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포트폴리오와 포트폴리오 선택이론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포트폴리오이론 개요
1.1. 포트폴리오이론의 의의
1.2.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위험
1.3. 효율적 포트폴리오의 발견
1.4. 최적포트폴리오의 선택
2.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 효과
2.1.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 효과의 개념
2.2.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
2.3. 분산투자에 의한 위험저감이 발생하는 사례
2.4. 분산투자 효과 극대화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의견
3.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
3.1. 자본시장선의 특징
3.2. 증권시장선의 특징
3.3.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의 공통점
3.4.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의 차이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포트폴리오이론 개요
1.1. 포트폴리오이론의 의의
포트폴리오(Portfolio)란 광의로는 증권, 부동산, 귀금속 등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자산의 조합(combinations of two or more assets)을 말하며, 협의로는 그 중에서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사채 등의 금융자산(financial assets)의 조합을 말한다. 포트폴리오에 투자하는 이유는 합리적인 투자자라면 높은 기대수익률을 추구하는 동시에 가능하면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포트폴리오이-談portfolio theory)은 불확실성하에서 투자자들이 어떻게 투자해야하는가를 규범적(normative)으로 접근한 방법으로서 1952년 H. M. Markowitz의 "Portfolio Selection"이란 논문에서 처음으로 체계화된 이론이다. Markowitz는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과 분산을 이용해서 위험을 계량화하고 분산투자의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1.2.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위험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개별 자산의 기대수익률을 각각의 투자비율로 가중 평균한 값이다. 구체적으로 n개의 자산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 E(Rp)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E(Rp) = w1 × E(R1) + w2 × E(R2) + ... + wn × E(Rn)
여기서 wi는 i번째 자산에 대한 투자비율이며, E(Ri)는 i번째 자산의 기대수익률이다.
또한 포트폴리오의 위험은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 E(Rp)로부터 포트폴리오의 가능한 수익률 Rp의 편차 자승의 합으로 계산된다. 구체적으로 n개의 자산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분산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Var(Rp) = Σ wi² × Var(Ri) + Σ Σ wi × wj × Cov(Ri, Rj)
여기서 Var(Ri)는 i번째 자산의 분산이며, Cov(Ri, Rj)는 i번째 자산과 j번째 자산의 공분산이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위험은 개별 자산의 위험, 각 자산에 대한 투자비율, 그리고 자산 간 공분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공분산은 두 자산의 수익률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수록 더 큰 양의 값을 가지며,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수록 더 큰 음의 값을 가진다. 이를 통해 적절한 분산투자가 이루어지면 포트폴리오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효율적 포트폴리오의 발견
여러 개의 증권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위험을 정하여 위험 ? 수익 평면에 표시하면 그림과 같은 투자 가능한 투자기회집합(opportunity set)이 얻어진다. 투자기회집합 내에 있는 포트폴리오는 어떤 증권을 어떤 비율로 투자하는가에 따라 수없이 많게 된다. 그림에서 투자기회집합의 AB선이 곡선을 이루는 것은 현실적으로 증권수익률간의 상관계수가 0보다 크고 1보다 작기 때문이다.
투자기회집합내의 포트폴리오가 모두 투자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합리적인 투자자라면 위험수준이 같은 포트폴리오 중에서는 수익률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에 투자하고, 수익률이 같은 포트폴리오 중에서는 위험이 가장 작은 포트폴리오에 투자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투자원칙을 지배원리라 한다.
지배원리(dominance principle)란 모든 투자 가능한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과 위험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위험과 가장 큰 기대 수익률을 갖는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원리이다.
투자기회집합 여기에서 지배원리를 충족시키는 포트폴리오의 집합이 효율적 프런티어(efficient frontier)인 AB선이며, AB선상의 포트폴리오를 효율적 포트...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우리 교재
KDI 경제정보센터 eiec.kdi.re.kr
채권기초 (The Basics of Bonds) 김형호 저 | 이패스코리아 | 2018.10.10
주식투자의 기초적 원리 다니엘 최 저 | 퍼플 | 2017.08.21
투자원리 (당당하게 돈을 버는 주식) 정순열 저 | 지식과감성 | 2020.12.15
Ross. Ross의 재무관리. 지필미디어. 2019
박정식. 현대재무관리. 다산출판사. 2015
지한송. 지한송 재무관리. 세진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