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을 설명하고,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실제사례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 지역사회개발모델(Local community development)
2.2. 사회계획 및 정책모델(Social planning policy)
2.3. 사회행동모델(Social action)
3.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실제 사례
3.1. 사례 개요
3.2. 사례 분석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개념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적용되는 정형화된 이론현상과 구조의 틀로서 지역사회복지실천 추진을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유형은 추진주체, 목적, 지역사회상황에 따라 학자들이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미국의 로스만(Rothman)모델, 웨일과 갬블(Weil &Gamble)모델, 테일러와 로버츠(Taylor & Roberts)모델과 영국의 포를(Popple)모델이 있다. 로스만 모델은 지역사회복지의 전통적 실천 모델로서 지역사회 조직사업을 독특한 지역사회 관계의 형태로 보고 지역사회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의 3개 모델로 유형화한 것이다. 이들 유형은 분석적으로는 상호구분이 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혼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지역사회조직사업을 가장 잘 나타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을 설명하고,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실제 사례를 제시 및 분석해 보겠다"".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 지역사회개발모델(Local community development)
자조기반에 근거한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지역사회의 능력과 사회통합의 과정목표를 통해 지역사회를 새롭게 만드는데 초점을 두며, 지역사회의 욕구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주민들의 자조정신을 강조하는 형태이다. 이는 지역사회의 변화를 위한 노력에서 지역사회와 관련된 집단들 간의 합의, 협력을 끌어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계급, 성, 인종 등과 관련된 경계를 초월하는 공동의 이해관계를 지역사회 관련 집단들이 가지고 있다는 가정의 현실성 문제, 정책결정자가 실질적으로 사회변화를 지지할 수 없는 경우, 지역사회개발 협상을 거부할 수 있는 권력구조의 문제 등의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는 지역사회의 변화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주민들을 변화의 목표설정과 실천행동에 참여시키는 전제에서 나온 모델이다. UN의 정의에 따르면 "지역사회개발은 지역사회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민들이 가능한 한 최대의 주도권을 가지고 전 지역사회에서 경제적·사회적 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특히 "민주적인 절차와 자발적인 협동, 토착적인 지도자의 개발, 교육"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2.2. 사회계획 및 정책모델(Social planning policy)
사회계획 및 정책모델(Social planning policy)은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합리적인 면을 강조...
참고 자료
지은구 저 2003. 『지역복지론』 청목출판사.
강철희, 정무성(2013). 지역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지은구. 2006. “지역사회 역량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전동진, 황정현(2014). 마을만들기 운동과 패러다임의 전환. 존재론연구.
강철희, 정무성, 『지역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2006.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지역사회복지론』, 나눔의집,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