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통대 생물과학 특정 생태계에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명과학의 성과와 의의
1.1. 생명과학의 발전
1.2. 생명과학의 분야별 성과
1.2.1. 세포학과 미생물학
1.2.2.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1.2.3. 식물생리학과 동물생리학
1.2.4. 생태학
1.3. 생명과학의 미래과제와 전망
2. 우리나라 농업의 문제점
2.1. 농작물재해보험 개요
2.2. 농작물재해보험 현황과 문제점
2.2.1. 낮은 가입률
2.2.2.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
2.2.3. 농가의 불만사항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명과학의 성과와 의의
1.1. 생명과학의 발전
생명과학의 발전은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져 왔다. 고대에는 주로 관찰을 통해 생명체의 특성을 탐구하였지만, 근대에 들어서는 실험적 방법이 도입되면서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가 크게 증진되었다. 20세기 들어서는 특히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생명체의 작동 원리를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게 되었다.
먼저 세포학과 미생물학 분야의 발전을 살펴보면, 현미경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세포라는 생명체의 기본 단위가 발견되었다. 로버트 훅은 현미경으로 관찰한 코르크의 벽공 구조를 세포라고 명명하였으며, 이후 모든 생물체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는 세포설이 확립되었다. 또한 세포 내부의 소기관들이 발견되면서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더불어 미생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세균이 질병의 원인임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 소독법과 백신 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한편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분야에서는 멘델, 모건, 그리피스 등의 연구를 거쳐 DNA가 유전물질임이 확인되었고, 왓슨과 크릭에 의해 DNA의 이중나선 구조가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구조와 기능, 유전 정보의 전달 과정 등 생명현상의 근본적인 원리가 규명되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개발로 인해 유용 물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식물생리학과 동물생리학 분야에서는 식물 호르몬과 동물 호르몬의 작용 기작 등이 밝혀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농업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옥신을 처리하여 작물의 생장을 조절하거나, 동물의 호르몬 부족을 인공적으로 보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등의 사례가 있다.
생태학 분야에서도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의 구조 및 작용 원리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다. 이를 통해 자연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처럼 생명과학의 분야별 발전을 통해 생명체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가 크게 신장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질병 치료, 식량 생산, 환경 보호 등 인류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생명과학은 21세기를 주도할 핵심 학문 분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생명과학의 분야별 성과
1.2.1. 세포학과 미생물학
세포학과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세포의 존재가 밝혀지고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생명체의 기본적인 구조와 작용 원리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또한 현미경 기술의 발달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인류에게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병원균의 발견과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우선 세포학 분야의 발전을 살펴보면, 17세기에 로버트 훅이 코르크를 관찰하여 세포의 존재를 처음 발견하였다. 이후 현미경 기술의 발달로 세포의 구조와 세포 내부 소기관의 기능이 규명되었다. 특히 세포 주기와 세포 분열 과정, 유전물질의 복제와 분배 등 세포의 증식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정상적인 세포 주기와 달리 끊임없이 증식하는 암세포의 특성이 규명되었고, 이는 암 치료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미생물학 분야에서는 현미경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미생물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과 바이러스가 규명되면서 감염병 연구가 큰 진척을 이루었다. 탄저균, 결핵균 등 세균이 전염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를 토대로 항생제와 백신 개발이 가능해졌다. 또한 담배모자이크병에서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이후 각종 바이러스성 질병의 원인이 규명되었다. AIDS, 천연두 등의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치료제와 백신 개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이러한 바이러스 연구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세포학과 미생물학의 발전은 생명체의 기본 구조와 작용 원리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인류가 직면한 질병 극복과 건강한 삶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세포 분열과 암, 미생물 감염과 전염병 등의 연구 성과는 의학 분야에 큰 발전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1.2.2.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수많은 생명과학 분야가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며 성과를 이루어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는 것이 질병치료와 노화,발생 등 다양한 생명현상을 분자적 수준에서 탐구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과 그와 관련된 유전학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들의 발전은 멘델의...
참고 자료
3정 생물과학, 박순직 외 2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생물과학 워크북, 한상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제3장
고등학교 교과서 생명과학 2018, 오현선, 미래엔
생명과학의 미래 변화와 대응 방안, 안두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c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2001, 이정환 외 13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TME/322542/view(샤인머스캣)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CMS/312529/view
2020 농업전망 자료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97(e-나라지표)
https://blog.naver.com/ksg2028/222108332841(자급률 수치)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008031903381745b967494985_18(폭우피해)
https://blog.naver.com/voicec/221485765830(아로니아 수치)
이필렬·이인현 공저, 「생명과 환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21
이현걸 저, ‘인류세(Anthropocene) 담론과 역사학’ 한국교원대학교 ; 충청북도, 2018
박순직 외, 생물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Campbell, 캠벨 생명과학, 바이오사이언스출판, 2019.
이고은, 생명 과학 뉴스를 말씀드립니다 (유전자부터 게임 중독까지), 창비, 2020.
김진수 외, IBS,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체 교정 기법 소개, 기초과학연구원.
박성민 기자, 연구자가 뽑은 올해 '바이오' 성과는? 'AI 유전자가위 등', 헬로디디, 2018.12.1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홈페이지 (www.kbsi.re.kr/develop030102)
감사연구원장, 농업재해보험 운영실태와 주요 문제점, 감사원 감사연구원, 2018.
노양석, 농작물재해보험 보조금이 가입면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강수진, 농작물재해보험의 성과분석 및 위험분산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18.
박경우 기자, "재해보험 드나마나" 과수 보상률 낮아져 농가 불만 고조, 한국일보,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