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격려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칭찬
2.1. 칭찬의 정의
2.2. 칭찬의 필요성
2.3. 칭찬의 유의점
2.4. 효과적인 칭찬 방법
3. 격려
3.1. 격려의 정의
3.2. 격려의 필요성
3.3. 칭찬과 격려의 차이
4. 칭찬과 격려의 사례
4.1. 칭찬하는 언어와 격려하는 언어
4.2. 칭찬의 영향력 연구
5. 칭찬과 격려의 효과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우리는 소통을 통해 관계를 주고받으며 무심코 뱉은 사소한 말 한마디는, 상대를 더 나은 사람으로 이끌기도 하고 끝없는 나락으로 떨어뜨리기도 한다. 이처럼 어마어마한 말의 영향력은 어린 영유아에게도 적용된다. 영유아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을 통해 언어 습득 및 자기중심성을 극복하며 관계형성을 터득하기 때문에, 그들을 향한 언어표현에는 더욱 신중을 가할 필요가 있다. 아이는 습자지와도 같아서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흡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자존감과 긍정적 자아의 확립, 원만한 소통기술, 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단단한 아이로 성장시키려면 지속적인 긍정의 소통이 필요하다. 이에 다음 본문에서는 대표적 긍정언어인 칭찬과 격려에 대해 살펴보고 어떤 식으로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2. 칭찬
2.1. 칭찬의 정의
칭찬이란 착하고 훌륭한 일이나 좋은 점을 높이 평가하거나 또는 평가하는 말이다"" 즉, 칭찬받는 대상이 갖춘 특성 또는 장점을 부각시켜 긍정적인 방향으로 지속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2.2. 칭찬의 필요성
칭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칭찬은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꼭 필요한 순간에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감탄은 당사자로 하여금 행복을 가져오며, 자신의 노력을 사회적 인정을 통해 보상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칭찬은 바람직한 행동이나 특성이 더욱 긍정적으로 사회적 강화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영유아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을 통해 언어 습득 및 자기중심성을 극복하며 관계형성을 터득하는 과정에서, 그들을 향한 언어표현에는 더욱 신중을 가할 필요가 있다. 아이는 습자지와도 같아서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흡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자존감과 긍정적 자아의 확립, 원만한 소통기술, 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단단한 아이로 성장시키려면 지속적인 긍정의 소통이 필요하다. 이때 대표적 긍정언어인 칭찬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2.3. 칭찬의 유의점
칭찬은 아이에게 엄청난 기쁨을 주지만 오히려 해가 되기도 한다. 한 방송에서 했던 오은영 박사의 말이 있다. 공부를 잘 하는 아이, 못 하는 아이 대부분의 아이들은 공부를 싫어한다고.. 단지 아이는 정답을 맞춘 순간 부모의 기뻐하는 모습을 보려고 열심히 공부를 하는 거라고 했다. 이때 필자 역시 큰 충격을 받았다. 본인 또한 아이가 질문에 적절한 대답을 하면 크게 박수를 치고 환호하고, 엉뚱한 대답을 하면 실망스러운 표정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자신 없을 때에는 슬며시 눈치를 보거나 머뭇대며 대답을 망설이던 아이의 모습이 떠올라 한없이 미안해졌었다. 아이의 개성을 무시한 채 의도하는 결과에 따라 보상과 처벌이 이어진다면 어른의 입맛에 맞게 아이를 조종하는 것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아이의 욕구와 목표의식, 취향, 감정상태, 성취감이 배제된 성인의 칭찬과 보상이 영유아의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2.4. 효과적인 칭찬 방법
효과적인 칭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의 유능감과 성취결과에만 관심을...
참고 자료
조무아. 칭찬 꾸중 격려 3박자의 힘
주변인의길(2014) : 226-256
제인 넬슨. 바쁜 부모를 위한 긍정의 훈육
에듀니티(2020) : 145-201
강수정. 칭찬과 성패 상황에 따른 유아의 자부심과 수치심 및 과제지속수행
서울대 대학원(2013) : 20- 22, 38-53
장미정. 칭찬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또래인기도에 미치는 영향
원주대 교육대학원(2014) : 8-11
엄서현. 도덕과 교육에서의 칭찬활용 방안 연구 : 인격교육론과 강화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2015) : 30-78
아이 자존감을 높여주는 6가지 칭찬 대화법, 차이의놀이
(2013-12-24) https://www.chaisplay.com/stories/164?via=android&locale=ko
길인숙. 칭찬과 격려. 경남도민신문
(2019-05-27)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139
진짜 칭찬, 정윤경, 김윤경, 소울하우스. 2021 P 10~40
빅 브레인, 김권수 책들의 정원 2018 P 23~40
피닉스 리더십 강의 자료
http://www.kg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231023
경기매일(http://www.kgmaeil.net)
아동상담론, 강의 교안.
오웬펠담, 칭찬명언
이해중 외 6명, “행동을 변화시키는 힘, 격려”, 학지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