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침묵식 교수법의 한국어 교육 적용
1.1. 침묵식 교수법의 개념과 특징
침묵식 교수법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침묵식 교수법은 프랑스의 수학교육자 칼레브 게테그노(Caleb Gattegno)가 개발한 교수법으로, 말하기 대신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활용하여 외국어를 가르치는 방법이다. 이 교수법의 핵심은 교사의 침묵과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다. 교사는 언어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이나 지시는 최소화하고, 다양한 시청각 자료와 신체적 표현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학습 내용을 전달한다. 학습자는 이러한 교사의 비언어적 신호와 학습 자료를 통해 스스로 언어 규칙을 발견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침묵식 교수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한다. 교사가 직접 언어를 설명하거나 지시하지 않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 내용을 발견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외적 보상보다는 내적 동기를 통한 학습을 추구한다. 점수나 상장과 같은 외부의 보상을 제공하는 대신, 학습 과정에서 느끼는 성취감과 흥미를 통해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유발한다. 셋째, 언어의 실제적 사용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둔다. 문법 규칙 암기나 단어 암기보다는 실제 언어 사용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다. 넷째, 청각적 입력보다는 시각적, 운동적 입력을 강조한다. 언어의 소리를 듣고 따라하는 것보다는 색깔, 손동작, 물리적 대상 등을 활용하여 언어 규칙과 의미를 인지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침묵식 교수법의 특징은 학습자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내적 동기 부여를 통해 장기적인 언어 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한국어 교육에서의 적용 효과
1.2.1. 자모음 및 발음 지도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자모음 및 발음 지도를 할 경우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자음과 모음의 조합만으로도 쉽고 빠르게 단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한글의 특성상, 침묵식 교수법의 교수 자료인 채색막대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자모음을 지도할 수 있다. 교사가 자음과 모음의 색깔 블록을 칠판에 붙이고 학습자들이 직접 발음해보게 하는 방식으로, 학습자들은 시각적 단서를 통해 자모음의 결합을 쉽게 익힐 수 있다.
특히 함은주(2011)의 연구에 따르면, 자음 'ㅇ, ㄱ, ㄴ, ㄷ, ㄹ'과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의 색깔 블록을 활용한 음절 지도 결과, 학습자들의 70%가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색깔 카드를 통해 자모음의 조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흥미롭고 효과적이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침묵식 교수법에서는 같은 받침의 경우 같은 색깔로 표시하는데, 이는 겹받침 지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겹받침은 발음이 어려운 부분이지만, 색깔을 통해 시각적 단서를 제공한다면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침묵식 교수법은 한글의 자모음 체계와 잘 부합하며, 색깔 카드를 활용한 지도 방식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집중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만 학습 단계가 올라갈수록 발화와 상호작용에 대한 요구가 커질 수 있어,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1.2.2. 겹받침 지도
겹받침 지도의 효과는 한글의 체계성과 과학성을 활용하여 겹받침을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체계이기 때문에, 겹받침 또한 해당 자음 글자들을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침묵식 교수법에서는 이러한 한글의 특성을 활용하여 겹받침을 색깔 카드로 표현하고 조합하는 방식으로 지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겹받침 중 'ㄳ'은 'ㄱ'과 'ㅅ'을 색깔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ㄱ'과 'ㅅ'이 결합된 겹받침 'ㄳ'을 보고 직관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겹받침의 원리를 이해하고 정확한 발음을 익힐 수 있다""
또한 겹받침의 색깔 카드를 활용하면 시각적 효과로 인해 학습자들의 흥미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초등학생 등 겹받침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겹받침 학습에서도 교사의 모범 발음 제시와 학생들의 직접 발화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침묵식 교수법에만 의존할 경우 정확한 발음 습득에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1.3. 적용상의 어려움
1.3.1. 발화와 상호작용의 한계
교사의 침묵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제한할 수 있다는 약점이 있다. 교사의 발화와 학습자의 반응이 제한되면서 질의응답이나 토론 등 양방향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침묵식 교수법에서는 교사의 발화가 최소화되므로, 학습자들이 의문 사항을 즉각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교사의 피드백을 받기 힘들어 자신의 발음이나 이해도를 점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발화와 상호작용의 한계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 침묵식 교수법의 단점이라고 볼 수 있다.
1.3.2. 학습자의 집중력 ...
...