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ine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08.30
2,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a-lin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A-line (Arterial Line)
1.1. Definition and Purpose of A-line
1.2. Indications for A-line Placement
1.3. A-line Insertion Procedure
1.3.1. Necessary Supplies
1.3.2. Insertion Process
1.4. A-line Insertion Sites
1.4.1. Radial Artery
1.4.2. Brachial Artery
1.4.3. Femoral Artery
1.4.4. Dorsalis Pedis Artery
1.5. A-line Zeroing Technique
1.5.1. Positioning the Transducer
1.5.2. Zeroing Procedure
1.6. A-line Maintenance and Nursing Care
1.6.1. Pressure Bag Management
1.6.2. Dressing Changes
1.6.3. Blood Sampling Procedure
1.6.4. Infection Control
1.7.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line
1.8. Normal Arterial Waveform Characteristics
1.8.1. Peak Systolic Pressure
1.8.2. Systolic Upstroke
1.8.3. Dicrotic Notch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A-line (Arterial Line)
1.1. Definition and Purpose of A-line

A-line(동맥관)은 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혈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이다. A-line의 주된 목적은 환자의 실시간 혈압변화를 감시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한 처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중환자실 환자나 응급실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며, 심혈관계 질환자의 경우에도 A-line을 통해 혈압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쇼크 환자나 심근경색 환자 등 혈압 변동이 심한 환자에게 A-line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2. Indications for A-line Placement

A-line 삽입의 적응증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혈압 측정이 필요한 환자이다. 저혈압, 고혈압, 혈압 변동이 심한 중증 환자의 경우 A-line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확한 혈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 상태의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치료와 간호중재가 가능하다.

둘째, 쇼크 환자이다. 저혈량성 쇼크, 심인성 쇼크, 패혈성 쇼크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쇼크 환자의 경우 A-line을 통해 지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환자 상태를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

셋째, 잦은 동맥혈 채혈이 필요한 환자이다.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 입원한 환자의 경우 반복적인 동맥혈 가스 분석(ABGA) 등을 위해 A-line 삽입이 필요할 수 있다. A-line을 통한 채혈은 환자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A-line은 지속적인 혈압 모니터링, 쇼크 환자의 치료, 반복적인 동맥혈 채혈 등이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된다.


1.3. A-line Insertion Procedure
1.3.1. Necessary Supplies

A-line 삽입 시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먼저 transducer, holder, IV stand pole, pressure bag(pumping bag)이 필요하다. 이는 A-line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장비들이다. 또한 pressure monitoring kit(주로 single), 0.9% 생리식염수 1L, 필요 시 2% lidocaine, arm board(필요 시), 플라스타, 면 패드, 거즈 롤이 준비된다. 마지막으로 vinca needle(성인 22G, 20G, 18G, 소아 24G, 22G), dressing set(2% 헥시타놀 ET 스폰지, 4x4 거즈), 수술용 장갑, tegaderm이 포함된다. 이러한 다양한 물품들이 A-line 삽입을 위해 필요하다.


1.3.2. Insertion Process

A-line 삽입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의사는 먼저 손위생을 시행하고 멸균장갑을 착용한다. 이후 환자에게 시술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그리고 준비된 동맥 카테터(성인 20G, 소아 22G, 신생아 24G)를 이용하여 피부를 천자한다. 이때 반대쪽 손의 2,3번째 손가락으로 동맥을 촉지하고 고정한다. 요골동맥과 상완동맥에 대해서는 바늘 사면을 위로, 주시기는 30~60도 각도로 하여 천천히 피부를 천자한다. 대퇴동맥은 60~90도의 각도로 천자한다. 혈액이 hub 안에 차오르는 것이 확인되면 카테터를 약 1/4~1/2 정도 천천히 더 밀어넣는다. 이후 스타일렛을 제거한 상태에서 박동하는 혈액의 역류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위치가 맞는지 확인한다. 일단 위치가 확인되면 카테터를 혈역학 감시장비와 연결하고 zeroing하며 알람시스템을 작동시킨다. 마지막으로 동맥 카테터를 제 위치에 고정하고 멸균 드레싱을 시행한 뒤 삽입 정보에 대해 라벨을 붙인다.이러한 A-line 삽입 과정은 정확한 혈압 측정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중증 환자의 치료에 필수적인 역할을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권, 하권, 현문사, 황옥남 외
해찬이의 간호일지 블로그
EBS 명의(유튜브) : 중심정맥관(제멋대로 뛰는 심장 - 부정맥), 응급카트(설마 내가! 심장마비?), 기관절개관 관리(기침, 가래, 숨 가쁨을 의심하라), 동맥관(가슴 통증을 놓치지 마라 - 심혈관질환), CRRT(소리없는 위협 만성콩팥병), 인공호흡기(죽음의 문턱, 심부전)
중심정맥카테터의 삽입과 관리, 배재익,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1 NO1, 201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