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맞춤아기는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새로운 개념이다.
희귀 유전질환이나 암 등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할 목적으로 시험관 수정 기술을 통해 환자의 세포조직과 일치하는 정상 배아를 선별하여 탄생시킨 아기를 의미한다.
1932년 출간된 소설 '멋진 신세계'에서 처음 등장한 이 개념은 현실에서도 실제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실제로 2000년 8월 29일 미국에서 첫 맞춤아기가 태어났다.
이처럼 맞춤아기는 희귀 질환 치료 등의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윤리적 문제와 안전성 등 부정적인 측면도 있어 향후 이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난관을 해결해야 한다.
2. 맞춤아기 개념과 관련 기술
2.1. 맞춤아기란?
맞춤아기란 희귀 혈액질환이나 암 등을 앓고 있는 자녀를 치료할 목적으로 시험관 수정기술을 통해 질환 자녀의 세포조직과 완전히 일치하는 특정배아를 가려내 이 가운데 질병 유전자가 없는 정상적인 배아를 골라 탄생시킨 아기를 의미한다. 올더스 헉슬리가 1932년 내놓은 소설 '멋진 신세계'에는 '맞춤 아기'가 등장하며, 미국 드라마 ''마이 시스터즈 키퍼''에서는 아픈 언니의 치료를 위해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동생이 자기 몸의 권리를 찾기 위해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소설 속 '맞춤 아기'는 현실에서 더는 먼 이야기가 아닌데, 이는 생물체에서 유전체 내 특정 유전정보를 마음대로 교정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 덕분이다. 실제로 맞춤아기가 처음 탄생한 것은 지난 2000년 8월 29일로, 미국에서 한 아기가 판코니 빈혈이라는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여섯 살짜리 여아에게 조직이 일치하는 골수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험관 수정을 통해 태어났다. 환자였던 여아의 어머니는 여아의 조직과 일치하는 골수를 가진 아기를 낳기 위해 자신의 난자 12개를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다음 여기서 얻은 10개의 배아 가운데 유전자 검사에서 목적에 맞는 하나를 골라 임신한 뒤 '아담'이라는 이름의 남자 아기를 낳았다. 맞춤아기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시킬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윤리적인 이슈가 있어 향후 이 기술의 발전을 위해선 여러가지 난관을 해결해야 한다.
2.2. 맞춤아기 관련 기술
2.2.1. 유전자 가위 기술
유전자 가위는 특정 DNA 부위를 자르는 데 사용되는 인공 효소이다. 이 기술을 통해 세포 내 특정 유전자를 편집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유전자 가위 기술은 연평균 65%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유전자 치료제 시장을 지탱하는 핵심 기술이다.
유전자 가위에 의해 특정 염기서열을 가지는 DNA가 절단되면 생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수복 기능에 의해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절단-수복 과정을 통해 특정 유전자의 선택적인 파괴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제공 DNA'나 '일가닥 소수 염기'가 공급되면 특정 유전자의 삽입, 교정, 변이 제작 등이 가능하다.
유전자 가위 기술의 역사를 보면, 1세대 유전자 가위인 징크핑거 뉴클레이즈(ZFN), 2세대 유전자 가위인 탈렌(TALENs)을 거쳐 2012년에 발표된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CRISPR)가 개발되었다. 크리스퍼 기술은 박테리아의 면역체계에서 유래한 DNA 절단효소로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더할 수 있고, 다른 염기서열로 교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유전자 가위 기술은 질병을 치료하는 유전자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희귀 유전질환이나 암 등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시험관 수정을 통해 태어나는 '맞춤아기'에도 이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유전자 가위 기술에는 안전성 문제가 존재한다. 유전자 가위로 인해 원하는 유전자 외에 다른 부위가 잘못 절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전자 가위 기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선이 필요하다.
2.2.2. 유전자 가위기술의 원리
유전자 가위에 의해 특정 염기서열을 가지는 DNA가 절단되면 이는 생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수복 기능에 의해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절단-수복 과정을 통해 특정 유전자의 선택적인 파괴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 '제공 DNA' (donor DNA)나 '일가닥 소수 염기' (single strand oligonucleotide)가 공급되면 특정 유전자의 삽입, 교정, 변이 제작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