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심리 윤리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군중심리 윤리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군중심리의 순기능과 역기능
1.1. 서론
1.2. 군중심리 탄생
1.3. 군중심리 정의
1.4. 군중심리 특성
1.5. 부정사례 분석: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
1.6. 긍정사례 분석: SNS를 통한 긍정사례

2. 몰개성화의 심리학적 고찰
2.1. 몰개성화의 의미와 원인
2.2. 몰개성화 이론의 심리학적 배경
2.3. 역사적, 사회적, 개인적 사례와 시사점

3.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 문제와 해결방안
3.1. 사이버 공간에서 익명성의 문제점
3.2.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의 장점
3.3. 신뢰성 있는 인증 시스템 구축
3.4. 올바른 인터넷 문화를 위한 사이버 윤리교육 강화
3.5. 강도높은 처벌 및 신속성과 정확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군중심리의 순기능과 역기능
1.1. 서론

우리 조는 인간의 수많은 본성 중 '군중심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군중심리 즉, 주변 환경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아 똑같이 행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성은 실생활 속에서 너무나도 쉽게 접할 수 있다. 패션, 유행어, 핫이슈 등은 각종 미디어와 SNS를 통해 전파되고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아 입에서 입으로 오고가며 불같이 타올랐다가 또 금방식기도 한다. 시대에 따라, 시간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이러한 요소들을 때맞춰 따라오지 못하는 사람들은 주변 환경에서 종종 괴리감을 느끼기도 하는 점을 보았을 때, '군중심리'는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유지 속에서도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과거 '히틀러의 독재정치' 시절을 되돌아보았다. 히틀러는 시대의 가장 악한 인물로서 손꼽히는 인물이다. 그만큼 히틀러는 자신의 인종이 타 인종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며 유대인들을 학살하는 충격적인 일을 저질렀다. 이처럼 중요하고 상당히 영향력 있는 역할을 하는 '군중심리'라는 본성이 과연 실생활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정치적으로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궁금해졌고 자세히 조사해보고 싶었다. 또한 "과연 '군중심리'라는 것이 마냥 부정적인 것인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는 없을까?"에 대해 의문을 품으며 '군중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여러 가지 사례와 작용방안에 대해 초점을 맞추기로 하고 발표를 준비해 나갔다.


1.2. 군중심리 탄생

'군중심리'는 19세기 유럽과 북미에서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노동자의 파업과 범죄문제가 발생하였고 이것을 계기로 다수의 사람들이 뭉치게 되었다. 이 당시의 군중들은 사회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 간주되었고 이에 따라 프랑스에서 최초로 군중심리학이 등장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는 1895년에 르봉이 '군중심리'라는 책을 출간한 것이다. 귀스타브 르봉(1841.5.7. ~ 1931.12.13.)은 프랑스에서 출생하였고 사회심리학을 연구하며 군중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들을 정립하였다. 르봉은 군중의 힘에 일찍 주목하고, 군중을 하나의 연구 대상으로 삼는 것에 선구적 역할을 했다. 또한 군중을 비이성적이고 충동적인 존재로 보았고 이성보다는 비합리성, 의식보다는 무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군중이란 어떤 존재인지, 군중의 행동을 지배하는 원리는 무엇이고 그들을 인도하는 리더십은 무엇인지 냉철하게 고찰한 학자이다. 그의 분석은 노동, 민중 계급의 집단적 힘의 중요성을 현실로 인정하고, 새롭게 등장한 대중사회의 사회, 정치, 문화적 구조 변화가 빚어낸 문제들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당시 프랑스의 중간 계급과 지도층에 새로운 통치 방식을 제시했다. 이러한 르봉의 업적들로 인해 군중심리가 학문적, 이론적으로 세상에 많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3. 군중심리 정의

군중심리의 사전적 정의는 "사회심리 현상의 하나로 여러 사람들이 집단으로 모였을 때 개별 주체의 일상적인 사고와 다르거나 혹은 같더라도 그 범위를 뛰어넘는 행동을 하게 되는 심리 상태를 말한다"이다. 우리조만의 정의에 따르면 "주변 사람들과 주변 환경에 동조되어 자신의 의지와는 다른 행동을 하거나 혹은 자신의 생각이 군중의 생각으로 쏠려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험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군중 속에서 개인은 자신의 판단력을 상실하고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따라 행동하게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1.4. 군중심리 특성

군중에게 일시의 동일한 심적 경향이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무의식적 특성들은 무명성, 무책임성, 무비판성, 감정성, 친밀성, 암시성이다.

무명성은 군중 속에 일체화되어 자신의 의식을 잃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개개인의 행동이 불분명하므로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것이 무책임성이다. 무비판성은 정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상과 억측으로 판단하게 되며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없게 되어 자제력을 잃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감정성은 동인과 반응의 상승작용으로 격양된 흥분 때문에, 또는 책임성과 비판성의 결여 때문에 감정적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친밀성은 무명성, 무책임성, 감정성으로 인한 군중 간의 심리적 교감을 통해 일체감과 친밀감을 느끼며 사회적 거리감을 감소시키며 서로 평등하다는 동료의식을 느끼게 하는 현상을 말한다. 암시성은 군중의 관심이 하나에만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의식의 범위가 좁아지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특정한 영향에 대해 특정한 반응을 나타내고 외부 영향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낮은 현상을 말한다."이다.


1.5. 부정사례 분석: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은 군중심리의 대표적인 부정사례라고 할 수 있다. '3S'란 Screen(스크린), Sports(스포츠), Sex(성)을 일컫는 말로, 전두환 정권은 이 3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대중을 우민화하고 정치적으로 무관심하게 만드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우선 첫 번째 'Screen'을 살펴보면, 당시 엄격한 검열이 완화되면서 35편의 에로영화가 개...


참고 자료

[현대사회의 이해] 익명성의 순기능과 역기능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050310.010150943570001
[채규만의 심리칼럼]악성댓글(2)-악성댓글다는 사람들의 심리특징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274074&memberNo=30298297&vType=VERTICAL
[교수기고]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이 가지는 양날의 칼
[논문]류승하, 사이버공간의 익명성과 그 대응방안 고찰 [2005.1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