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건강력 조사와 관련된 보고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제공된 문서와 정보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건강력 조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보고서 작성의 전반적인 지침과 요구사항을 준수하여 내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독자에게 유의미하고 체계적인 건강력 조사 보고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2. 건강력 조사
2.1. 인구학적 정보
고OO는 56세 여성이며,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기혼자이다. 전업주부이자 어린이집 교사이며, 종교는 무교이다. 그녀는 한국인이다.
2.2. 내원 동기
집에서 혈압 측정 시 150/80mmHg으로 나와 고혈압 검진을 위해 내원하였다. 가족력도 있어서 고혈압이 걱정된다.
2.3. 현 건강력 및 질병력
고OO은 3일전(4월 9일)부터 양쪽 손목과 2-3번째 손가락 뼈마디 부분에서 욱신거리는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고 있다. 지난 1년간 손목의 통증이 심해지고 있으며 계속 지속적으로 아픈 상태이다. 아침과 자기전에 통증이 가장 심하며 최근에는 손을 바닥에 짚을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을 느끼고 있다. 통증의 강도를 1-10이라 할 때 8정도라고 하였다. 손목이 아플 때 다른 증상은 없으며 주로 파스를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파스의 효과가 많이 떨어졌다고 한다.
5년전부터 평균 일주일에 1-2번정도 스트레스와 관련된 두통이 발생하고 1-2시간 동안 지속된다. 두통과 불면증은 신입 아이들이 들어오는 3-4월에 업무가 늘어나 특히 심해지고 빈도가 잦아진다. 왼쪽 관자놀이의 통증의 점수는 6정도이며 주로 동반되는 증상은 속쓰림과 소화불량이다. 두통과 관련하여 시각적 변화, 운동-감각결핍, 감각이상은 없지만 가끔 불면증이 있다고 하였다. 불면증은 5년전에 1년정도 약을 복용한 적 있지만 현재는 복용하지 않는다. 고OO은 이 두통이 업무와 미래에 대한 걱정과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2.4. 과거력
아동기 질환으로 수두나 홍역 등을 앓은 적이 없으며, 성인기 질환이나 만성 질환도 없다. 내과적 질환과 외과적 질환 또한 없다. 다만 49세 때 자궁내막용종 절제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정신과적 질환으로는 우울증과 불면증을 앓아 정신과 방문 및 약물 복용 경험이 있다. 10년 전쯤 자전거 사고로 크게 넘어진 적이 있으며, 2016년에는 자궁내막용종 제거 수술과 입원을 한 적이 있다.
2.5. 약물력
현재 고OO는 콜레스테롤약과 타이레놀을 복용하고 있다. 약 10년 전에 우울증과 불면증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았으나 현재는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 또한 불면증이 심했던 시기에 약 1년 동안 수면제를 복용한 적이 있다.
2.6. 가족력
아버지는 63세에 갑상선 항진증을 앓고 있으며, 남성형제는 62세에 관절염이 있고, 여성형제는 53세에 두통이 있다. 남편은 54세로 건강 이상이 없다. 딸은 22세로 건강 이상이 없다. 당뇨병, 결핵, 심질환, 신장질환, 암, 간질, 정신질환의 가족력은 없다. 가족들의 건강상태가 양호하지만, 아버지와 남성형제의 질환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염려가 있다. 하지만 배우자와 자녀의 건강이 양호하여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2.7. 신체계통 검진
피부는 양쪽 팔(어깨부터 손목까지)에 오돌토돌한 돌기가 있으며, 피부묘기증이 있다. 그러나 황달, 점상출혈, 두드러기, 발진, 부종은 없다. 타박상, 찰과상, 자상도 없다. 피부색은 목 뒤가 유난히 까맣다.
머리카락과 조갑에는 특이사항이 없다.
눈은 위치와 모양이 대칭적이며 황달도 없다. 안구운동이 정상이다.
귀의 전체적인 외형에도 이상이 없으며 분비물도 관찰되지 않는다.
코와 부비동에서도 외형적인 이상은 발견되지 않으나,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가 있으면 코에 간지러움을 느낀다.
구강과 인후부를 살펴보면, 입술은 대칭적이며 분홍빛을 띤다. 구강 내 상처나 혀의 이상은 없으며, 치아에서는 위쪽 어금니에 두 개의 은니가 있다. 편도에서도 특이사항은 없다.
목의 통증, 덩어리, 부종은 없으며 균형과 운동에도 문제가 없다.
유방에 대해서는 문진하지 못하였다.
액와 부위에도 압통, 부종, 발진 등의 이상 소견은 없다.
호흡기계 검진 결과, 호흡 횟수는 분당 18회로 정상이며 호흡 패턴도 규칙적이다. 호흡음 또한 이상이 없고, 기침이나 객담도 관찰되지 않으며 호흡 보조근 사용도 정상이다.
심혈관계 검진에서는 심박수가 분당 89회로 정상 범위이며, 심잡음도 없고 호흡곤란도 없다.
말초혈관 검진 시 감각 이상은 없었고, 색깔 변화나 부종도 관찰되지 않았다.
위장계 검진에서 연하 기능, 오심 및 구토, 복통, 설사 및 변비 등 특이 소견은 없었다. 평상시 배변 양상은 하루 2회 정도로 규칙적이라고 한다.
비뇨기계 검진에서도 배뇨 시 통증이나 특이사항은 없었고, 소변색은 맑은 노란색이며 하루 5-6회 정도 배뇨한다고 한다.
생식기계와 관련해서는 문진하지 못하였다.
근골격계 검진 결과, 보행 상태와 자세가 정상이며 관절염이나 통풍 등의 증상도 없었다. 근력은 정상 수준이었다. 다만 30분 이상 걸을 때 평발로 인해 아치 부분이 쿡쿡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다고 한다.
신경계 검진에서는 간질, 뇌졸중, 실신 등의 증상이 없었고 운동, 감각, 인지 기능의 문제도 없었다. 정신 상태도 특이사항이 없었다.
혈액계 검진에서도 점막 출혈이나 심한 좌상, 림프절 부종 등의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내분비계 관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