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윤리적 갈등 해결을 위한 실습 보고서
1.1. 윤리적 갈등 사례 1: 경제적 이유로 중요한 수술을 포기하려는 환아 부모
심장질환을 앓는 생후 38일된 환아의 부모가 경제적인 이유로 중요한 수술을 포기하려는 상황이다. 환아는 첫 번째 수술 경과가 좋은 상태이지만, 경제적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부모가 치료를 포기하고 싶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는 간호사 윤리강령 중 취약한 대상자 보호, 안전한 간호 제공, 대상자 보호 항목과 관련된다. 환아의 생명과 직결되는 수술을 경제적 이유로 포기할 경우 환아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료비 지원정책을 소개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치료를 포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병원 내 사회복지실이나 지역사회단체에 도움을 요청하여 환아가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취약한 환아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며, 환아와 가족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 이유로 인한 환아의 치료 포기는 간호사의 윤리강령에 어긋나므로, 간호사는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환아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내야 한다.
1.2. 윤리적 갈등 사례 2: 주치의의 무단 처방 변경으로 인한 투약 오류
평소 항암제 주사를 꾸준히 맞아온 A 군에게 주치의 B는 과장님의 허락 없이 처방을 내렸다고 이미 투약된 약물 주입을 중단하고 컴퓨터에 입력된 처방 및 간호기록 삭제를 요구하였다. 이는 간호표준 준수와 안전한 간호 제공, 관계윤리 준수에 위배되는 것이다.
간호사는 주치의 요구대로 약물 주입을 중단하고 기존에 컴퓨터에 입력된 처방 및 간호기록은 삭제하지 않고 약물 주입중단까지 간호기록을 작성하며, 진행된 상황에 대해서 수간호사와 담당 과장님에게 보고해야 한다. 이는 처방을 따르고 간호행위에 대해 간호사는 기록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제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상위 간호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간호사는 의료진 간의 상호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관련 지침과 원칙을 준수하는 윤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는 간호사의 전문직 책임과 의무에 부합하는 것이다.
1.3. 윤리적 갈등 사례 3: 투약 오류 은폐 시도
김 간호사는 환아에게 Digoxin을 처방 용량보다 더 많이 투여했으며, 백 간호사에게 이러한 사실을 말하였고 김 간호사는 투약 실수를 보고할 의향이 없다고 말하였다. 이는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의 Ⅰ. 간호사와 대상자 – 4. 알 권리 및 자기결정권 존중, Ⅱ. 전문가로서의 간호사 의무 – 7. 간호표준 준수, Ⅱ. 전문가로서의 간호사 의무 – 11. 안전한 간호 제공, Ⅲ. 간호사와 협력자 - 13. 관계윤리 준수, Ⅲ. 간호사와 협력자 - 14. 대상자 보호 항목과 연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김 간호사 스스로 약물 투약오류에 대해 보고할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 그러나 김 간호사가 스스로 보고하지 않는다면 직접 수간호사에게 약물 투약오류에 대해 보고해야 한다. 약물 투약오류는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간호사는 대상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약물 투약오류에 대해 보고해야 한다.
1.4. 윤리적 갈등 사례 4: 부족한 간호 인력으로 인한 환자 안전 위협
소아과 병동에 6살 영희가 응급 상태로 입원했다. 머리에 심한 손상을 입었고 15분마다 신경 반응검사를 해야 했다. 근무 인원이 부족해 인력지원이 필요한 상태인데 근무할 수 있는 간호사가 없으며, 이러한 상황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이 문제이다.
이는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의 "전문가로서의 간호사 의무" 항목 중 "안전한 간호 제공" 및 "간호사와 협력자" 항목의 "대상자 보호"와 관련된다. 응급 상황에 처한 환자의 안전과 보호가 가장 우선되어야 하지만, 부족한 간호 인력으로 인해 이를 충분히 보장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간호사는 출근을 하여 환자의 안전을 위협받는 상황을 막아야 할 것이다. 비번 간호사였다면 출근을 하였을 것이며, 근무 중인 책임간호사라면 간호부장님께 상황을 보고하고 다른 부서에 도움을 요청하며, 우리 병동 간호사들에게도 계속 연락하여 인력 지원을 요청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인력 부족 문제가 지속되므로 간호사 채용 시 더 많은 간호사를 채용하도록 건의할 것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안녕이 가장 우선이라고 생각하므로, 힘들더라도 출근을 선택한 것이다. 간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