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미술교육
1.1. 시각미술 발달 단계
1.1.1. 우연적이거나 자연발생적인 표상에서 의도적인 표상으로
나이 어린 유아들은 우연히 형태를 그리게 되고, 그린 후에 그 그림이 어떤 것이라고 결정한다. 그러나 나이가 많은 유아는 어떤 특징을 마음에 두고 의도적으로 재료를 구하고 조작하게 된다. 이는 유아의 시각미술 발달 단계 중 "우연적이거나 자연발생적인 표상에서 의도적인 표상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즉,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처음에는 우연히 그린 그림이었지만, 점차 자신의 의도를 가지고 그림을 표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1.1.2. 단순한 것에서 정교화된 표상으로
단순한 것에서 정교화된 표상으로는 유아 시각미술 발달 단계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처음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구별 되는 특징을 마음에 두고 작업을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점차 좀 더 많은 속성을 마음에 두게 되며 평면과 입체 표상이 좀 더 정교해진다.
나이 어린 유아는 단순한 그림을 주로 그리게 되지만,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그림에 포함되는 요소와 표현이 점차 복잡해진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사람의 특징을 단순히 원과 선으로만 표현했다가, 나중에는 사람의 몸, 팔, 다리, 얼굴 등 세부적인 형태를 더 정교하게 표현하게 된다. 또한 평면 그림에서 점차 입체감이나 원근감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유아의 시각미술 발달 과정에서 단순한 것에서 점차 정교화된 표상으로 변화하는 것은 유아의 인지 능력과 관찰력, 그리고 운동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는 곧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1.1.3. 점과 선에서 도형과 형상으로
나이 어린 유아들은 점을 찍기 위해 반복하고 이를 하는 동안 순수한 즐거움에 만족한다. 자신의 능력을 통제할 수 있게 되면 신중하게 선을 긋거나 도형과 형태를 만들게 된다. 도형을 만드는 것은 우연적인 것에서 신중하게 의도적인 것으로,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발전한다. 이는 유아의 표상 능력이 점에서 선, 도형과 형상으로 발달하는 것을 보여준다. 처음에는 점들이 임의적이고, 손이 닿는 곳 어디에나 열정적으로 점을 만들지만, 후에 의도적으로 점의 위치를 잡게 되고, 다른 점들과의 위치를 정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표상의 정확도에 점차 흥미를 반영하며 공간에 대한 인식이 성장하는 것으로 반영된다. 또한 결정을 할 때 심미적인 부분도 고려하기 시작한다. 즉, 유아의 시각미술 표현은 단순한 점과 선에서 점점 복잡한 도형과 형상으로 발달하며, 이 과정에서 표상의 정확성과 심미적 고려가 증진되는 것이다.
1.1.4. 임의로 찍은 점에서 관계있는 것들로
처음에는 점들이 임의적이고, 손이 닿는 곳 어디에나 열정적으로 점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들의 위치를 의도적으로 잡게 되고, 다른 점들과의 위치 관계를 정하게 된다. 이는 표상의 정확도에 점차 관심을 가지게 되며, 공간에 대한 인식이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심미적인 측면도 고려하기 시작하게 된다"이다.
1.2. 시각미술 감상 단계
1.2.1. 감각적인 단계
가장 어린 유아들은 추상적이고 비구상적인 이미지를 좋아하며 자신의 감각을 즐겁게 하는 작품에 대해 직관적으로 반응한다. 색감과 뚜렷한 패턴이 지배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단계의 유아들은 미술작품에 본능적으로 반응하므로 자신들이 선택한 것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려워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미술작품에 대한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1.2.2. 구체적인 단계
구체적인 단계에서 유아들은 단순하고 사실적인 방식으로 묘사되고, 자신들이 연관 지을 수 있는 아이디어를 수반하는 작품을 좋아한다. 이 단계에서 유아들은 아름다움에 대한 최초의 개념을 발달시키고, 사실주의와 주제의 특성을 관련짓는다. 미술의 목적을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생각한다. 매체에 따라 미술을 분류할 수 있으며, 과거, 현재, 미래, 무슨 재료를 사용하였는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2.3. 표현적인 단계
유치원 초기에 이르러 유아들은 자기중심성이 감소하고 미술가의 관점에서 미술작품을 생각할 수 있으며 미술가의 의도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유아들은 미술과 관련된 지식을 이용하여 창작 활동의 기술로 사용할 수 있고, 매체를 선택하고 자신만의 기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기중심적 성향이 감소하면서 점차 미술적인 유형, 심미적인 선택, 미술가와 그들의 작업에 미치는 외부 영향, 문화를 깨달게 된다. 또한 미술의 선호도가 나타나고 달라짐을 보인다.
1.3. 시각미술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1.3.1. 미술교육자의 의도적 교육
미술교육자의 의도적 교육은 활발한 미술 학습을 위한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미술교육자들은 유아들의 활발한 미술 활동을 이끌어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재료를 소개하고 상세한 기술을 시범보이는 것과 같은 교사의 역할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는 학습목표에 맞추어 학습경험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미술영역에 오래 머물며 재료와 아이디어를 실험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성인이 옆에서 작업하며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미술 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1.3.2. 유아의 일상경험 탐색
유아의 일상경험 탐색은 미술작업에 유아가 좀 더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