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상자 개인에게 맞춤화된 진단과 계획, 중재를 내림으로써 대상자에게 개별화된 전문간호를 제공해주기 위하여 사례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1.2. 연구 대상 및 기간
연구 대상 및 기간은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은 장폐색 환자로, 2019년 5월 29일부터 6월 3일까지 입원한 환자이다. 환자는 응급실을 통해 내원하여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를 받았다. 환자의 주 증상은 복부 통증, 구토, 복부 팽만이었으며, 입원 기간 동안 내과적 치료와 간호 중재를 통해 증상이 호전되었다.""
1.3. 연구 방법
EMR을 통한 환자 Chart, 환자와의 면담 및 관찰, 간호수행 관찰, 문헌고찰, 논문 및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 문헌고찰
2.1.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소화기계는 음식물의 소화, 흡수,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소화기계는 상부 소화관과 하부 소화관으로 구분된다. 상부 소화관에는 구강, 식도, 위, 십이지장, 담관, 췌장이 포함되며, 하부 소화관에는 소장과 대장이 포함된다.
소장은 직경 약 2.5cm, 길이 약 6m의 관으로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장에서는 음식물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가 주된 기능이며, 내부 점막표면이 수백만 개의 융모로 둘러싸여 있어 흡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소장 내용물은 규칙적인 연동운동에 의해 대장으로 이동한다.
대장은 직경 약 6cm, 길이 약 1.5m이며 맹장, 결장, 직장으로 구성된다. 대장에서는 극히 적은 화학적 소화가 일어나며, 주로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고 분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소화기계는 음식물의 섭취에서부터 소화, 흡수, 배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여 인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2.2. 장폐색의 정의
장폐색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내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정상적으로 장은 7~8리터의 전해질이 풍부한 수분을 분비하며 재흡수하지만, 폐색이 일어나면 수분의 일부는 장내에 보유되지만 일부는 구토로 인한 손실로 인해 순환 혈액량이 감소되어 저혈압이나 저혈량성 쇼크가 발생한다. 또한 폐색이 되면 폐색된 부위에 압력차에 의해 공기와 수분이 축적되어 팽만이 일어나며 증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장 내용물들이 폐색된 부위를 통과하려고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장 연동운동이 증가하지만, 수 시간 이내 중지되며 장은 무기력해진다. 따라서 장폐색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있어 장내 내용물의 통과가 방해받는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2.3. 장폐색의 원인과 위험요인
장폐색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내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장폐색의 원인은 크게 기계적 요인, 신경성 요인, 혈관성 요인으로 나뉜다.
기계적 요인으로는 유착, 탈장, 장염전, 장중첩증 등이 있다. 유착은 소장과 대장의 폐색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복부 수술 후나 특별한 이유 없이 광범위한 유착이 생기기도 하며 수술 후 복강 내 남아있는 자극물이 유착을 촉진할 수 있다. 탈장은 탈장 환(ring)의 크기에 따라 폐색을 초래할 수 있고, 장염전은 복강 내에 정체된 병변을 중심으로 장이 꼬여 폐색과 허혈을 일으킬 수 있다. 장중첩증은 장의 어느 한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 포개어져 들어간 상태로 대장의 종양과 관련이 있다.
신경성 요인인 마비성 장폐색은 연동운동의 결여로 발생하며, 수술 후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이는 마취 및 수술로 인해 장의 운동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현상으로 수일 이내에 원상태로 회복된다.
혈관성 요인으로는 장관의 혈액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완전 폐색은 장간막 경색과 같이 장으로 가는 동맥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하며, 부분적 폐색은 장간막 동맥 경화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 밖에도 장폐색의 위험요인으로는 장간막의 색전과 혈전증, 이뇨제 사용에 따른 저칼륨혈증, 항고혈압제 복용, 폐엽의 폐렴, 복막염, 장염 등이 있다.""
2.4. 장폐색의 증상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의 증상은 폐색의 위치나 종류, 진행속도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배 부풀음 및 식욕 감퇴를 동반하는 복부의 경련성 통증이 있다. 이는 좁아진 장에서 음식물을 밀어내기 위해 장운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소장 폐쇄의 경우에는 구토(처음에는 담즙섞인 황갈색, 후엔 대변 냄새가 나는 물질)가 자주 나타나지만 대장 폐쇄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