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CL"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후방 십자인대의 구조와 기능
1.3. PCL 손상의 원인 및 증상
2. 본론
2.1. PCL 손상의 진단
2.2. PCL 손상의 보존적 치료
2.3. PCL 손상의 수술적 치료
2.4. PCL 재건술 후 재활치료
3. 간호과정
3.1. 수술과 관련된 통증 관리
3.2. 부동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예방
3.3. 보조기 사용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관리
4. 결론
4.1. 실습 소감
4.2. 교육적 함의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형외과 Ward로 실습배치를 받았고 PCL Rupture(Pos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에 대한 연구를 하기로 결정했다. PCL Rupture는 요즘처럼 연령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의 스포츠 활동이 확대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PCL Recon을 했을 시 경과가 좋아지는 추세이다. 마침 본 병원 동6w의 Pt중 한명인 신00 Pt가 PCL Recon을 하여 case study의 대상자로 선택했다. 이 Pt의 경우 이번 8/7일자로 PCL recon op를 하였고 이로 인한 post op처치(재활치료 등) 과정 중에 생길 수 있는 합병증과, rupture로 인한 pain의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등을 자세히 연구해 보기로 했다.
1.2. 후방 십자인대의 구조와 기능
후방 십자인대는 무릎 내부의 중심구조물이다. 후방 십자인대의 길이는 약 30.7±2.6mm이며, 전방 십자인대보다 약 2배 정도 강하다. 후방 십자인대의 일차적인 기능은 경골의 후방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무릎관절이 굴곡될수록 후방 십자인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후방 십자인대는 전방 십자인대와 함께 무릎관절의 나사 회전 운동(screw home movement)에 관여하며 내반, 외반 및 외회전에 대한 이차적인 안정체로도 작용한다. 무릎관절의 후방 중심부에 위치하며 회전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무릎관절 기능에 필수적인 구조물이다. 또한 과도한 무릎 신전을 방지하고 대퇴골이 경골에 대해 후방으로 전위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무릎관절 90도 굴곡 시 경골의 후방 안정성의 약 95%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인대이다.
1.3. PCL 손상의 원인 및 증상
후방 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는 슬관절에서 가장 강한 인대이다. PCL은 주로 무릎을 꿇고 넘어지거나 차가 급정거할 경우, 무릎 앞쪽이 차에 부딪혔을 때, 또는 뒤로 꺾이거나 무릎에 회전력을 받아 손상을 입게 된다. 다리가 안쪽 및 바깥쪽으로 젖혀져 측부 인대의 손상이 발생한 다음 힘이 더 가해지게 되면 PCL도 끊어지게 된다. PCL의 파열은 단독으로 끊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관절막이나 외측부 인대 및 연골판이 같이 손상받는 경우도 많다.
PCL 파열의 증상으로는 무릎 부위의 통증, 부종, 그리고 보행 시 불편함 등이 나타난다. 단독으로 PCL이 파열되는 경우보다 다른 무릎 구조물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 통증이 더 심하고 무릎의 불안정성도 크게 나타난다. 특히 슬관절의 후반 중심부위에 위치한 PCL은 무릎의 회전 운동의 중심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슬관절 기능에 매우 중요하므로, PCL 손상 시 장기적으로 관절염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따라서 PCL 손상 초기에는 무릎 부위의 통증과 불편감을 호소하게 되며, 파열의 정도에 따라 무릎의 불안정성과 기능 저하 수준이 달라진다. 이러한 PCL 손상의 원인과 증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본론
2.1. PCL 손상의 진단
전방십자인대 및 내측부인대, 후방십자인대의 손상은 다양한 경로로 발생할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다리가 앞으로 빠지거나 회전력이 가해질 때 손상되며, 내측부인대는 다리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젖혀질 때 손상된다. 후방십자인대는 무릎을 꿇고 넘어지거나 차 급정거 시, 무릎 앞쪽이 부딪힐 때, 또는 무릎이 뒤로 꺾이거나 회전력을 받을 때 손상된다.
십자인대 및 측부인대 손상의 진단을 위해서는 전위검사, 3...
참고 자료
김금순 외/성인간호학 Ⅱ/수문사/2016년
조경숙 외/성인간호학 하권/현문사/2016년
서울대학교병원간호본부/「간호과정실무지침」/서울대학교 출판 문화원/2011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드러그인포/www.druginfo.co.kr
Google image검색
김세라 저, ‘액중건조법을 이용한 Poly(ε-caprolactone)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충북대학교 화학과, 2008
박종원 김지은 정노희 저, ‘레몬그라스 오일을 함유하는 PCL마이크로캡슐의 특성과 방출거동’, 충북대학교 공업화학과, 2015
Sergio Freitas, Hans P. Merkle, Bruno Gander, ‘Microencapsulation by solvent extraction/evaporation: reviewing the state of the art of microsphere preparation process technology’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