동의 방법론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국독립운동의 이념은 다양하게 제기되었는데 그것은 독립운동의 주체가 점차 확산되어 남녀노소·직업·신분·종교 등을 초월하여 전 민족적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며 또 독립운동의 무대가 세계 각지에 이른 탓으로 각지의 영향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양한 이념아래 독립운동의 방법론 또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이는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한민족의 강렬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1.2. 한말 국권회복운동
한말의 국권회복운동은 이념과 방법론에 따라 의병전쟁과 구국계몽운동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초기의 의병은 위정척사를 위한 척사의병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다. 위정척사의식은 북벌론에서 구체화된 사상으로 조선 후기 정치사상에서 주류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실학의 북학론이나 동도서기론 내지 개화론과는 대척점에 서있던 사상적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위정척사 의식이 일제 침략을 맞이하여 의병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1904년 「韓日議定書」와 「第一次韓日協約」이 잇따라 강제되며 대한제국이 사실상 반식민지로 전락하면서부터 척사이념은 부차적이거나 잠복하고 구국이념이 중심개념으로 부상하였다. 더욱이 1907년 7월 광무황제의 강제퇴위와 「丁未七條約」 그리고 8월의 군대해산 등에 따라 일어난 민족적인 규모의 의병봉기와 해산군인의 의병참전으로 이러한 반제국주의적 구국이념은 더욱 발전해갔다.
한편 의병들의 격렬한 항일의병전쟁이 전개되고 있을 때 서울 및 지방도시의 자산가, 지식인, 관료 그리고 개혁적 유학자들은 교육·언론 등 문화활동과 산업진흥을 통해 문화·경제적 실력을 양성함으로써 국권을 회복하려는 계몽운동을 전개했다. 계몽운동가들은 당시 국제관계를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의 원리가 지배하는 치열한 힘의 각축시대로 인식하여 부국강병한 나라를 만들어야 독립을 지킬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1907년 광무황제가 강제퇴위되고 「丁未七條約」과 군대 해산 등 일제의 침략이 더욱 격렬해지는 가운데 계몽운동은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구국의 논리의 바탕이 된 사회진화론이 철저한 제국주의의 논리였고 그에 따라 계몽주의자는 도태의 필연적 운명을 받아들이며 점차 힘의 강자인 일제에 굴복하는 패배주의에 빠져갔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패배주의에 함몰하지 않고 진화와 경쟁을 위하여 새로운 길을 찾아나선 세력이 있었다. 그들은 진화의 주체를 국가가 아닌 민족으로 보았다. 민족을 주체로 보면 국가가 멸망해도 진화의 주체인 민족은 존재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팽창하고 발전할 수 있게 된다. 양기탁, 신채호, 박은식 등이 여기에 해당했다.
따라서 한말 국권회복운동은 의병계열과 계몽운동 계열이 서로 간의 이념과 방략을 받아들였고, 이것이 3·1운동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1.3. 시기별 독립운동의 이념
1.3.1. 1910년대 이념
1910년대 독립운동의 이념은 복벽주의(전제 군주제)와 보황주의(입헌 군주제), 공화주의로 구분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한말 공화주의 이념의 전통을 이었고, 신해혁명의 영향이나 해외동포와의 교류 그리고 러시아혁명의 영향도 받아 성장한 민주공화주의 사상이다.
공화주의 사상의 성장에 따라 광복회같은 공화주의적 혁명단체가 등장하였고 1917년에는 황제의 주권포기로 주권이 다시 민족의 주체자인 국민에게 귀속됨을 천명한 「대동단결선언」이 제창되었다.
1910년대는 다양한 사상적 모색기였고 독립운동의 이념은 경계를 넘나들고 있었기 때문에, 이는 복벽주의와 공화주의가 합류하여 새로운 사조를 형성하고 독립운동의 근대국가 이념을 심화시켜간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이념상의 변화는 1910년대 독립운동의 사상과 전략의 변천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1.3.2. 1920년대 이념
1920년대 이념은 3·1운동을 계기로 폭넓고 자유롭게 이루어졌다. 3·1운동의 기본사상은 '정의·인도' 즉, 정의사회론과 인도주의였고 그를 위한 사회개조와 세계개조 사상이었다. 때문에 3·1운동 이후 민족주의, 사회주의, 아나키즘이 확산되어 갔다. 이는 3·1운동의 인도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고민의 산물이었다.
사회주의는 반제국주의적 사고체계로 수용되었으며, 민족해방운동과 계급해방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었다. 한국인들은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사회주의 관련 서적과 활동을 통해 사회주의를 접했고, 급격히 확산되었다. 특히 3·1운동 이후 민중의 힘을 인식한 독립운동가들이 사회주의에 주목하게 되었다.
아나키즘도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에 의해 수용되어 민족해방운동의 지도이념으로 기능했다. 한국인 아나키스트들은 일제로부...
참고 자료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다”, 안중근, 근대, 우리역사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n0770_0010
“안중근 (安重根)”, 근대사, 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026
“3·1운동 (三一運動)”, 근대사, 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77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의 전개』(신편한국사 1), 2002
국사편찬위원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신편한국사 47), 2002
국사편찬위원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신편한국사 49), 2002
국사편찬위원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신편한국사 50), 2002
권대웅,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Ⅰ- 상해시기』(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2008
박걸순, 『국학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4),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신용하, 『신간회의 민족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6),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이호룡,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5),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장세윤,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한국독립운동의 역사 51),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조동걸, 『한국독립운동사 총설』(于史 趙東杰 저술전집 03), 역사공간, 2010
최규진, 『조선공산당 재건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4),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한영우, 『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2015
강만길, 「일제시대 민족해방운동의 통일전선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2, 1998
김희곤, 「독립운동과 민족통일」, 『한국근현대사연구』 64, 2013
박걸순, 「1910년대 비밀결사의 투쟁방략과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6, 2013
박영석, 「항일민족독립운동의 방략」(『한국독립운동의 이해와 평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5
윤경로, 「1910년대 독립운동의 동향과 그 특성」,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5
전상숙, 「사회주의 수용 양태를 통해본 일제시기 사회주의운동의 재고찰」, 『동양정치사상사』, 2005
조동걸, 「독립운동의 특징과 의의」(『한국독립운동의 이해와 평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995
한시준, 「민족유일당운동과 洪震」,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