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식도 열공 탈장과 식도 이완불능증은 근육 관련 문제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식도 열공 탈장은 식도 하단부의 근육이 약해져 위가 흉곽 내로 밀려 올라가는 상태를 말한다. 식도 이완불능증은 식도 하부의 근육 운동 장애로 인해 음식물이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들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식도 열공 탈장과 식도 이완불능증의 특징과 발병 원인을 이해하고, 정확한 진단 방법과 효과적인 치료법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과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 식도 열공 탈장 (Hiatal Hernia)
2.1. 정의
식도 열공 탈장(Hiatal Hernia)은 횡격막 탈장이라고도 하며, 본문괄약근(들문조임근, cardiac sphincter)이 커져 위가 흉부 내로 들어온 상태이다. 이것은 활주(sliding) 열공 탈장(type Ⅰ)과 식도곁 탈장(rolling 혹은 paraesophageal hernia; typeⅡ) 2가지 종류가 있다. 활주형 탈장은 전체 식도열공 탈장의 거의 90%를 차지하며 위의 상부와 위-식도 연결 부위가 흉부 내로 올라가 있으며, 식도곁 탈장에서는 위-식도 연결부위가 횡격막 아래 있기는 하지만 위의 전부 또는 일부가 흉곽내로 밀려 올려진 것이다.
2.2. 원인
식도 열공 탈장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식도열공 부위의 근육이 약해지면 위의 상단 부위가 흉곽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가 된다. 노화, 선천성 근육쇠약, 외상, 수술이나 복강 내의 압력 증가 등이 이러한 근육 약화의 요인이 된다. 또한 복강 내 압력 증가는 비만, 임신, 복수와 같은 상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체중 감량과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행동을 피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2.3. 병태생리
식도 열공 탈장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활주형 탈장에서는 하부식도 괄약근이 흉곽 내의 낮은 압력쪽으로 노출됨으로써 역류가 나타난다. 식도곁 탈장에서는 하부식도 괄약근이 횡격막 아래에 있으므로 역류가 일어나지 않으나 폐색, 감돈 및 장축염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활주형 탈장에서 하부식도 괄약근이 흉곽 내의 낮은 압력 쪽으로 노출되면서 역류가 발생한다. 식도곁 탈장에서는 하부식도 괄약근이 횡격막 아래에 있어 역류가 일어나지 않지만, 대신 폐색, 감돈, 장축염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2.4. 증상
활주형 탈장 환자는 식후 30~60분 사이에 가슴앓이를 경험하며 역류로 인한 흉골하부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식도곁 탈장 환자는 역류 증상은 없지만 음식을 먹은 후 가득찬 느낌과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어떤 환자들은 협심증과 비슷한 흉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통증은 대개 환자가 누운 자세를 취할 때 심해진다.
2.5. 진단
바륨 연하검사(상부 위장관 조영술)은 식도, 위, 소장의 구조적 비정상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한다. 조영제인 바륨을 마신 후 투시검사와 함께 여러 가지 체위를 취하면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