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의 간호과정
1.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은 호흡기계의 미성숙한 발달 또는 폐에 있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부적절할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 발생원인은 미숙에 의한 폐내 표면활성제의 생성 및 분비 부족, 폐의 호흡구조상 폐포 내 공기교환의 미숙, 순응도가 높은 폐벽으로 인해 폐가 쉽게 허탈되는 등의 요인이 있다. 그중에서도 표면활성제의 생성과 분비 부족이 가장 주된 발생원인이다.
재태기간 20주부터 제2형 폐포에서 표면활성제가 생성, 분비되기 시작하지만 아직 충분하지 않고, 28-32주에 양수에 나타나며 35주에 성숙치에 도달한다. 이 표면활성제는 폐의 허탈을 방지하고 폐포의 표면장력을 유지하게 하나, 미숙아는 흉벽, 폐실질조직, 모세혈관 내피의 해부학적 미성숙으로 폐의 확장상태를 유지하지 못해 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한다.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 빈도는 재태연령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며, 미성숙의 정도에 따라 호흡곤란증후군의 위험과 직접 관련이 있다. 산모의 당뇨병과 주산기 가사, 제왕절개분만, 급성 산전출혈, 다태임신,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형제자매 등이 위험요인이며, 남아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호흡곤란증후군의 증상은 보통 출생 직후에 나타나서 생후 24-48시간 후에 악화되었다가 생후 3-5일 경부터 점차 호전된다. 증상으로는 출생 직후 호흡곤란, 청색증, 함몰 가슴 등이 있으며, 빈호흡과 흡기성 견축, 역설적 시소호흡, 흡기성 비익확장, 귀로 들리는 호기성 신음 등이 포함된다. 무호흡은 폐기능이 악화될 때 나타나며, 중심성 청색증은 저산소혈증의 증가와 상태 악화가 진행된 단계이다. 호흡부전에 따른 혈액 내 이산화탄소 수치는 반복되는 무호흡, 불량한 관리로 증가하며 대사성 산증이 발전한다.
치료와 관련해서는 출생 즉시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인큐베이터, 인공환기 요법, 각종 집중 치료법을 적용하며, 인공 폐 표면활성제 사용, 산전 스테로이드 요법, 출생 후 계면활성제 요법, 지속적 양압호흡(CPAP), 기계적 환기요법 등이 필요하다. 특히 고빈도 기계환기 요법은 폐손상을 줄이고 가스교환을 증진 시키기 위해 발달되었다.
간호 측면에서는 지지 간호와 호흡 간호로 구분할 수 있다. 지지 간호는 산소 소모를 최소로 하고 적절한 영양과 수화를 유지하며, 중성온도환경을 유지하고 증발에 의한 수분 손실과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호흡 간호는 산소를 정상범위 내에서 투여하고 기계적 환기를 시작하며, 호흡장애의 증상을 사정하고 환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흡인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혈액 가스와 맥박산소 측정, 심혈관계 사정, 부모 지지 등이 포함된다.
종합하면, 호흡곤란증후군은 미숙아의 폐 발달의 미성숙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의학적 처치와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특히 표면활성제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므로 이를 보충하는 치료와 함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간호가 중요하다. 또한 호흡부전에 따른 전신적 합병증 예방과 부모의 심리적 지지도 간호의 주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1.2. 의학적 관리
출생 직후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인큐베이터, 인공환기 요법, 각종 집중 치료법을 적용하는 등 신생아 중환자 관리를 실시한다. 인공 폐 표면활성제 사용, 산전 스테로이드 요법, 출생 후 계면활성제 요법, 지속적 양압호흡(CPAP), 필요시 기계적 환기요법이 호흡곤란증후군의 치료적 관리의 모든 필수적 부분이다.
기계적 환기요법에서 호흡횟수에 따라 일반적 고식적 기계환기 요법과 고빈도 기계환기 요법을 적용한다. 특히 고빈도 기계환기 요법은 폐손상을 줄이고 가스교환을 증진 시키기 위해 발달 되었으며, 이산화탄소 제거 증진, 평균 기도압을 감소시켜 심각한 호흡곤란증후군 신생아들의 산소화를 증진시킨다.
임상검사로는 혈액 내 이산화탄소 수치, 산-염기 평형, 전해질 등을 확인하여 호흡부전과 전신상태를 평가한다. 또한 정기적인 흉부 X-선 촬영 및 임상증상 관찰을 통해 폐 상태를 확인한다. 혈액가스 검사와 맥박 산소 포화도 측정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효과적인 산소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1.3. 간호과정
1.3.1. 의학 및 간호학적 처치와 관리(간호)
환아의 호흡부전을 완화하기 위해 ventilator를 적용한다.
인공호흡기를 통해 환아의 호흡을 편하게 해줄 수 있다.
환아의 O2 saturation이 88%로 측정되어 ventilator Fio2 0.5로 적용하였고, 이후 O2 saturation이 90%로 측정되어 ventilator Fio2 0.4로 적용하였다.
환아의 기도 내 분비물 배출을 돕기 위해 suction 전에 chest percussion을 시행한다.
흉부타진을 통해 기도 내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다.
환아가 호흡하기 힘들 때 마다 무균적으로 suction을 시행한다.
suction을 통해 환아의 기도 내에 있는 분비물을 빼낼 수 있다.
환아가 편하게 숨을 쉴 수 있도록 상체를 약간 들어 올린 자세를 취해준다.
상체를 약간 들어 올린 자세는 흉곽을 확장시켜 환아의 호흡을 도울 수 있다.
rhinathiol syr(진해거담제)를 투여하여 환아의 호흡을 돕는다.
약물투여를 통해 환아의 호흡을 도울 수 있다.
환아의 V/S을 하루에 4번, O2 saturation은 수시로 사정한다.
V/S측정은 환아 사정의 기본이 되고 O2 saturation 측정을 통해 호흡곤란을 사정할 수 있다.
환아의 호흡 수, 양상, 분비물의 유무를 4시간마다 사정한다.
호흡 양상 사정을 통해 환아의 호흡곤란 증상을 판단할 수 있다.
1.3.2. 간호진단
환아의 기도 내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이다. 환아는 분당 93회의 빠른 호흡수와 ABGA 검사 결과 PH 7.41, PCO2 53mmHg, PO2 57mmHg, O2 saturation 88.8%로 확인되며, 호흡 시 Rale 소리가 있고 거칠고 쌕쌕거리는 숨소리가 들린다. 또한 환아는 입을 벌린 상태로 빠르게 호흡하며 힘들어하고 있으며, 가래 끓는 소리가 들려 suction 시행 시 많은 분비물이 배출된다. 환아는 ventilator 적용 중이다.
1.3.3. 간호목표 및 계획
환아는 입원 기간 동안 호흡곤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이를 위해 환아의 호흡수, 양상, 분비물 유무를 4시간마다 사정하고 필요 시 suction, chest percussion, 상체 거상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