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분석상담, 행동주의상담, 인간중심상담에서의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신분석상담의 이해
2.1. 인간관
2.2. 심리적 증상의 원인
3. 행동주의상담의 이해
3.1. 인간관
3.2. 심리적 증상의 원인
4. 인간중심상담의 이해
4.1. 인간관
4.2. 심리적 증상의 원인
5. 각 이론에 대한 비교 및 나의 관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상담심리학은 상담이란 무엇이며, 상담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상담이 수행하는 기능, 상담의 수단이 되는 대화법, 상담자의 태도와 기법 등을 학습하는 과정이다.""상담심리를 위해서는 상담심리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에 대해 학습할 필요가 있다.""심리학의 선행연구라 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이론화시킨 내용은 상담심리를 공부하는 학생으로 하여금 짧은 시간 상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부여하고 상담심리학의 지식체계를 구축한다.""본론에서는 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정신분석상담, 행동주의상담, 인간중심상담이론의 인간관 및 해당 심리상담이론이 인간의 정서문제의 원인을 어떻게 파악하는지 조사하여 각각 비교하고, 이에 대한 나의 견해를 기술하도록 하겠다.""
2. 정신분석상담의 이해
2.1. 인간관
프로이트는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간주하던 당시의 분위기와 다르게, 인간을 의식의 영역 밖에 존재하며 비합리적이고 통제할 수 없는 무의식적 본능의 지배를 받는 존재로 파악하였다. 인간의 기본적 성격구조를 심리성적발달단계의 결과물로 보았고 이는 초기아동기인 만 5세 이전에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기본적 성격구조는 성인기가 되어서도 변하지 않는다고 보는 정신결정론적 관점을 형성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심리상담에 있어 유아기의 경험이나 문제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치며 무의식을 분석하는 데 집중한다.
2.2. 심리적 증상의 원인
정신분석상담에서는 히스테리, 불안, 우울 등의 정신적 문제에 대한 원인을 초자아, 외적세계, 본능적 압박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심리적 충격 속에서 자아의 붕괴를 막고 보호하기 위한 기제로 무의식적 방어기제가 동작한다고 하였다. 자아방어기제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불안을 감소시키고 대인 관계에 있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개인이 조정할 수 없는 무의식에 의한 영향으로 심각한 경우 정신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때문에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고 이는 개인의 특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행동주의 이론에서 인간이 겪는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에 대해서 환경의 영향으로 설명한다. 인간의 행동은 학습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이러한 학습은 적응적 행동 부적응적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때문에 문제행동을 할 때 그 이전에 받는 선행자극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선행 자극을 통해 문제행동이 나타날 경우...
참고 자료
권중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전용오 외, 상담심리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천성문 외,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현정환, 상담심리학, 양서원, 2019.
한국적 상담이론의 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홍희기/연세대학교/2002
내담자의 문제유형과 성별이 상담자 성 선호와 상담기대에 미치는 영향/이주영/숙명여자대학교/2004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최가희, 계명대학교, 2018
상담심리학, 강의 교안 참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급기본서,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나눔의집,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