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 구성원의 행동 특성, 성격, 가치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 구성원의 가치관과 성격분석
2.1. 가족 구성원의 행동특성, 성격, 가치관
2.2.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2.3.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구성원
2.4. 자신과 유사한 사람 및 다른 사람
3. 개인의 성격발달 분석
3.1. 태아기부터 성년기까지의 성격발달 과정
3.2. 중년기와 노년기의 계획
4. 나에 대한 인식
4.1. 좋아하는 일
4.2. 가치있게 생각하는 일
4.3. 하고 싶은 일
4.4.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
5. 개인의 가치관과 성격특성이 사고, 감정, 행동에 미치는 영향
5.1. 가치관과 성격의 개념
5.2. 가치관 갈등유형별 분석
5.3. 효과적인 갈등해결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성격과 가치관은 조직 내의 개인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로 쓰인다. 조직 행동론을 창안한 스테판 로빈슨은 그의 역서에서 가장 먼저 다룬 주제이기도 하다. 조직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성격 및 가치관을 알고 있는 것이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이롭다는 말이다. 여기에는 그 나름의 이유가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성격의 선발, 직무, 배치, 경력 개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필요하다는 믿음 때문이다. 이에 본론에서는 가치관과 성격의 개념을 기술하고 개인의 가치관 갈등 유형별(개인 내부적, 개인 간 조직과 개인 간)로 어떤 가치관과 어떤 성격특성이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해 보고 효과적인 갈등해결 방안에 대해서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2. 가족 구성원의 가치관과 성격분석
2.1. 가족 구성원의 행동특성, 성격, 가치관
아빠는 활발하고 친화력이 높아 친하게 지내는 친구나 회사동료가 많아 여가시간을 친구들과 보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가족들과도 상호작용이 매우 크며, 주말에는 엄마와 여행이나 등산을 가시기도 한다. 평소에 화를 잘 안 내는 편이지만 한 번 화가 나면 아무도 못 말린다. 꼼꼼하고 가정적이며 과묵한 편이다. 앞선 걱정이 많고 참을성이 많으며 논리적이다.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최선을 다해서 해야한다는 신념과 선택은 본인이 하되, 책임도 본인이 져야한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계신다.
엄마는 교육열이 높으시고 칭찬을 듣고 하는 걸 좋아하신다. 항상 무엇인가 배우는 걸 좋아하시며 자신이 대부분 옳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항상 자신이 맡은 일은 완벽하게 끝내야한다. 매우 활동적이라 다양한 운동을 즐겨하신다. 여리지만 고집이 세고 참을성이 적은 편이며 완벽주의적이고 책임감이 강하다. 어떤 일을 할 때 대충하기보다는 처음부터 꼼꼼히 완벽하게 해야 한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계신다.
언니는 나와 달리 조용하지만, 친한 사람들이 있을 때는 활발하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은 꼭 해야한다. 무엇이든 열심히 하면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착하고 하고 싶은 것이 명확하며 자신감이 넘친다.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원하는 것을 꼭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2.2.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은 개인의 성격 형성과 가족 간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작성한 내용에 따르면 작성자의 경우 상위 세대인 엄마와의 의사소통이 주로 권위적이었고, 하위 세대인 동생과의 관계에서는 대화보다는 갈등과 반목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엄마와의 권위적인 의사소통 유형으로 인해 작성자는 자신의 의견을 잘 표현하지 못하고 엄마의 눈치를 보며 순응하는 편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상호 이해와 존중하는 의사소통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동생과의 갈등 관계도 성장하면서 서로를 이해하게 되어 우애가 생기고 정을 느끼게 되었다.
이처럼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유형은 세대 간, 개인 간 차이가 있으며 가족 관계와 개인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참고 자료
대니얼 네틀, 성격의 탄생 (뇌과학, 진화심리학이 들려주는 성격의 모든 것), 와이즈북, 2019.11.10.
하동석,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010.03.25.
제니퍼 골드먼 웨츨러, 패턴 파괴 (최적한 성과와 관계를 만드는 컬럼비아 대학교 갈등고리 해결 프로젝트), 흐름출판, 2022.01.20.
서울폴리텍 평생교육원, ‘심리학개론 교안’
에덴메디여성병원, ‘흡연하는 당신, 구강기를 잘 못 보냈기 때문이다?’
http://m.edenmedi.or.kr/Module/News/News.asp?Mode=V&Srno=22465&PageSize=10&Key=&Keyword=&Page=301
한겨레, ‘[유레카] 고착 / 곽병찬’,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52136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