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is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리정보시스템(GIS) 사례 분석
1.1. GIS의 역사, 발전, 특성, 중요성
1.2. GIS의 활용분야 및 시장 동향
1.3. GIS의 향후 개선 방향
2. GIS 데이터 및 시스템 구축
2.1. GIS 데이터 유형 및 특성
2.2. GIS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레이어 구조
2.3. GIS 시스템 구축 및 문제점
3. GIS 활용 사례
3.1. 시설물관리(FM) 사례
3.2. 도시정보체계(UIS) 사례
4. GIS의 한계점 및 발전 방향
4.1. GIS의 한계점
4.2. GIS의 전략적 활용 방안
4.3. 향후 GIS의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리정보시스템(GIS) 사례 분석
1.1. GIS의 역사, 발전, 특성, 중요성
GIS는 1960년대에 시작되었다. 당시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사회경제적 필요에 따라 캐나다의 CGIS가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1960년대에는 주로 공공기관에서 GIS가 발전하였으며, 학계에서도 래스터 방식의 GIS가 발전하였다. 1970년대에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그래픽 기술이 발달하면서 GIS 활용이 크게 확산되었다. 이 시기에는 천연자원 관리나 환경 분야에서 래스터 GIS가, 토지나 공공시설 관리 분야에서는 벡터 GIS가 주로 사용되었다. 1980년대에는 GIS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을 가리지 않고 널리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GIS 데이터베이스에 위상관계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도입되었고, 인공지능 기술도 접목되었다. 또한 워크스테이션 등 저렴한 하드웨어의 등장으로 GIS가 대중화되었다. 1990년대에는 GIS 기술이 더욱 성숙해졌으며, GPS, 원격탐사, 광디스크 등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었다. 3D 분석 능력이 향상되었고, GUI와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최신 기술이 접목되어 비전문가도 손쉽게 GIS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GIS는 공간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출력할 수 있다. GIS는 단순한 도면 작성 도구가 아니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계획 관리 도구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GIS의 핵심 기능에는 데이터 추출, 분류 및 단순화, 측정, 중첩, 근접성 분석, 검색 등이 있다. GIS는 수치지도 제작, 데이터 모델링, 강력한 공간 분석, 다양한 데이터 표현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GIS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토지, 자원, 도시, 교통, 농업, 해양, 국방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그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웹 기반 및 모바일 GIS 기술의 등장 등으로 GIS 활용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GIS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도구로서 국가와 지역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1.2. GIS의 활용분야 및 시장 동향
GIS 기술은 점차 다양한 분야로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토지, 자원, 도시 환경, 교통, 농업, 해양 및 국방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GIS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GIS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련 데이터의 확보와 처리 능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세계 GIS 시장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따라 기존 시장의 확대와 신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시장 개척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기존 패키지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와의 연계,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새로운 지리정보 서비스 제공 등 새로운 수익 모델 개발이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도 정부 중심으로 GIS, ITS, GNSS, SIIS 등 이른바 '4S 공간정보산업'의 효율적인 상호연계와 공동활용을 위한 종합적인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도 상호 운영성 및 분산 환경 지원을 위한 다양한 컴포넌트 개발과 일반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GI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기반 및 모바일 GIS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 GIS 시장은 관련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분야로의 확산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GIS의 활용성이 높아질 것이며, 새로운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로 시장 규모 또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1.3. GIS의 향후 개선 방향
GIS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GIS의 향후 개선 방향은 크게 사이버 국토 건설, 통일에 대비한 GIS 사업, 위성영상 활용 분야와의 접목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GIS와 가상현실(VR) 기술을 접목하여 「사이버 국토」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사이버 국토를 통해 국가의 행정업무, 기업의 디지털 경제활동, 일반 국민의 일상생활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미래지...
참고 자료
◇ 김상원, 정보시스템의 안전대책과 컴퓨터범죄의 방지대책, 연세대
◇ 김종남, 박석희, 인터넷 관광정보가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48회 학술심포지엄, 2000
◇ 김창호 외, 1996, 교통부문 지리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 구상, 국토개발연구원
◇ 박상규,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새로운 접근방법, 동국대 회계학논총, 1994
◇ 백인구, 이강준, 한기준, 한국형 지형공간 데이터 Clearinghouse의 설계 및 구현, ꡐ99 개방형 지리정보 시스템 학술회의 논문집 제2권 2호, 1999. 6.
◇ 이치게 아키라 저, 송승호 역, IT혁명의 핵심 정보시스템
◇ 조혜경, 김영섭, 김상은, 공간정보 유통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1, No. 1, 1998,
◇ 한국전산원,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정보유통을 위한 정보기록방식(메타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연구, 1997.
GIS를 이용한 광산폐기물 침출수의 지표 이동경로 분석모델 개발, 김성민 외 5인,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8, No. 5(2011) pp. 560-572.
○ 과학기술처, 지리정보시스템활용기법, 1993
○ 광주동신여자중학교,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구축 및 활용 방안, 2000.
○ 김성일, 산림환경정보시스템 구축방안 기본계획수립, 1994
○ 윤우진, 조대수, 홍봉희, OLE/COM을 기반으로 한 OpenGIS 미들웨어 설계, 99 개방형 ○ 지리정보 시스템 학술회의 논문집 제2권 2호, 1999. 6.
○ 이규성, 지리정보시스템(GIS) 이용과 산림 병충해 관리 : 소나무 좀벌레의 모형적 예. 한국임학회지, 1985
○ 정보통신부, 국가지리정보체계 표준화, 1995.
○ 허문희, 피의섭, 이도한, 이석형,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농촌소득작목재배적지 선정, 한국GIS학회지, 1994
○ GeoNetKorea 생활지리정보서비스 http://www.geonet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