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술 교육의 변화와 감상 교육의 중요성
1.1. 미술 교육의 발전과 심미적 생활 교육의 강조
오랫동안 미술 교육은 주로 사물을 정확히 관찰하고 묘사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집중되었다. 이후 심리학 이론의 발전 및 학문적 체계화의 모색을 통해 학생의 미술 표현에 나타나는 표현 욕구와 창의적 표현의 특성을 재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자기표현능력을 존중하고 감수성과 미적 정서에 대한 교육이 더욱 중요해졌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미술 교육은 현대 문화 예술 현상과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시각 문화 미술 교육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지식의 상호연계를 기반으로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는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시각적 의사소통 능력 등의 육성이 오늘날 미술 교육의 목적이자 동향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의 목표는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해 미술작품의 가치를 판단함으로써 삶속에서 미술 문화를 누릴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미술작품이 지닌 특징을 이해하고 비평할 수 있는 능력과 미술의 생활화 및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도록 하여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부각하였다.
1.2. 시각 문화 미술 교육과 감상 교육의 부각
미술 교육의 목적은 단순히 기능적인 능력을 기르는 것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심미적 감성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으로 변화해 왔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현대 문화와 예술, 대중문화에 대한 폭넓은 접근과 이해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는 시각적 정보와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으며, 이러한 시각 문화를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비판할 수 있는 시각적 소양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시각 문화 미술 교육은 다양한 시각적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시각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중 문화, 디지털 미디어, 광고 등 다양한 시각 문화 현상을 교육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미술 작품에 대한 단순한 감상을 넘어서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판단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감상 교육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수준에 맞는 감상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해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고, 미술의 생활화 및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미술 작품에 대한 단순한 감상을 넘어서 비판적 사고와 시각적 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해졌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시각 문화 미술 교육과 감상 교육은 오늘날 미술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학생들의 미적 안목과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감상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2.1. 결과물 제작 중심의 수업
미술 교과 수업 중 결과물 제작 중심의 수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은 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