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동성서맥(Sinus Bradycardia)
1.1. 정의 및 특징
동성서맥(Sinus Bradycardia)은 정상 동률동에서 심박동수가 분당 60회 미만으로 느린 것을 의미한다. 동결절에서 발생하는 정상 동율동일 경우 심장의 전기적 자극원이 동방결절이며 그로부터 심실로 원활하게 전달되어 규칙적인 심박동이 유지된다. 그러나 동결절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자율신경계의 변화, 약물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심박동수가 감소하게 되면 동성서맥이 나타난다. 동성서맥은 노인층에서 흔히 관찰되며,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치료 없이 경과관찰이 가능하나 증상이 있는 경우 원인 치료와 더불어 약물치료 또는 인공심박동기 삽입술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1.2. 원인
동성서맥의 주요 원인은 노인층, 동방결절의 문제, 심낭염이나 심근염과 같은 염증성 심장 상태, 선천성 심장문제, 뇌부상으로 인한 뇌의 압력 증가, 심장마비,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심장박동에 영향을 주는 약물, 갑상선기능저하증, 근긴장성이영양증 등 특정의 흔치 않은 유전장애 등이다.
동방결절은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주요 구조로서, 노화에 따른 동방결절의 섬유화나 기능저하가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다. 또한 심근경색, 심근염, 심낭염 등의 염증성 심장질환은 동방결절에 영향을 주어 동성서맥을 유발할 수 있다. 선천성 심장질환이나 뇌손상으로 인한 자율신경계 변화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베타차단제나 칼슘통로차단제 등의 심장박동조절 약물 사용도 동성서맥을 유발할 수 있다.""
1.3. 증상
서맥으로 인하여 심장박동이 느려지게 되면 온몸으로 전달하는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전신이 뻐근함,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가장 위험한 것은 뇌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뇌로 가는 산소의 양이 줄어들 때이다. 심박출량 감소 증상으로 혈압 저하, 심박동수 감소나 증가, 실신, 전신적 허약감, 운동장애, 어지럼증, 의식 변화, 협심증이 나타날 수 있다."
1.4. 진단
동성서맥의 진단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가장 기본적인 검사는 심전도 검사이다. 표준 12유도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의 박동수를 측정하고 서맥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간헐적인 증상의 경우에는 표준 12유도 심전도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이 때는 24시간 심전도 검사인 홀터 검사를 활용한다. 홀터 검사에서 부정맥이 확인되면 동성서맥을 진단할 수 있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검사에서는 러닝머신을 이용한 운동을 통해 부정맥을 유발하고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심장 초음파 검사와 경식도 심장 초음파 검사로 동반된 심장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립경사 검사와 전기생리학적 검사 등을 통해 동성서맥을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검사를 활용하여 동성서맥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SSS)
2.1. 정의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SSS)은 동결절의 기능 저하로 인해 동서맥, 동정지, 동방차단 등이 발생하는 부정맥 증후군이다. 동결절은 정상적인 심박동을 유지하는 심장의 전기자극 발생 부위이며, 동기능부전은 이 동결절의 퇴행성 변화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동기능부전증후군은 동결절 기능 저하로 인해 심장박동의 불규칙성과 서맥이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2. 원인
동기능부전증후군의 주요 원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